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정책적 시사점

Dalam dokumen 통일정책연구 (Halaman 126-129)

North Korea Nuclear Reality and Nuclear Arms Control

I. 문제의식

Ⅳ. 결론: 정책적 시사점

이 글은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이면서도 실효적인 대응 방안 모색 차원에서 한반도 안보 상황에 부합하는 한국형 핵공유체제 구축을 모색하는 것이다. 비록 이번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온 워싱턴 선언으로 한미 경성 핵공유 체제 구축은 불가능하게 되었지만, 한미 연성 핵공유체제 구축마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비록 미국과의 연성 핵공유체제 구축이 힘들고 미국이 꺼리는 전략적 과 제인 것은 분명하지만 우리는 연성 핵공유체제 구축을 통해 북핵에 대한 확장억제 력의 신뢰성 강화와 주변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리의 핵잠재력을 확보‧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새롭게 구축될 한미 핵협의그룹을 내실화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한미 연성 핵공유체제의 토대를 닦아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중장기적으 로 한국의 핵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여 이를 추진해 나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핵협의그룹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을 위한 한미 협의를 미국에 요구하고 이를 관철해 나갈 수 있는 전략적 지혜 와 국민적 공감대 형성 및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핵잠수함 도입을 위한 한미 협의 와 협상은 한미 원자력협정과 무관하게 확장억제력 신뢰성 강화를 위한 한미 안보 협력 측면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확장억제력 강화의 궁극적 목적이 한반도 평화와 안보 증진에 있으므로 한반도 안정을 위한 현실적 군비통제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연성 핵공유체 제 구축과 더불어 외교부 장관이 대표하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군비통제를 촉진하는 이중 노선(Double Track)에 입각한 정책 지향이 필요하다.

제출: 5월 7일 심사: 5월 26일 채택: 5월 30일

참고문헌

1. 단행본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 안보 .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4.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론‧역사‧쟁점 .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2.

Arkin, William M. and Richard W. Fieldhouse, Nuclear Battlefields: Global Links in the Arms Race. Cambridge: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1985.

Fischer, Georges.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ew York: St.

Martin’s Press, 1971.

George Bunn and Chrisstopher Chyba(eds.). US Nuclear Weapons Policy.

Washington, D.C.: Brookings, 2006.

George W. Breslauer and Philip E. Tetlock(eds.). Learning in U.S. and Soviet Foreign Policy. Boulder: Westview Press, 1991.

Haftendorn, Helga. NATO and The Nuclear Revolution: A Crisis of Credibility, 1966-196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McLean, Scilla(ed.). How Nuclear Weapons Decisions Are Made.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Schofield, Julian. Strategic Nuclear Sharing. England: Palgrave Macmillan, 2014.

Trachtenberg, Marc. A Constructed Peace: The Making of the European Settlement, 1945-1963.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Usama Butt and Julian Schofield(eds.). The US, Geopolitics and Grand Strategies. London: Pluto, 2012.

2. 논문

김성한.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제 평가.” 국제관계연구 . 제25권 제2호, 2020.

박휘락. “남북 핵균형을 위한 미 핵무기 전진배치 방안 분석.” 정치‧정보연구 . 제22권 3호, 2019.

. “나토 핵공유 체제의 현황과 동북아시아 도입에 관한 시론적 분석.” 국가전략 . 제27권 1호, 2021.

이수형. “우크라이나 전쟁과 나토(NATO)의 신전략개념: 국제안보적 함의와 동북아 시 사점.” 안보학술논집 . 제33집, 2022.

조비연. “동아시아 비핵국가들의 Plan B: 핵잠재력 확보를 통한 잠재적‧보험적 억제력 구축.” 국가전략 . 제27권 4호, 2021.

황일도. “동맹과 핵공유: NATO 사례와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에 대한 시사점.” 국가전 략 . 제23권 1호, 2017.

황지환.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는 약화되어 왔는가?: 확장억지의 진화와 신뢰성의 재 평가.” 국가전략 . 제27권 3호, 2021.

Egeland, Kjolv. “Spreading the Burden: How NATO Became a Nuclear Alliance.” Diplomacy and Statecraft. vol. 31, no. 1, 2020.

Gerzhoy, G. “Alliance Coercion and Nuclear Restraint: How the United States Thwarted West Germany’s Nuclear Ambi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39, no. 4, 2015.

Melissen, Jan. “Nuclearizing NATO, 1957-1959: the Anglo-Saxons, nuclear sharing and the fourth country problem.”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20, no. 3, July 1994.

Whitlark, Rachel Elizabeth and Rupel N. Mehta. “Hedging Our Bets: Why Does Nuclear Latency Matter.” The Washington Quarterly. vol. 42, no. 1, 2019.

3. 기타 자료

The Washington Post.

한국국방연구원 <www.kida.re.kr>.

세종연구소 <www.sejong.org>.

아산정책연구원 <www.asaninst.org>.

The Diplomat <www.thediplomat.com>.

정성장.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 옵션과 한미동맹.” 2022 한미 핵전략포럼 발제 논문.

2022.12.16.

정성장.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 필요성과 추진 전략.”동북아외교안보포럼‧한국핵자강 전략포럼 토론회. 2023.2.15.

Hagel, Chuck, Malcolm, Kevin Rudd. “Prevent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Reassuring America’s Allies.” Task Force Report (The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February 10, 2021.

Legge, Michael. Theater Nuclear Weapons and the NATO Strategy of Flexible Response. Santa Monica: RAND Cooperation, 1983. R-2964-FF.

NATO. “NATO’s Nuclear Sharing Arrangements.”

Rudolf, Peter. “US Nuclear Deterrence Policy and Its Problems.” SWP Research Paper 10, November 2018.

Abstract

Dalam dokumen 통일정책연구 (Halaman 126-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