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급이 있으며, 각각의 검정 목표는 다음과 같다.

환경GIS기사 1급의 검정 목표는 환경 정보를 원격 탐사 등 다양한 방법 으로 취득하고, DBMS와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지 등 전반적인 지식 및 응용 능력을 평가한다.

환경GIS기사 2급의 검정 목표는 환경에 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정보 의 유형을 파악하고 취득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GIS와 원격 탐사에 대한 기초 지식과 관련법의 개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지 평가한다.

환경GIS기사 1급 자격 종목의 검정 목표에 따른 시험 과목은 환경학 개 론, GIS 일반, 원격 탐사, 관련법 및 정책, GIS 데이터 베이스, GIS 프로그 램, GIS 데이터의 가공 및 분석으로 도출되었다. 환경GIS기사 2급 자격종 목의 검정 목표에 따른 시험 과목은 환경학 개론, GIS 일반, 원격 탐사, 관련법 및 정책, GIS 데이터의 가공 및 분석으로 도출되었다.

. 직무의 모형

책무 작업

A

토양 조사

․분석

A-1 토양 조사

계획 수립하기

A-2 개황 조사

실시하기

A-3 시료 채취

설계하기

A-4 시료 채취하기

A-5 시료 전처리하기

A-6 시료 분석하기

A-7 조사 결과

보고서 작성하기

B 부지 평가

B-1 정밀 조사

계획 수립하기

B-2 정밀 조사

설계하기

B-3 정밀 조사

실시하기

B-4 위해성 평가하기

B-5 복원 타당성

조사하기

C 정화․복원

C-1 정화 계획

수립하기

C-2 정화 설계하기

C-3 정화 작업하기

C-4 환경 복원하기

C-5 정화․복원

평가하기

D 사후 관리

D-1 측정 감시 (Monitoring)

계획서 작성하기

D-2 측정 감시 (Monitoring)

설계하기

D-3 측정 감시 (Monitoring)

실시하기

D-4 보고서 작성하기

E 예방 보호

E-1 토양 유실․침식

방지하기

E-2 토양 생태계

/토양 자원 관리하기

E-3 토지 자산

보호하기

주: 음영 부분은 핵심 작업(Key Task)임.

. 직업활동 영역

토양환경관리사는 토양 조사․분석, 부지평가, 토양 정화․복원, 오염토 양 사후관리, 토양 자원 관리, 토지 자산 보호 등의 분야에 활동하는 토양 조사 및 복원 업체로 누출검사 기관, 토양오염도 조사기관, 토양복원업체, 환경인증기관, 환경컨설팅업체, 환경바이오 업체 등임.

.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

1) 교육훈련과정

토양환경관리사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육 훈련 코스로 토양 학 기초 및 측정 분석, 토양오염 정화․복원, 토양 생태 및 토양 오염 예 방 관리 등이 도출되었다.

토양학 기초 및 측정 분석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토양 조사를 위한 최적의 계획과 절차를 수립하고, 토양 시료 채취와 시료 분석 자료를 검 토하여 토양환경의 현 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토양학 기초 및 측정 분석 코스의 교육 훈련 교과목으로는 기초토양학 및 측정분 석이며, 이를 교과목별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기초토양학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토양암석 및 물리성, 토양 화학 성, 토양 유기물 및 미생물, 토양오염, 관련법규로 도출되었다.

측정분석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토양오염도조사, 토양오염 측 정분석, 기기분석, 보고서 작성으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 정화․복원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토양오염의 확산 방지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오염된 토양을 실제로 정화․복원하는 데 필요 한 계획을 수립하여 최적의 정화 및 복원 시스템을 이용, 안정성있는 작 업을 실시함으로써 오염토양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

이다. 토양오염 정화․복원 코스의 교육 훈련 교과목으로는 오염 확산 방 지 기술, 토양오염 정화․복원 기술,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토양오염 복 원 안전 관리이며, 이를 교과목별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오염 확산 방지 기술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토양오염물질 지하 이동, 오염물질의 고형화와 안정화, 오염물질의 물리적 차단, 토양오염 관 련 법규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정확 복원 기술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오염토양 정 화기술, 생물학적 처리, 물리․화학적 처리, 열처리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인체 건강 위해성 평가,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 복원 안전 관리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토양 복원 현 장 안전 계획, 안전 작업을 위한 예비 조사 및 위해성 평가, 복원 현장 안 전 작업 방안, 복원 방식에 따른 안전 대책으로 도출되었다.

토양생태 및 토양오염 예방관리 코스의 교육 훈련 목표는 토양생태계 측정기술을 통하여 토양유실 및 침식을 방지하고, 사전 오염 예방 기술을 활용하여 토야오염을 방지하며, 환경감사를 통하여 환경개선과 리스크를 평가하여 토지자산 가치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토양생태 및 토 양오염 예방 관리 코스의 교육 훈련 교과목으로는 토양 침식 관리, 토양 오염 예방 관리, 토양 부지 환경 감사, 토지자산관리이며, 이를 교과목별 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토양 침식 관리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생태계 조사, 토양 유실 및 침식, 토양 보전으로 도출되었다.

토양오염 예방 관리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토양오염 검사, 토 양오염 방지 시설, 토양 환경 관련 법규로 도출되었다.

토양 부지 환경 감사 과목의 주요 교육 훈련 내용은 환경 경영 시스템 (EMS :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감사와 환경 리스크 감사, 환

경감사(Environmental Auditing) 단계, 환경감사의 국내․외 동향으로 도 출되었다. 토지자산관리 과목의 주요 훈련 내용은 토양오염 피해 배상, 토 양 개선 사업, 토지자산 가치 평가, 토지환경 보전 및 창달로 도출되었다.

2) 출제 기준

토양환경관리사직업의 자격 종목으로 토양환경관리사가 있으며, 검정 목표는 토양의 오염 정도를 조사 분석하고 평가하며, 오염된 토양을 정화 복원할 수 있으며, 토양의 오염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토양환경관리사 자격 종목의 검정 목표에 따른 시험 과목은 1차 시험의 경우에는 토양학 기초 및 측정분석, 토양오염 정화․복원, 토양생태 및 토 양오염 예방 기술 등이 도출되었고, 2차 시험의 경우에는 토양오염 측정 분석 및 정화․복원 실무가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