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 론

Dalam dokumen PDF 기본연구보고서 07- (Halaman 146-150)

풍력단지는 청정에너지로서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응수단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며,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 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안보에도 일조를 한다. 그러나, 풍 력단지가 거주지 가까이에 설치될 경우 소음이나 빛반사, 그늘, 저주파 등의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수반하여 님비시설화 될 수 있다. 가까운 사 례로 전술했듯이 제주도 난산지역은 풍력단지 건설에 따른 지역사회와 건설회사간의 갈등으로 풍력단지 건설이 중단된 바 있다.

한편, 풍황때문에 풍력단지는 산간지역에 지속적으로 건설되어왔고 향 후에도 이런 사정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산간지역에 건설될 경우, 개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나 관광객 증가 등 긍정적인 측 면도 있으나, 개발에 따른 생태계 교란, 주변 경관 훼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해외 사례 분석을 살펴보면 우선 스페인의 경우 중요 생태보존지역인 La Plana지역에 풍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이나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데에 대한 지불용의액을 컨조인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 에 대한 지불용의액은 연간 43,652원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경관에 대 한 영향을 최소하기 위한 지불용의액은 42,757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코틀랜드 사례에서는 수력, 육상 및 해상풍력,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경관이나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부정적 속성뿐만 아니 라 고용증가와 같은 긍정적 속성에 대한 지불용의액도 질문하였다. 동식 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액은 단순모형이

연간 19,209원, 확장모형이 22,762원으로 나타났고, 경관에 대한 영향을

최소하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순모형에서 14,972원, 확장모형에서 15,390 원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의 해외사례를 종합해보면, 풍력발전단지 건설로 인한 동식물 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액이 경관에 대한 영향 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액보다 대체로 높게 추정되었다는 것 이다. 물론, 스코틀랜드 사례는 풍력과 함께 다른 신․재생에너지원도 포함되었기 때문에 추정결과가 풍력만에 대한 가치평가가 아니라는 점 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산간지역에 설치될 경우 기대 되는 외부 편익과 외부 비용을 컨조인트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추정하고, 부분가치 혹은 속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에너지 국산화, 대기오염저감, 생태계 교란, 그리고 경관에 대한 영향을 설정하고, 이들 각각의 속성별 지불용의액을 도출하였다. 또한, 속성 및 사회-경제적 변수들에 대한 선 택 가능성을 분석하여 어떤 변수에 의해 선택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지 파악해 보았다.

500부의 유효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강원 및 경북지역 거주 자 대상과 풍력단지 방문 유경험자 대상 회귀분석이 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순위 선택법에 비해서 다항선택법 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응답자들이 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주어진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기 어려웠음 을 반영하는 것이다.

속성들의 선택에 대한 영향력은 에너지 국산화 > 지역경제활성화 >

대기오염개선 > 경관변형 > 생태계 교란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에너지 국산화 효과가 클수록,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클수록, 대기오염개선효 과가 클수록 선택 확률이 증가했고,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수록, 생 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수록 선택 확률이 높아졌다. 풍력단지가 건설 될 경우 경관이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정적 효과로 인 한 비용이 긍정적 효과로 인한 편익보다 적다면 풍력단지 건설은 사회 적으로 순편익을 발생시킨다.

설문대상의 이질성(heterogeneity)에 대해 평가해보면, 대도시 거주자 보다는 강원, 경북 거주자들이 보다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즉 풍력발전단지의 효과가 보다 직접적인 지역의 응답자들이 간접적 효과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대도시 거주자들보다 주어진 정보를 합리적 으로 이용하여 선택에 이용하였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회귀분석결과 풍력발전단지가 경관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경관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액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 액보다 더 높았다. 이는 전술한 해외사례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난 것이 다. 해외 사례에서는 동식물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

용의액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불용의액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적어도 풍력단지가 설치된 지 역 주민들의 경우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풍력단지가 주변 환경에서 보기 어려운 경관을 갖고 있어 오히려 관광자원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들도 있었으나, 적어도 풍력단지와 관련된 지역 주민들의 경우 경관을 저해하는 인공물로 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사회․경제적 변수 가운데 소득이 풍력단지 속성별 가치추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았다. 첫째, 고소득층에 대한 회귀분석이 저소 득층보다 우수한 분석결과를 보였다. 각 속성별 추정계수의 부호가 기대 부호와 일치하며, 유의수준도 높게 나타난 것이다. 둘째, 학력의 경우 고 학력일수록 지불용의액이 높고, 보다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셋째, 풍력단지 방문 유경험자의 경우 생태계와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불용의액이 다른 경우들보다 높게 형성되어, 직접적인 경 험이 부정적인 속성에 대해 보다 중요하게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풍력단지 속성별 부분가치를 강원 및 경북지역 응답자와 풍력단지 유 경험자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에 너지 국산화에 대한 연간 지불용의액은 각각 27,212원, 29,232원이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연간 지불용의액은 각각 21,440원, 23,410원으로 추정되었다. 대기오염 저감에 대한 연간 지불용의액은 각각 10,445원,

12,589원으로 추정되었고, 경관훼손을 개선하는 것에 대한 연간 지불용

의액은 각각 9,252원, 9,390원으로 나타났고, 생태계 교란을 개선하는 것 에 대한 연간 지불용의액은 각각 6,663원, 7,886원으로 추정되었다.

Dalam dokumen PDF 기본연구보고서 07- (Halaman 146-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