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에서 특기할 점은 지역 내 거버넌스 구축에 많은 힘을 쏟았다는 점이다. 물론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의 과정이 협력 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다라고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주요 주체들의 이탈 및 배제가 존재한 점,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제도가 미흡했던 점, 촉진적 리더의 역량이 부족했던 점 등이 그 이유이다. 하 지만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은 그 목표에 있어서 협력적 거버넌스를 지 향한 사업이었으며, 행정에서도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실무적으로 노력 한 부분들을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재개발사업과 달리 도시 재생사업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이 '주민 참여'라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사업을 '협력적 거버넌스'를 추구하는 사업이었다라고 할 수 있다.
도시재생선도지역 선정을 위해 적용되었던 평가 항목 [표 10]을 보 면 지역 내 거버넌스 구성에 방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항목 주요 평가 내용 배점
도시재생사업으 로서의 적정성
- 세부 사업간 기능적, 내용적 연계의 적정성 등 - 지역 자산 발굴, 활용 등 지역특화 노력 25 주민, 지자체의
추진 역량
- 이해관계자 등에 대한 의견수렴체계 구축 등
- 주민 역량강화 및 주민참여 실적과 계획 35 사업의
파급효과
- 일자리 창출 및 적정성
- 주민생활 영위를 위한 쾌적성, 편리성 25 지역의 쇠퇴도 - 인구, 사업체 수, 노후 건축물 등 쇠퇴 정도 10 표 10 도시재생선도지역 평가항목
자료 : 국토교통부(2014)
총 100점 만점의 평가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35점이 걸린 주민 과 지자체의 추진 역량이었다. 추진역량 평가항목은 특히 주민 역량 강 화와 의견수렴체계 구축에 초점을 두었는데 이는 정부 지원을 받아 진행 되는 사업 기간이 끝난 뒤에도 지역 내 도시재생 노력의 지속성을 확보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에 따라,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의 목표는 사 업의 내용과 결과가 지역의 문제를 해결에 이바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 속가능한 의사결정 및 운영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내에서 주민들 중심으 로 자생적인 도시재생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 도에 따라 [그림 5]와 같이 여러 행정 부처와 주민 집단 간 거버넌스 체 계가 구축되었다.
<그림 5> 창신숭인 거버넌스 체계
자료 : 서울특별시 (2018)
(1) 도시재생지원센터
창신숭인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도시재생법 제11조를 근거로 창신 1동 에 2014년 7월 29일 설치되었으며 총괄코디네이터와 서울시청 및 종로구 청 공무원, 활성화계획 용역사 및 동네 출신의 코디네이터 등으로 구성
되었다. 지원센터는 사업 기획부터 추진, 지원, 홍보 등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에 더해 도시재생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 갈등 조정 등 도시재생사업의 중심적 역할을 했다.
<그림 6> 창신숭인 거버넌스 체계의 변화
자료 : 서울특별시 (2018)
[그림 6]과 같이 지원센터의 구성은 사업 기간 동안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도시재생사업 종료 이후 지역 주민이 주축이 되어 지역 내 재생활 동을 이어갈 수 있는 자생적 조직으로 전환시키기 위함이었다. 도시재생 리더 육성을 통해 주민주도의 지속적인 도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하여 공 공은 지원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추진모델 개발안이 구성되었는 데 실제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인적 구성을 살펴보면 사업 중반 이후부 터 지역재생활동가의 비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업 초기인 2014년부터 약 2년간은 도시재생기반을 구 축하기 위한 단계로서 공공과 전문가 중심으로 도시재생센터가 사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때 도시재생협동조합으로 전환될 주민협의체 중심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역량을 강화시키고 인큐베이팅 하였다. 2017 년에는 창신숭인도시재생협동조합이 창립되어 시범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 때부터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권한을 도시재생협동조합으로 상당 부분 이양하여 50:50으로 사업을 공동 운영하며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를 거쳤 다. 마지막으로 2018년 사업의 마무리 단계로 들어서면서 창신숭인 도시
재생협동조합이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할을 이어받으면서 주민이 지역 내에서 단독적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모습으로 이어지게 된다.
(2) 주민협의체
주민협의체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들의 의견 을 수렴하고, 이를 행정에 전달하여 함께 지역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조 직이며, 사업 이후 지역 재생을 이어나갈 중심 주체이기도 하다. 창신숭 인 지역은 4개 행정동을 포함하는 넓은 면적을 대상지로 하여 동 별 주 민협의체 구성을 통해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의견 수렴과 사업 시행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주민협의체의 모집은 2014년 9월 1일부터 공식적으 로 시작되어 2016년에 이르러서는 총 280명의 주민협의체위원이 참여하 였다. [표 11]에서 동 별 주민협의체 참여자 누적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창신 1동 창신 2동 창신 3동 숭인 1동 누적합계
2014년 11 38 11 53 113
2015년 35 102 44 62 243
2016년 39 131 48 62 280
표 11 동 별 주민협의체 참여자 누적 수 (단위 : 명)
자료 : 창신숭인 도시재생지원센터, 창신숭인 도시재생센터 소식지, 연구자 재정리
2015년 1월에는 각 동 별 주민협의체 대표가 2명씩 선출되었으며 임 기는 2년이었다. [표 12]를 통해 주민협의체 대표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뉴타운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가옥주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은퇴 후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이거나 식당 혹은 미용실 등 본인 의 사업을 운영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졌다. 2017년에는 두 번 째 선거를 진행했는데, 이 때 동 별로 정,부대표가 서로 바뀌거나 대표자가 바뀌는 등 몇 명의 리더십 교체가 이뤄졌다. 특히 1기 창신 2동의 부대표는 봉 제업 종사자였는데, 이후 주민협의체 내에서 갈등이 일어나기도 하였고,
대표자 개인의 바쁜 일정 때문에 이후 교체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박사 유, 2020)
구분 창신 1동 창신 2동 창신 3동 숭인 1동
1기 (2015) 정00, 김00 문00, 최00 김00, 문00 백00, 이00 2기 (2017) 정00, 김00 문00, 이00 문00, 김00 김00, 백00
직업군 식당운영, 비대위대표 등
미장원 운영, 봉제업, 통장협의회 등
골목길 해설사 등
주민자치위원 등 표 12 창신숭인 주민협의체대표 구성
자료: 박사유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