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발전차액 지원제도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투자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발전 에 의하여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가격이 산업자원부 장관이 정하여 고 시한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기준가격과 전력거래가격과의 차액(발전 가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이다.
전원 대상 구분 변경전 (원/kWh)
변경후(원/kWh) 고정요금 변동요금 비고
풍력 10kW이상 - 107.66 107.29 - 감소율 2%
(3년 이후)
<표 2-5> 설비용량 및 적용가격
산업자원부는 2002년 5월 29일 풍력발전의 발전차액 기준가액을 전력 거래가액의 2.2배인 107.66원/kWh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2006년에 이르 러 산업자원부는 그동안의 지원 실적, 설비이용율 및 환경변화 등을 반 영하여 기준가격을 현실화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 기준가격 지침을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기술개발․상용화 속도에 따라 가격 인하 추세에 있던 풍력의 기준가격은 연차별 일정비율로 인하하여 설정되었
다. 그간 5년으로 잠정 적용해왔던 수력 등 4개의 전원 적용기간은 15년
으로 일원화했고, 가격분류체계 역시 발전용량 등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또한 풍력 250MW의 누적설비 용량제한은 신․재생에너지의 시장 확대 추이를 고려하여 1,000MW로 확대되었다.
02년 03년 04년 05년 계 시설용량
거래량(MWh) 1,326 18,561 29,147 103,361 152,395 4개소 (83,385kW) 금액(백만원) 186 254 790 3,863 5,093
<표 2-6> 지원 실적
2002년 제도도입 후 신․재생에너지의 총 발전량은 1,094GWh, 차액
지원금은 약 218억원에 달한다. 이 중 풍력은 발전시설의 차액지원금 중
약 51억원을 차지해 23%의 원별 비중을 갖고 있다.
2005년 12월 말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기준가격 지원대상 발전
시설은 총 65개이며, 총 발전시설 용량은 164MW이다.
나. 보급보조사업
보급보조사업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하여 설치비의 일정부분을 정부에서 보조하여 국산 제품의 상용화를 촉진시키고 초기시장창출 및 보급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신청자격은 해당시설 설치 예정지 의 소유자(대표자)이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제외된다.(단, 시․도 교 육처는 가능하다.)
1) 시범보급사업
시범보급사업은 해당분야의 정부지원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에너 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 참여기업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한 자에 한해서 적용된다. 개발된 신․재생에너지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시 범보급설비(정부지원 R&D 활용조건)로 자가용에 한해 설치비의 최대 80% 이내를 지원하게 된다.
2) 일반보급사업
일반보급사업은 산자부고시 제2006-9호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지원․
설치․관리에 관한 기준”에 의해 혐기소화 시스템을 제외한 전문기업의 참여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보급사업에서 개발된 신․재생에너지기 술은 상용화된 일반 보급설비로서 자가용에 한해 설치비의 최대 70%를 지원 받는다. 현재 풍력의 경우 일반보급사업의 일환으로 약 소요시설설
비의 70%이내를 지원받고 있다.
전문기업의 참여기준은 공통적으로 지원사업 공고일 기준 제2조 제11 호에 해당하는 “전문기업”으로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
“참여기업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하고, 사무실면적 30평방미터 이상을
소유해야만 한다.
발전설비의 경우에는 전기공사업을 등록한 기업으로, 지원사업 공고일 을 기준으로 최근 3년 이내에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용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또한 kW급 1기 이상 또는 누적용량 5kW 이상을 직접 설 치해야 하며, 소수력의 경우 100kW급 1기 이상을 직접 설치해야 한다.
이에 반해 열 이용설비는 기계설비공사업 또는 난방시공을 등록한 기 업이어야 한다.
다. 융자지원제도
융자 지원은 시설자금과 운전자금으로 나누어지며, 융자한도는 150억 원 이내이다. 운전자금으로 10억원을 지원하며 태양열 온수기의 경우 시 설 당 300만원 이내를 지원한다. 지원율은 소요자금의 90% 이내이며 단, 대기업은 80% 이내이다.
1) 시설자금
사업명
당해년도 동일사업자당
지원한도액
이자율
(분기별 변동금리) 대출기간
중대형 신․재생
에너지 보급사업 150억원 이내
3.75%
(국고채변동금리, 2006년 1/4분기
현재)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소형 신․재생
에너지 보급사업
5억원 이내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공용화 품목지원 신․재생에너지 기술사업화지원
<표 2-7>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시설자금 융자
시설자금 융자대상은 신․재생에너지 이용․생산 공급시설을 설치하 고자 하는 자이거나, 이용시설을 생산하는 자 및 A/S를 위해 공동망을 관리하는 자에 해당한다.
