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Ⅴ. 결론
인터넷 검색창에 ‘인문고전’, ‘고전 읽기’, ‘고전 독서’등을 검색어로 쳐 보면 ‘왜 고전 교육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고전을 읽어야하는지’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들이 끝없이 스크롤된다. ‘청소년들은 어휘력․사고력 확장을 위해, 청 년들은 취업에 도움이 되는 배경 지식을 쌓기 위해, 중장년층은 인생성찰을 위 해…’, ‘초등 6년 동안 고전 100권 읽기, 고전 독서 클럽 가입, 인문 고전 암송 교육…’ 이와 같은 고전 교육의 필요성을 호소하는 글들을 보고 있노라면 하루 빨리 고전을 읽지 않으면 큰 일이 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 다보면 본질은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바로 인간의 삶에 필요한 자양분 역할을 하 는 것이 고전이고 그렇기 때문에 고전 교육을 통해 인성을 가꿔나가자는 것이다.
다음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느끼게 해주는 신문 기사 일 부이다.
‘대학생 단톡방 성희롱 파문, 인성 교육 시급하다 - … 인성 교육을 등한시한 채 입시 위주 교육에 치중한 결과다. 그러다 보니 성적만 좋으면 어떤 짓을 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갖게 되고, 다른 사람이 입을 상처나 고통에 무감각해진 것이다.
… (매일경제)’
‘취업 관문 뚫기 위해선 스펙보다 인성이 중요 - …단순히 고정된 지식을 전달 하는 데서 벗어나 시대변화에 맞게끔 역동적으로 변화할 것을 주문하고, 학생들 개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키워 주도적인 삶을 열어갈 수 있도록… (국제뉴스)’
인성을 잘 가꿔나가는 첫걸음은 자신에 대한 성찰이고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이 고전 도서를 읽는 것이다. 많은 책을 읽는 가운데 깨닫게 되는 것을 체계화하고 내면화 하는 중에 자신에 대한 성찰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이다. 스스로 시비 를 가릴 줄 아는 판단 능력을 갖추고 사람으로서 지켜야할 도리를 알고 실천하는 능력이 바로 인성이고 이러한 인성을 잘 가꿔나가기 위해서는 고전 읽기 교육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고전 교양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고전 독서에 기초한 쓰기, 말하 기, 토론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프로그램이 적용․운영되어져야 한다. 읽기와 쓰기는 분리될 수 없고 여기에 말하기와 토론을 더해야 소통과 설득 능력이 함께 함양되
기 때문이다. 또한 고전 독서가 중심이기 때문에 인성 교육과도 직결될 수 있다.
‘C-STAR’는 독서만 하면 되는 단순한 프로그램이 아니다. 읽기, 쓰기, 말하 기, 듣기가 연동되는 고전 교양 교육 프로그램이다. 학생 활동형 교육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과 협업 능력을 길러주고, 독서자의 능동적 참여를 통 해 읽기 혁신을 이루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학생들은 고전 읽기 활동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즐거움을 알게 되고 이를 계기로 스스로 찾아 읽는 고전 독서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능동적 참여 수업으로 배움이 일어나고 자신이 알게 된 점, 함께 나누고 싶은 점 등을 활발하게 토의․토론하는 계기가 되어 더불어 살아가는 자주적인 민주시민의 자세를 함양할 수 있다.
다른 것보다도 이것 하나만은 잊지 말고 고전 교양 교육에서 반드시 실천해야한 다. 즉, ‘자신감 있고 즐거운 독서’이다. ‘C-STAR’는 고전 독서를 통해 학생 스스로 자신감을 찾게 하고 나름의 즐거움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다. 다음은‘C-STAR’세부 프로그램 성격과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➀ 표현 중심 프로그램 : 고전 독서를 한 후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며 짝과 의견을 교류하고 소통하는 ‘하브루타 러닝 - 말로 하는 읽기’, ‘고전 스피치 활동’
➁ 소통 중심 프로그램 : 고전 도서 목록에서 동아리별로 읽고 싶은 책을 선정 하고 자율적으로 계획을 세워 함께 소통하며 고전 독서를 하는 ‘Korea Great books program - 자율적 독서 활동’
➂ 과정 중심 프로그램 : 고전 독서를 한 후 이해한 내용을 동영상 제작, 소설쓰 기, PT 제작이라는 결과물을 산출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산출물 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각자의 역량을 키워가는 데 목적이 있는 ‘창의적 고전 글쓰기 - 패러디 글쓰기 활동’, ‘고전 콘텐츠 저작활동 - 내가 이해한 고전을 영상물로’, 고전 PT 페스티벌
‘C-STAR’프로그램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자아 존중감이 증대될 것이다. 고전 독서를 한 후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 느낌과 감정 등을 결부시키는 과정과 이를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산출물을 제 작해내면서 자신의 몫에 최선을 다하였다는 뿌듯함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칭찬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생기게 된다.
둘째, 고전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질 것이다. 다양한 활동은 학생 스스로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다. 교수자의 일방적인 강의를 통해서는 쉽게 이해 하지 못했던 것을 동영상 제작, 패러디 글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해 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들을 반복 수행하게 되면 점차 고전 텍스트 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고 깊어질 것이다.
셋째, 단순한 지식 전달 위주의 강의보다 학생 활동 프로그램 중심의 고전 수업 은 이미지나 동작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에 보다 더 익숙한 디지털 기반 멀티 미디어 세대로 하여금 고전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할 수 있다. 강독을 기반으로 하는 고전 교육이 외면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 참고문헌
Doug Beuhl, 노명완․정혜승 옮김, 협동적 학습을 위한 45가지 교실수업전략, 박이정, 2004, p.15.
강신주 외, 인문학명강: 동양고전, 21세기북스, 2013.
강신주, 철학이 필요한 시간, 사계절, 2011.
김성희, 「철학과 문학의 만남을 통한 토론 교육: 서강대 팀티칭 사례 연구」, 교 양교육연구제6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pp.71~97.
다케우치 미노루 저, 양억관 옮김, 절대지식 중국고전:4천년 중국문화의 원류를 읽는다, 이다미디어, 2015.
손승남 외, 동양고전에서 교육을 묻다, 한국학술정보, 2010.
신영복, 강의, 돌베개, 2004.
심경호, 「한국 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문학교육학제6권, 한국문학교육 학회, 2000, p.317.
이나미 리츠코 지음, 김태완 옮김, 고전이 된 삶, 메멘토, 2013.
이운부 외, 중국고전 읽는 법, 박이정, 2014.
이은숙, 「교양 교육의 전문성을 위한 문학 강의 사례-계명대학교 교양세미나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제1권 제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07, pp.81~99.
이황직,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 교육의 혁신-숙명여대의 인문학 독서와 토론 강
좌를 중심으로」, 독서연구제26권, 한국독서학회, 2011, pp.517~548.
전성수, 질문하는 공부법 하브루타, 라이온북스, 2014.
정민, 다산선생지식경영법, 김영사, 2006.
정인모,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1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3, pp.41~74.
최윤정, 「논어․맹자를 활용한 대학 인문고전 교양교육 사례 연구」, 동양문 화연구제22집,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pp.197~231.
최혜진, 「고전문학 교육과 문화콘텐츠 창작 교육」, 인문학연구제24호, 경희대 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p.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