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과 체육 박정준(인천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박정준(인천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서론
이처럼 행복한 경험으로 가득한 삶과는 별개로 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미래의 성공만을 위해 존재하는 학교 교육은 이들의 성공과 자아실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현재의 행복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지만, 미래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역량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는 학교 교육을 어떻게 바꿔 학생들이 미래에 행복을 느끼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이런 상황에서 학교 체육교육은 학생들이 삶의 만족과 행복을 느끼고 미래의 행복을 실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최근에는 학교체육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학교체육 부흥을 위한 교육당국의 정책이 시행되면서 초·중·고의 체육교육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학교. 초등학생 스포츠 강사와 체육 전담교사를 선임하고 있으며, 중등학교에서는 학교 스포츠 동아리 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회에 참가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학교 스포츠 활동의 결과는 학생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학교 체육클럽 등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우정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고, 학교 내 폭력 등 문제행동 예방에도 효과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교육부, 2013).
그리스의 체육관이나 고대 중국의 대학과 같은 교육 기관에서도 신체 활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르쳐졌으며 필수적이었습니다. 이처럼 청소년기의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은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관계, 도덕적 인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신체활동이나 운동은 긍정적인 정서적 변화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방법으로, 청소년기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적인 감정을 바꾸는 방법(Berger, Pargman, & Weinberg, 2002). 최근 연구에서는 신체 활동이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학업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신체활동에서의 성격발달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사회적 발달 측면과 도덕적 발달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내러티브라는 단어에는 '이야기'와 '감정적 경험'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고환암을 극복하고 투르 드 프랑스에서 7연속 우승을 차지한 랜스 암스트롱(Lance Armstrong)의 전기와 이를 보여주는 책들을 활용한 사례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키워줄 수 있다. .
Hochstetler(2006)도 체육교육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서사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인성 함양을 위한 체육교육의 내용과 방법
스포츠 활동은 사람들이 게임으로 경험하는 즐거움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체육교육과정의 내용인 건강활동, 도전활동, 경쟁활동, 표현활동, 여가활동은 학생들이 체육을 통해 행복한 삶을 누리고 준비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학교 교육. 스포츠란 제도화된 경쟁적 활동이나 놀이를 기반으로 한 게임을 말한다.
아이들은 경쟁적인 스포츠 활동에서 상대방이나 상대 팀보다 더 잘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합니다. 체육수업에서는 아이들이 경쟁을 잘 할 수 있도록 규칙과 방법을 통해 환경을 조성하고, 체육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동기와 집중력을 북돋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체육 교육의 목적은 게임이나 경쟁 능력을 통해 얻는 이익과 보상이 아니라 신체 활동을 통해 사람들이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셋째, 신체활동을 통한 기술훈련에는 다각적인 교육방법이 활용되어야 한다.
결론
이는 로마의 인성교육이 이미 교회의 종교교육에 깊이 침투했음을 보여줍니다. 즉, 어른들의 삶 속에 나타난 상징의 언어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러한 삶의 과제는 처음에는 외부 문제로 발생하지만 결국 내부 문제로 이어집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은 내가 부처님으로 초대받았다는 뜻입니다. Thichnathan은 자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마음챙김에 도달하면 삶의 경이로움을 만나게 될 것이며, 진정한 성취감을 느끼고 치유가 일어날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행복은 삶의 상황과 관계없이 내면의 평화에서 비롯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외부 성과보다
유교의 가르침에서 '모범을 따른다'는 말처럼 적응성은 사회적 맥락의 실현과 관련이 있습니다. 간음하지 말라는 제6계명은 존경과 사랑의 눈으로 접근할 때 그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고 그 고상함을 깨닫는다는 뜻입니다. 공적 담론은 사적인 가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불의에 대한 책임을 느끼면서 공동선과 사회 정의를 위해 신자의 실천적 삶을 고뇌하는 과정이다.
제2회 인성교육 심포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