2) 운전자금
지원대상
당해년도 동일사업자당
지원한도액
이자율 (분기별 변동금리)
대출기간
신․재생에너지 이용시설 생산자
5억원 이내
3.75%
(국고채변동금리, 2006년 1/4분기
현재)
1년 거치 2년 분할상환 A/S를 위한 공동망 관리자
신․재생에너지 생산공급자 신․재생에너지설비 등
공용화품목
<표 2-8>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운전자금 융자
운전자금은 신․재생에너지시설 생산자 및 A/S를 위한 공동망관리자, 신․재생에너지 생산 공급자, 신․재생에너지설비 등의 공용화품목에 해 당한다.
3) 사업안내
지원사업으로는 융자신청금액이 5억원을 넘어서는 시설에 대한 중대 형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과 5억원 이하인 시설에 해당하는 소형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이 있다. 그 밖에도 신․재생에너지 공용화품목 의 개발, 제조 및 수급 조절자에 대해 지원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사업화에 대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이중 신․재생에너지 보급사 업 지원 예산은 2006년을 기준으로 약 1,213억 원이 소요되었다.
구분 에․특자금 전력기금
지원대상
기금에서 제외된 시설의 설치 또는 생산설비․운전자금
태양광, 풍력, 소수력 발전사업자의 시설
설치
자 금 운 용
중대형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566억원 577억원
소형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50억원 10억원
태양열
온수기 사업 10억원
합계 626억원 587억원
<표 2-9> 2006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지원 예산
라. 지방보급사업
지역 특성에 맞는 환경 친화적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체계를 구축하 고, 에너지 이용합리화에 따른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에서 추진하는 제반 사업을 뜻한다. 지방보급사업은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5조 (‘04. 7.12) 및 신․재생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 제 27조, 그
리고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지원․설치․관리에 관한 기준”(산업자원부
고시 제2006-9호)에 근거한다.
신․재생에너지시설 등을 설치할 시에 지방단체가 70~100% 이내에서 자금을 보조하게 된다. 지원대상은 16개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방자치단
체로, 신․재생에너지의 시설, 홍보 및 타당성 조사 등을 지원한다.
1) 기반구축사업
기반구축사업은 지자체가 지역 내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거나 활용하기 위한 사업으로, 교육․홍보사업, 타당성조사사업 등이 해당된 다.
2) 시설보조사업
시설보조사업은 지역 내의 에너지수습안정 또는 에너지이용합리화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에너지관련 시설 및 설비 지원사업으로, 태양광발전 시설 설치사업과 수력발전시설 설치사업 등이 있다.
3) Green Village 조성사업
Green Village 조성 사업은, 신․재생에너지로 필요한 에너지를 자급
자족하는 약 50호 규모의 환경친화적인 시범마을을 조성하는 것이다. 현 재 광주, 대구, 울산, 강원, 제주 등 8개 시․도에 Green Village를 지정
(광주조선대, 대구 봉무지구, 제주 한경, 강원 속초, 전북 완주, 울산 울
주, 충남 부여, 전남 순천)하고 조성 중에 있다. 2006년도에는 추가로
3~5개소의 Green Village 신규조성을 추진하였으며, 대규모 신․재생에
너지 복합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마.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거래제도
2005년 2월 7일에 시행되어,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자에게
보다 쉽게 잉여전력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의 보
급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발전설비용량 200kW 이하의 발전사업자 및 자가용발전설 비 설치자는 생산한 전력을 전력시장을 통하지 않고 전기판매사업자(한 국전력공사)와 거래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자가용발전설비 설치자는 자 기가 생산한 전력의 연간 총생산량의 50% 미만의 범위 안에서 거래를 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중 풍력발전의 기준가격은 2006년 10월 11 일 이전에 설치되었을 경우 107.66원/kWh, 이후의 것은 107.29원/kWh 로 변경되었다. 이 때 전기판매사업자가 전기공급자에게 지급할 금액은 계량된 전력거래량에 kWh당 단가를 곱한 것이다. 단가는 대체에너지이 용발전전력의 기준가격 지침에서 규정한 전원별 기준가격을 적용하지만, 당해 발전설비가 기준가격의 적용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전력시장의 월 가중평균계통한계가격을 적용한다.
‘상계에 의한 발전전력의 거래’로써 발전설비용량 3kW 이하인 전기공
급자의 경우에는 전기판매사업자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 해 설치된 전기계기 등을 이용하여 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경우, 3~10kW 사이에서는 상계에 의한 전력거래도 불가능하고 기준가 격도 적용 받지 못하여 전력시장의 월가중평균계통한계가격을 적용받게 되는 불리한 점이 있다(10kW 이상에서는 기준가격을 적용받는다.).
바. 발전소 주변의 지원제도
2006년 1월 1일부터 한전과 전력수급계약을 맺은 발전소 및 일정규모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주변지역도 지원 사업 대상에 포함시킴 으로서, 그동안 기금지원을 받지 못하고 소외되었던 발전소 주변지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