또한, 한반도 상황을 고려한 적극적인 평화체제를 구상하려고 노력합니다. 키워드: 평화-인권-개발 트라이앵글, 한반도 평화, 적극적 평화체제, 신한반도 체제.
서론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협력 > 평화통일을 통한 본격적인 한반도 신체제 구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적극적 평화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이자 복잡한 전략입니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구성
평화효과를 제시함으로써 '평화-인권-발전'의 삼각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또한 평화, 인권, 개발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공동연구도 추진되었습니다.
평화 -인권-발전의 삼각관계와 적극적 평화체제
평화, 인권, 발전의 조우와 관계
1970년은 평화와 인권을 연구하는 학자와 실천가들이 『평화제안게시판』16)이라는 학술지를 창간한 해라는 점은 상징적이다. 그러나 인권학계에서는,. 마르크스는 이를 바탕으로 한 세 가지 가치의 통합 전략으로 '평화-인권-발전 변증법(P-HR-D Dialectic)'을 제안했다.19) 그는 평화, 인권, 발전을 주창했다. 또는 세 가지 진술로 평화-인권-발전의 변증법이 제시된다.
평화 -인권-발전의 트라이앵글의 형성과 변화
이에 인권 기반 접근, 갈등 민감도 기반 갈등 분석 등 다양한 분석 방법과 도구를 개발협력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을 권고하였다. 45) 독일 국제협력기구(GIZ), 민간평화서비스(ZFD), 독일인권연구소(DIMR), 인권과 갈등 전환의 연결: 개발 실무자를 위한 지침(Eschoborn: GIZ, 2010), p. 또한, 공동체 기반 참여 접근법은 사회 계약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는 분열된 공동체의 경우 공동의 이익과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55) .
적극적 평화체제론의 탐색
안정된 평화는 안보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공동의 지역정체성이나 우리의식 등 공유된 감정을 요구하지 않는다.94) 전쟁이 없는 소극적 평화로는 전쟁의 재발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적극적 평화는 전쟁의 원인을 제거하는 평화를 추구합니다. 더욱이 갈퉁은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라는 용어를 정의하는데 부주의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것이 권력과 자원의 균등한 분배의 조건인 사회정의가 실현되는 상황이다.116) 확장평화는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로 나누어진다. 즉 미래 전쟁의 이유를 파괴하는 것이다.127) 조지는 평화를 불확실한 평화, 조건부 평화, 영속적 평화로 나눈다.
적극적 평화체제에 주는 함의
평화체제에서 체제의 개념은 체제(system)와 체제(regime)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한반도 평화체제를 시스템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들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이스턴의 '상호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변수들을 결합한 유기체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크래스너(Krasner)의 정권 개념을 차용하여 한반도 평화체제를 국제체제로 정의하고 있다. 정권은 국가와 기타 잠재적 행위자 간의 협력을 장려함으로써 국제 관계에서 무정부 상태의 영향을 완화합니다. 150) 조슈아 S.
평화 -인권-발전의 통합적 메커니즘
평화의 인권-발전과의 상관관계
여기에는 “국가 제도와 사회 제도는 정의와 민주주의가 제시하는 원칙에 따라 구성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병진노선의 핵심 원칙은 '안보경제'였다. 165) 로렌스 위트너(Lawrence Wittner), "미국: 전쟁에서는 최초, 현대 문명에서는 뒤처짐". 중국 역시 사회안전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국방비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늘렸다.172)
182)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피게레스에게 이런 제안을 한 사람이 당시 국방부장관이었던 에드가 카르도나(Edgar Cardona)였다는 점이다. 나는 우리 시대의 국제협력을 이끌겠다”고 약속했다.
인권의 발전-평화와의 상관관계
인권과 개발-평화의 관계에 관한 국제적 논의. 평화, 안보, 개발, 인권은 유엔 체제의 세 가지 기둥입니다. 특히 인권과 발전, 평화의 상호관계를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인권, 개발, 평화, 안보의 상호관계를 무력충돌과 예방의 관점에서 논의합니다. 반면 무력충돌은 인권 향유와 발전을 위협한다.
발전의 평화-인권과의 상관관계
그러나 경제성장에 따른 기술적, 제도적 발전은 인권탄압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290) 무자비한 정치 지도자의 경우 민주적 과정의 이름으로 소수자의 인권을 억압할 수 있다. 아래 <그림 Ⅲ-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인당 국민소득 증가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할 가능성 사이에는 역U자형 상관관계가 그려져 있다.291 ) 장기적 경제성장은 인권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인권을 위협한다. 더욱이 싱가포르의 경제는 매우 빠르게 성장했지만 경제성장 속도에 비해 민주주의와 인권은 느리게 발전했다.293) 이와 관련하여 헌팅턴은 경제성장을 통한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은 사회문화에 기초한다고 주장했다. . , 정치 엘리트의 가치 지향, 외부 영향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경제 발전이 일반적으로 평화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95) Johan Galtung, 평화로운 수단에 의한 평화: 평화와 갈등, 개발 및 문명 (런던: SAGE Publications Ltd, 1996), pp. 즉, 정치적 배제와 경제적 불균형은 평화를 훼손하고 전쟁 가능성을 증가시킨다.299) 이런 의미에서 바넷의 연구는 국가의 소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갈등 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 요약 및 정책적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