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환경관리사의 직무는 건설 현장의 환경 영양 측면 및 법규를 식별하여 공사 중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대기, 폐 기물, 수질, 소음․진동 등 환경 관리 시설물을 운영하며, 현장 환경 교육 및 환경 민원 처리 등 환경 관련 이해 관계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나 . 직무의 모형
책무 작업
A 건설 환경
관리 계획수립
A-1 환경 관련
법규 파 악하기
A-2
환경 측면 식별하기
A-3 환경 관리
계획 수립하기
B 건설 현장
관리
B-1 대기 환경
관리하기
B-2 폐기물 관리하기
B-3 수질 관리하기
B-4 소음․진동
관리하기
C 기타 관리
C-1 환경 관리비
관리하기
C-2 환경 분쟁
관리하기
C-3 환경 기술
개발하기
C-4 환경 교육하기 C-5
비상 사태 대응하기
C-6 환경 관리
기록 보존하기
C-7 환경 관리
업무 피드백하기 주: 음영 부분은 핵심작업(Key Task)임.
다. 직업 활동 영역
- 건설 업체(기술 연구소, 안전 환경팀, 품질 환경팀, EQS팀 등)
- 설계 및 감리 업체(환경 설계 및 감리) - 관리 및 측정 대행업체(컨설팅, 측정 등) - 민자 사업단
- 지자체(환경보호과, 환경위생과, 청소행정과 등)
- 중앙 행정 기관 및 관련 공기업 - 연구 기관 및 교육 훈련 기관
라.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
1) 교육훈련과정
건설환경관리사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육훈련 코스로 건설환 경 관리 일반과 건설 현장 운영이 채택되었다.
건설 환경 관리 일반의 교육 훈련 목표는 원활한 공사의 수행을 도모하 기 위한 대기, 폐기물, 수질, 소음․진동의 환경 관리 시설물을 설치, 운영,
관리하는 건설환경관리사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코스 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건설 환경 법규 및 기준, 환경 계획, 현장 환경 관리 개론, 공사 관리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과목 각각의 교육 훈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설 환경 법규 및 기준에서는 환경 관련 법규 일반, 환경 관리 기준 및 규격, 건설 관리법, 법규 해석 및 적용 등의 내용을 다 루고, 환경 계획에서는 환경 과학 개요, 환경 경영, 환경 계획 수립을, 그리 고 현장 환경 관리 개론에서는 환경 관리비, 환경 민원 및 분쟁, 환경 교 육, 환경 기록 관리, 비상 사태 및 기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공사 관리 기본에서는 건설 사업, 건설 공사 관리, 건설 공사 등에 관하여 교육 훈련을 받게 된다.
건설 현장 운영의 교육 훈련 목표는 원활한 공사의 수행을 도모하기 위 한 대기, 폐기물, 수질, 소음․진동의 환경 관리 시설물을 설치, 운영, 관리 하는 건설환경관리사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코스에 대한 교육 훈련 내용은 대기 환경 관리, 폐기물 관리, 수질 관 리, 소음․진동 관리이며, 이에 대한 교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기 환경 관리는 인허가 및 신고 요령, 비산 먼지 억제 시설 설치/운영, 대기 배출 시설 설치/운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폐기물 관리는 인허가 및 신고 요령, 폐기물 처리 계약 및 증빙 서류, 폐기물 처리 등의 내용을 다룬다. 수질 관 리는 폐수 처리, 오수 분뇨 처리, 오․탁수 처리, 지하수 처리 등의 교육 훈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음․진동 관리에서는 인허가 및 신고 요 령, 소음․진동 장비, 방음․방진 시설 등을 다루게 된다.
2) 출제기준
건설환경관리사 직업의 자격 종목으로 건설환경관리사 1급과 2급이 있으 며, 1차에서는 건설 환경 일반과 건설 환경 관리에 대하여, 2차에서는 건설 환경 관리 실무에 대하여 시험을 치른다.
1차 시험 1급의 검정 목표는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환경 법규를 파악하
고, 환경 오염 측정 및 분석, 환경 오염 방지 대책 수립 등 현장 환경 관리
적용 능력 및 응용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며, 2급은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환경 법규를 파악하고, 환경 오염 측정 및 분석, 환경 오염 방지 시설물 설 치 등 현장 환경 관리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2차 시험 1급의 검정 목표는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환경 법규를 파악하
고, 환경 오염 측정 자료를 분석하여, 환경 오염 방지 대책 수립, 환경 저 부하 공법 선정 등 현장 환경 관리 적용 능력 및 응용 능력을 측정하는 것 이며, 2급은 건설 현장에 적용되는 환경 법규를 파악하고, 환경 오염 측정 자료를 분석하여, 환경 오염 방지 대책 수립 등 현장 환경 관리 적용 능력 을 측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