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문제는 올림픽 조직위의 환경 ‘물리적환경, 심리적 환경, 근무혜택’이 ‘임시조직 재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직무만족’
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독립변수 모 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물리적 환경
회귀모형 25.943 1 25.943
31.210 .000 잔차 148.793 179 .831
합계 174.735 180
심리적 환경
회귀모형 52.579 1 52.579
77.045 .000 잔차 122.157 179 .682
합계 174.735 180
근무혜택
회귀모형 11.996 1 11.996
13.194 .000 잔차 162.740 179 .909
합계 174.735 180
[표 7] 매개변수의 유의성 검정
모 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
차 베타
(상수) 물리적환경
4.301 .286
.239
.051 .385
17.986 5.587
.000 .000 (상수)
심리적환경
2.442 .614
.363
.070 .549
6.730 8.778
.000 .000 (상수)
근무혜택
4.961 .152
.185
.042 .262
26.836 3.632
.000 .000 [표 8] 계수
독립변수를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근무혜택’으로 하고, ‘직무 만족’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식과 회귀식 계수의 유의성을 판단하면 모두 .000으로 모 두 p<.05의 유의수준 내에 있으므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모 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유의
확률
1
회귀모형 22.679 1 22.679
8.489 .004 잔차 478.220 179 2.672
합계 500.899 180
2
회귀모형 64.420 2 32.210
13.136 .000 잔차 436.479 178 2.452
합계 500.899 180
[표 9] 물리적환경 분산분석
‘물리적 환경’과 ‘직무만족’을 독립변수로 한 모형 1과 모형2의 유의확률 결과를 확인하면 두 가지 분석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로 판단 할 수 있 다.
모 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회귀모형 22.344 1 22.344
8.358 .004 잔차 478.555 179 2.673
합계 500.899 180
2
회귀모형 61.808 2 30.540
12.360 .000 잔차 439.818 178 2.471
합계 500.899 180
[표 10] 심리적환경 분산분석
‘심리적환경’과 ‘직무만족’을 독립변수로 한 모형 1과 모형2의 유의확률 결 과를 확인하면 두 가지 분석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로 판단 할 수 있다.
모 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
곱 F 유의확률
1
회귀모형 25.492 1 25.492
9.598 .002
잔차 475.406 179 2.656
합계 500.899 180
2
회귀모형 70.494 2 35.247
14.577 .000
잔차 430.405 178 2.418
합계 500.899 180
[표 11] 근무혜택 분산분석
‘근무혜택’과 ‘직무 만족’을 독립변수로 한 모형 1과 모형2의 유의확률 결 과를 확인하면 두 가지 분석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로 판단 할 수 있다.
모 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오 확률
차 베타
1 (상수)
물리적환경
3.662 .267
.429
.092 .213
.8544 2.914
.000 .004
2
(상수) 물리적환경
직무만족
1.385 .116 .530
.688 .095 .128
.092 .313
2.012 1.217 4.126
.046 .225 .000 [표 12] 물리적환경 매개회귀분석에 대한 계수
‘물리적환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재참여의도’로 한 매개 회귀분석에서 두 모형에서 사용한 독립변수의 베타값 을 비교하면 ‘모형1=.213 > 모형2=.092’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 만족’매개변수는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모 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 확률
오차 베타
1 (상수) 심리적환경
2.814 .400
.718
.138 .211
3.917 2.891
.000 .004
2
(상수) 심리적환경
직무만족
1.438 .054 .563
.773 .159 .142
.029 .333
1.861 .342 3.959
.064 .732 .000 [표 13] 심리적환경 매개회귀분석에 대한 계수
‘심리적환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재참여의도’로 한 매개 회귀분석에서 두 모형에서 사용한 독립변수의 베타값 을 비교하면 ‘모형1=.211 > 모형2=.029’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 만족’매개변수는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모 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
B 표준 확률
오차 베타
1 (상수) 근무혜택
3.956 .222
.316
.072 .226
12.519 3.098
.000 .002
2
(상수) 근무혜택 직무만족
1.347 .142 .526
.676 .071 .122
.144 .311
1.993 2.003 4.314
.048 .047 .000 [표 14] 근무혜택 매개회귀분석에 대한 계수
‘근무혜택’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재참여의도’로 한 매개 회귀분석에서 두 모형에서 사용한 독립변수의 베타값 을 비교하면 ‘모형1=.226 > 모형2=.144’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 만족’매개변수는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