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제적 영향

Dalam dokumen PDF DSpace at KINU : Home (Halaman 81-100)

I. 서 론 | 신종호

1. 경제적 영향

북한의

4

차 핵실험 이후 대북제재는 여러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 지만

,

그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경제제재라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대북제재가 북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 다

.

핵심 이슈는 북한 정권의 외화 자금줄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차 단되고 있느냐는 점이다

.

2016

3

UN

안보리 결의

2270

호가 채택되면서 기존 제재보 다 훨씬 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 2016

11

월 현재 까지는 북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북한 대외 무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북중 무역은 대체로 현상유지 상태에 있 으며

,

북한 내부 경제에서도 제재 효과라고 할 만한 특이 동향은 관 찰되지 않고 있다

.

그러나

5

차 핵실험 이후

11

월 말에 채택된

UN

안보리 결의

2321

호가 북한의 광산물 수출에 대한 제재를 크게 강화함에 따라

64

2017

년에는 북한의 대외무역이 상당히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

이 로 인해 북한 내부 경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가. 북중 무역 개관

북한에 대한

UN

차원의 제재는 형식적으로는 모든

UN

회원국 이 참여하는 다자제재이지만

,

실질적으로는 중국 정부가 담당하는 북중 무역 제재라고 할 수 있다

.

과거에 북한의 주요 무역 상대국은 한

·

·

3

국이었으나 한일 양국의 대북제재로 북일 무역과 남북 교역이 중단됨에 따라 북한의 대외무역은 사실상 북중 무역으로 단 일화되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중국 의존도가 높아졌다

.

나머지 나 라들과의 거래 규모는 얼마 되지 않으며

,

거래를 하더라도 중국을 통하는 경우가 많다

.

주요 제재 대상 품목인 광산물

(

석탄

,

,

철광 석 등

)

도 거의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된다

.

그렇다면

UN

안보리 결의

2270

호가 통과된

2016

3

월 이후 북 중 무역은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

언뜻 보기에는

2

분기 북한의 대 중국 수출이

2015

2

분기 대비

10%

이상 감소해 어느 정도 제재 효과가 나타난 것 같은 인상을 받게 된다

.

그러나

3

분기 실적은

2015

년과 비슷했고

1~10

월 합계도

2015

년과 큰 차이가 없었다

. 2016

1~10

월 대중국 수출은

2015

년과 거의 비슷했으며

,

대중국 수입은

2015

년보다 오히려 약간 증가했다

.

더욱이

2016

년에 북중 무역이 보인 추세는

2015

년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이라는 점에 주 목할 필요가 있다

. <

Ⅳ-1>

에서 볼 수 있듯이 북중 무역은

2010

~2011

년 급증

→ 2012~2014

년 현상유지

→ 2015

년 감소 국면을 거쳐

2016

년에는 다시 현상유지 상태로 돌아왔다

.

흔히 이야기하듯

2016

년의 신규

UN

제재가 그렇게 강력한 것이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65 라면

, 2016

년 북중 무역은

2015

년보다 더 많이 감소했어야 하는데

,

실제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는지 이해하려면

,

주요 제재 대상 품목의 거래 동향을 자세히 살펴볼 필 요가 있다

.

<표 IV-1> 북한의 대중국 수출입 추이

(단위: 억 달러,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분기 2분기 3분기 1-10월 합계 대중국 수출액 11.9 24.6 24.8 29.1 28.7 24.8 5.7 5.5 7.4 20.9 (전년 대비 증감률) 50.6 106.3 0.8 17.2 -1.5 -13.4 4.2 -12.6 1.6 -0.1 대중국 수입액 22.8 31.7 34.5 36.3 40.2 32.3 6.1 8.0 8.1 25.1 (전년 대비 증감률) 20.6 39.0 8.9 5.4 10.7 -19.8 8.0 3.4 5.2 6.4

자료: UN Comtrade Database; KOTRA, 북한의 대외무역 동향(각 연도);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DB.

주: 중국무역통계에서 2014년부터 북한의 원유 수입(중국의 원유 수출)이 누락되어 있으나 KOTRA에서 2014, 2015년 원유 수입 수치를 추정 산입함. 단, 2016년 수치는 원유 수입이 제외된 것임.

나. UN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후 주요 제재 대상 품목 거래 동향

UN

안보리 결의

2270

호가 취한 가장 중요한 제재 조치는 북한 의 주요 외화벌이 사업인 광산물 수출에 제한을 가한 것이다

.

석탄

,

,

철광석 등

3

개 품목에 대해서는 민생용 수출은 허용하되 대량 살상무기 개발에 기여하는 수출은 금지하기로 했고

,

금과 티타늄

,

바나듐

,

희토류 거래는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

그 후 이들 품목의 수출은 어떻게 되었을까

?

