력을 평가한다.
환경 관리(1급)은 일반 및 작업 환경에서 유해 요인을 파악하고 선정할 수 있으며, 노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학적, 위생학적 기술 능력과 응용 능력을 평가한다.
환경 관리(2급)은 일반 및 작업 환경에서 유해 요인을 파악하고 선정할 수 있으며, 노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학적, 위생학적 기술 능력을 평가한다.
보건 교육(1급)은 근로자의 심리적 특성 및 작업 행동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인지 심리적 접근을 통한 동기 부여 능력을 함양하고, 교수 모형과 교수 방법을 파악함으로써 교육 기능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접근 방법 및 평가 기법을 평가한다.
보건 교육(2급)은 근로자의 심리적 특성 및 작업 행동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인지 심리적 접근을 통한 동기 부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환경 측정 및 평가 실무(1급)은 작업(실내) 환경 내의 유해 인자를 측정, 분석, 평가하고, 환경 및 보건 관리를 통하여 작업 환경 개선을 최적 조건으 로 제시할 수 있는 실무 능력 기술 및 응용 능력을 측정한다.
환경 측정 및 평가 실무(2급)은 작업(실내) 환경 내의 유해 인자를 측정, 분석, 평가하고 환경 및 보건 관리를 통하여 작업 환경 개선을 최적 조건으 로 제시할 수 있는 실무 능력 기술을 측정한다.
규제 기준 이내로 관리하기 위하여 방음․방진 시설을 설계․시공․유지 관 리하는 것이다.
나. 직무의 모형
책무 작업
A
소음‧진동의 측정 평가
A-1 측정 원리의
이해하기
A-2 측정 기기
사용법 파악하기
A-3 측정 및 분석‧
평가하기
B 방음‧방진
설계 및 시공
B-1 방음‧방진
설계하기
B-2 방음‧방진
시공하기
B-3 방음‧방진 효과
검토하기
C 방음‧방진
시설관리
C-1 방음‧방진 시설
현황 파악하기
C-2 방음‧방진 시설
진단 및 성능 파악하기
C-3 방음‧방진 시설
유지 관리하기
주: 음영 부분은 핵심작업(Key Task)임.
다. 직업활동 영역
- 건설업체(토목․건축 시공 및 플랜트 분야)
- 방진‧방음 전문업체
- 건축, 실내 음향 관련 업체
- 엔지니어링 업체(환경 영향 평가, 토목 건설 엔지니어링: 설계 분야)
- 연구소(자동차, 가전 제품)
- 소음․진동 측정 전문업체
- 화약류 발파 기술사 사무소
라.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
1) 교육훈련과정
소음‧진동관리사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육 훈련 코스로 소음‧진동학 총론, 소음‧진동의 측정 및 분석, 방음 시설의 설계 및 시공, 방진 시설의 설 계 및 시공, 방음‧방진 시설의 유지 관리가 도출되었다.
소음‧진동학 총론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소음‧진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 이론을 이해하여 소음‧진동 측정 및 분석, 방음‧방진 시설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소음‧진동학 총론 코스의 교육 훈련 내용은 소음학 개론, 진동학 개론이며, 이를 교과목별 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소음학 개론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음향 기초, 소음의 물리적 성 질, 음의 발생과 특성, 소음의 거리 감쇠, 음의 청취로 도출되었다.
진동학 개론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진동의 기초 이론, 진동계의 특성, 진동의 발생과 전파, 진동의 표현으로 도출되었다.
소음‧진동의 측정 및 분석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소음‧진동을 측정하 고 그 결과를 분석‧평가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음‧방진 시설 설계 시공 및 유 지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소음‧진동의 측정 및 분석 코스의 교육 훈련 내용은 소음의 측정 및 분석‧평가, 진동의 측정 및 분석‧평가이다.
방음 시설의 설계 및 시공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소음 기초 이론을 이 해하고 소음을 측정‧분석 및 평가 결과에 의한 방음 시설을 설계하고, 설계 서에 기초하여 정확하고 원활한 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방음 시설 의 설계 및 시공 코스의 교육 훈련 내용은 소음의 영향 및 평가, 차음 및 흡 음, 실내 음향, 소음 방지 기술 및 대책이다.
방진 시설의 설계 및 시공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진동 기초 이론을 이 해하고 진동을 측정‧분석 및 평가 결과에 의한 방진 시설을 설계하고, 설계 서에 기초하여 정확하고 원활한 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방진 시설 의 설계 및 시공 코스의 교육 훈련 내용은 진동의 영향 및 평가, 방진 기술 및 대책이다.
방음‧방진 시설의 유지 관리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방음‧방진 시설 시 공 전후의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설계시의 목표값에 대한 달성 여부를 평가 하고, 사전 예방 조치를 취하는 방음‧방진 시설에 대한 유지 관리 업무를 수 행할 수 있다. 또, 방음‧방진 시설의 유지 관리 코스의 교육 훈련 내용은 방 음‧방진 시설의 성능 평가, 방음‧방진 시설의 유지 관리이다.
2) 출제 기준
소음‧진동관리사의 자격 종목으로 소음‧진동관리사가 있으며, 각각의 검정 목표는 다음과 같다.
시험 검정의 목표는 소음‧진동 분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소음‧진동 개론, 측정 및 소음․진동 분석 방법, 소음‧진동 방지 공학, 소음‧진동 유지 관리 방법 등의 기술 능력 및 응용 능력을 평가 한다. 이며, 2차 시험의 검정 목표는 소음‧진동 분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배경으로 실무 응용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소음․진동 측정 및 분석 실무, 소음‧진동 방지공학 실무, 소음‧진동 유지 관리 실무 등의 기 술 능력 및 응용 능력을 측정한다.
소음‧진동관리사 자격 종목의 검정 목표에 따른 시험 과목은 소음‧진동 개론, 소음‧진동 측정 및 분석 방법, 소음‧진동 방지 공학, 소음‧진동 유지 관리 방법, 소음․진동 측정 및 분석 실무, 소음‧진동 방지 공학 실무, 소음‧
진동 유지 관리 실무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