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행본
국방부. 『2018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018.
국방부. 『2022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022.
김정섭. 『외교상상력: 지나간 백년 다가올 미래』. 서울: MID, 2016.
도경옥 외. 『비핵화 합의와 이행의 법‧제도적 문제: 주요 비핵화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2022.
전성훈. 『미국의 대한 핵우산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12.
조남훈 외. 『한반도 비핵화 형태에 따른 동북아 정세변화와 우리의 대응』. 서울: 한국국방 연구원, 2019.
조남훈 외. 『핵억제전략의 시대적 변화 방향과 한반도 적용』.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8.
Healey, Denis. The Time of My Life. London: Michael Joseph, 1989.
Mearsheimer, John J. “Conventional Deterrence.” Conventional Deterre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Morgan, Patrick. “Collective-Actor Deterrence.” T. V. Paul, Patrick Morgan, and James Wirtz.(Ed.). Complex Deterrence: Strategy in the Global A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Tannenwald, Nina. The Nuclear Taboo: The United States and the Non-Use of Nuclear Weapons since 1945. Cambridge U.K.: Cambridge Univ. Press, 2008.
Paul K. Huth. Extended Deterrence and the Prevention of War. New Haven:
Yale Univ. Press, 1988.
Paul, T. V. “Complex Deterrence: An Introduction.” T. V. Paul, Patrick Morgan, and James Wirtz.(Ed.). Complex Deterrence: Strategy in the Global A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Snyder, Glenn H. “Deterrence and Defense.” 1961, edited by Robert J. Art and Kenneth N. Waltz. The Use of Force.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83.
Yost, David S. “US Extended Deterrence in NATO and North-East Asia.”
Perspective on Extended Deterrence. Researches & Documents NH, 2010.
2. 논문
김정섭. “한반도 확장억제의 재조명: 핵우산의 한계와 재래식 억제의 모색.” 『국가전략』.
제21권 2호, 2015.
박민 외. “핵확산금지조약(NPT) 실효성 강화를 위한 국제법적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제66권 제1호, 2021.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 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 전략.”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4.
박휘락. “북핵대응에 대한 한국의 비핵 “플랜 B” 검토: 자체 억제 및 방어태세의 보완.”
『의정연구』. 제25권 제3호(통권58호), 2019.
설인효. “미국의 핵전략과 맞춤형 확장억제정책의 이해.” 『주간국방논단』. 제1488호, 2013.
손한별. “A Common Nuke Currency (1): 핵무기 인식에 대한 두 가지 논쟁.” 『국방과 기술』. 제471호, 2018.
. “[A Common Nuke Currency (Ⅲ)] 억제효과 논쟁: 핵억제와 재래식억제.”
『국방과 기술』. 473호, 2018.
. “[A Common Nuke Currency (Ⅳ)] 거부적 억제와 보복억제: 한국형 3축 체 계.” 『국방과 기술』. 474호, 2018.
이상택. “북한 핵무기 사용가능성에 대한 전망과 군사적 대비방향.” 『한국동북아논총』.
Vol. 27 No. 4, 2022.
장용. “북한 핵‧장거리탄도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군사적 대응방안 연구.”『군사연 구』. 제144집, 2017.
황일도. “1960년대 유럽 3국의 선택과 한국의 ‘맞춤형 억제전략’.” 『국가안보와 전략』.
제21권 2호, 2021.
Klingner, Bruce. “Now Is Not the Time for South Korea To Go Nuclear.”
Commentary Asia. The Heritage Foundation, Aug. 4, 2022.
Lind, Jennifer & Daryl G. Press. “South Korea’s Nuclear Options.” Foreign Affairs. April 19, 2023.
O’Neil, Andrew. “Extended nuclear deterrence in East Asia: redundant or resurgent?.” International Affairs. vol. 87, no. 6, 2011.
3. 기타 자료
『경향신문』.
『국방일보』.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CCGA 홈페이지 여론 조사 결과. “Americans Continue to Back South Korea.”
2022.9.9.
심상민‧임정희. “한국형 3축 체계의 국제법적 검토.” 아산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