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경험한 자부심, 임파워먼트, 시설, 그리고 대인관계라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직무만족도는 종속변인인 재참여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따라서 직무환경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직원의 직무만족도 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메가 스포츠 이벤트 조직위원회 의 환경 개선은 향후 개최될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보다 성공적인 개최를 위 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2. 제언
본 연구가 의미 있는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제한 점을 논의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응 답률은 27.8%로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조직위원회가 해산했 고 퇴사한 직원들은 각자의 일에 매진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위원회에 관한 설 문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181명의 데이터를 분석했기 때문에 연구 를 진행하기에 부족하지는 않았지만 후속연구에서는 응답률을 높일 필요가 있 다. 둘째, 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모든 메가 스포츠이벤트 조직위원회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인 중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연구했기 때 문에 다른 변인이 제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을 적용하 였기 때문에 직원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부족하였을 것으로 사료되어 실질적인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를 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호정, 김경식. (2006). 스포츠이벤트 자원봉사 재참가 의도에 관한 연구. 한 국체육학회지, 45(2), 33-45.
곽서연, 박순천. (2011). 축제 자원봉사자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춘천마 임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7(1), 19-32.
권석균. (2000). “지식경영과 인적자원 개발 및 교육: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 의 관점에서,”. Korea Business Review, 4(1), 7-28.
김 원. (2018.02.26.). “문제 없는 게 문제" 외신 호평…평창올림픽이 던진 메시지는.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395820.
김남현, 김재진. (1982). 인적자원과 생산성. 학문사, 43.
김동신. (2012).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성을 위한 위원회형 비영리조직의 역 할탐구: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3), 33-60.
김민주, 오수영. (2006). 지역축제 자원봉사자의 참가만족과 재참가의사에 미 치는 영향요인. 이벤트컨벤션연구, 2(3), 1-19.
김병섭, 김 철. (2002). “정부위원회 조직의 개혁 : 반복되는 답과 잃어버린 질문,” .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김사엽, 양종훈. (2011). 스포츠행정 조직구성원의 신뢰가 조직몰입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9(3), 311-312.
김상아, 조영일. (2013). 조직의 복리후생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관리연구, 6, 1-13.
김상현, 김성문, 박선주. (2008). R&D 인력의 직무특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경 영연구, 45(1), 95-122.
김상협. (2013). 국제스포츠이벤트 조직위원회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 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 원.
김성국. (1999). 조직과 인간행동. 서울 : 명경사.
김영락, 임영규. (2009). 직무환경, 직무태도,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 간 의 인과적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연구, 24, 127-148.
김영조, 이유진. (2012).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 연구, 19(3), 71-99.
김영종. (2009). 체육행정조직의 지식경영이 조직문화 및 조직몰입과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김우영, 김응규. (2001).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분석. 중 소기업연구, 23(3), 29-54.
김우택. (1997). 조직구성원의 역량제로를 위한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배, 윤세환, 홍경욱. (1998). 국내여행업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our Conductor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2), 212- 220.
김종성. (2008). 콜센터 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시 A 콜센터 사례연구. e-고용이슈, 13.
김태한, 정홍상. (2011).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소방 조직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5(4), 85-106.
김태희, 박상윤, 장경로. (2008). 스포츠조직 종사자들의 직업몰입과 조직에 대한 태도 및 행동변수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3), 625-6 40.
김태희, 장경로, 윤승재. (2006). 스포츠산업 종사자들의 조직관련 만족과 몰
입, 직업관련 만족과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유과학연구, 1 7(2), 84-99.
박수진. (2007). 스포츠센터 경영자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 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원우. (1998). 임파워먼트 실천 매뉴얼. 서울: 시그마컨설팅그룹, 3.
박원우. (1995). 人事評價의 重要手段으로서 集團評價의 方向과 內容. 서울대 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박정준, 이상태, 주종대, 최동렬, 하종명, 강영선. (2000). 관광과 서비스. 서 울: 대왕사. 281-298.
박천오, 김근세, 박희봉, 안형기. (2003). 한국 책임운영기관 제도의 운영 평 가: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2(3), 3-3.
배귀희, 임승후. (2007).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정부경쟁력의 향상”.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삼성경제연구소. (2000). 올림픽의 경제학. CEO Information, 263.
서 선. (2013). 항공사 아웃소싱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8), 420-432.
서성아. (2011). 독립규제기관의 독립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정거 래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2), 241-267.
손신욱. (2013), 메가이벤트정책 국제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메가이벤트정책 방향 모색. 한국관광학회, 71(1), 467-480.
신남주, 김해리. (2018). 메가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자아성취감, 만족 간의 영향 관계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4), 355-378.
신원상, 김경숙. (2016). 직전대회 사례분석을 통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회 지속가능한 유산 제시.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797-815.
심완보, 박 석. (2002). 애드호크러시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역할기반모델.
정보보호학회논문지, 12(4), 41-53.
양성철, 김진국. (2018). 2018 평창동계올림픽 &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환경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7(1), 275-290.
오재록. (2006). 중앙행정기관의 인적자원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육동한, 김태동, 박상헌, 김석중, 지경배, 김범수, 양희원. (2018). 2018평창동 계올림픽 성과와 과제.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2018-12호, 673.
윤동길. (2012). Herzberg의 동기-위생요인이 경찰관의 조직시민행동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윤준섭. (2014).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적자원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정보학회, 33(2), 135-153.
이경호. (2001).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이도화. (1996). 근로윤리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 및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 향. 한국노사관계학회 산업관계연구, 6, 461-480.
이세한. (2013). 직무환경요인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 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 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이은정. (2015). 조직 및 작업환경요인이 여성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이하영. (2017). 인적자원관리가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성과군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 학회, 51(2), 315-347.
인상우. (2014). 메가 스포츠이벤트 조직위원회의 단계적 변화양상에 대한 탐
색. 체육과학연구, 25(2), 328-340.
인상우. (2014). 메가스포츠이벤트의 목표와 성과체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 학회지, 19(2), 89-112.
임도빈, 양 인, 권형근, 한병훈. (2016). 올림픽 거버넌스 조직현상 : 서울올 림픽과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의 비교. 한국조직학회보, 13(3), 149- 182.
장경로, 김태희, 장 진. (2005). 스포츠조직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의 직 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비교 연구. 체육과학연구, 16(3), 131-14 3.
장지환. (2018). 임시조직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예비적 탐색 연구
–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조경호, 주재복. (2001). 조직유형별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35 (3), 163-180.
조병희. (1994). 개업의사들의 전문직업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 회학, 28(SUM), 37-64.
조태영, 박시원. (2017). 역할갈등에 따른 자원봉사 참여동기와 교육훈련이 만족과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1(2), 129-149.
최한원. (2011). 콜센터상담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을 통해 이직의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 학원.
최형원. (2010). 체육행정조직의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및 조직 헌신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황재연, 이윤영. (2017), 올림픽 조직위원회 직원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1), 331-345.
Alavi, J. (2004). A cross-cultural perspective of self-leadership, Jou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