흔히 언론에서는 제재 집행 이후 수출 동 향만 추적하지만

,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이들 품목의 장기 수 출 추세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

66

먼저 북한 광산물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탄

,

,

철광석 수 출의 장기 추세를 보자

.

81

<

그림

IV-1>

에서 보듯이 석탄 수출액은 대략

2010

년부터

2013

년 상반기까지 크게 증가했다가 그 후

2015

년 연말까지 감소세를 보였다

.

주목해야 할 점은

2016

년 초부터 추 세선

(6

차 다항식

)

이 증가세로 반전되었으며 신규 제재가 증가세를 꺾지 못했다는 것이다

.

철 및 철광석 수출의 장기 추세도 대체로 비슷하다

.

<그림 IV-1> 북한의 월별 대중국 석탄, 철 및 철광석 수출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DB.

주: 각 품목의 통계코드는 석탄(HS 2701), 철(HS 72), 철광석(HS 2601).

81 (HS 72)은 엄밀히 말하면 공산품(1차 금속제품)이지만, 북한이 수출하는 철은 대부분 철광석의 단순 가공품에 불과해 광산물의 성격이 강하다.여기서는 철과 철광석을 하나로 묶어 그 추세를 살펴본다.한편,아래에서 살펴보는 월별 수출액, 단가,물량 자료는 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DB에서 뽑은 것이다.DB에는 20098~11월 기간 중 북한과의 무역 자료가 누락되어 있는데,이 부분은 기타 아시아 국가’(국가코드 199)와의 무역으로 잘못 기입된 것으로 추측되므로 이 부 분을 북중 무역에 포함시켜 통계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을 포함시키면 2009 연간 북중 무역액은 UN Comtrade Database에 보고된 수치와 거의 같아진다.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67 신규 제재 이후 상황을 좀 더 자세히 보면

,

석탄 수출액은

2016

2

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많이 감소

(-28.4%)

했지만

3

분기에는 반대로 증가세

(+5.0%)

로 돌아섰다

.

이를 두고 중국 정부가 처음에 는 어느 정도 제재를 집행했지만 한미 정부가 사드

(THAAD)

배치 를 결정하자 정책을 바꾼 것처럼 보는 시각이 많다

.

그러나 이런 해석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만 본 데 따른 통계적 착시일 가능성 이 높다

. <

그림

IV-1>

에서 볼 수 있듯이

2015

2

분기에 석탄 수 출 실적이 예외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해

2016

2

분기가 부진해 보였을 뿐이다

.

석탄 수출이 바닥에 도달했던

2015

4

분기 와 비교하면

2016

년 실적은 대체로 증가세로 해석할 수 있다

.

또 다른 제재 대상 품목인 철과 철광석의 수출 추이는 사드 문제 때문에 중국의 제재 정책이 달라졌다는 통상적 해석이 무리한 것임 을 잘 보여준다

.

철과 철광석 수출은 석탄과 반대로

2

분기에 급증 세를 보였다가

3

분기부터 하락세로 돌아섰다

.

석탄

,

,

철광석의 수출에 제재가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는 이 들 품목의 수출 실적만 보아서는 알 수 없다

.

제재는 수출 실적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

북한의 광산물 수출은 상업적 거래이며

,

그 동향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대체로 경제적 성 격을 가지고 있다

. <

IV-2>

에서 볼 수 있듯이 북한의 석탄

,

,

철광석 수출을 결정하는 직접적 요인은 가격 요인과 물량 요인으 로 나눠 볼 수 있고

,

각각의 배후에는 간접적 또는 근본적 요인이 있다

.

68

<표 IV-2> 북한의 대중국 석탄, 철, 철광석 수출 결정요인

직접적 요인 간접적 요인

석탄 (무연탄)

수출

북한산 무연탄 가격 국제 석탄 가격

세계 석탄 수요(=중국+기타 국가 수요)

세계 석탄 생산능력 석탄 채굴 생산성(채굴 기술) 중국의 북한산

무연탄 수입수요

중국 경제성장 추세

중국 정부 에너지 정책(석탄 소비 억제) 여타 국가(주로 베트남)의 무연탄 수출여력 북한의

생산량/생산능력

탄광에 대한 투자(=중국기업의 투자+북한 자체 투자)및 노동력 투입

철 및 철광석 수출

북한산 철/철광석 가격

국제 철광석/철강 가격

세계 철광석 수요(=중국+기타 국가 수요)

중국의 북한산 철 및 철광석 수입수요

중국 철강경기

추세 중국 경제성장 추세 북한의

생산량/생산능력

광산/제철소에 대한 투자(=중국 기업의 투자 + 북한 자체 투자) 및 노동력 투입

자료: 김석진, 『북한 외화벌이 추세와 전망』(서울: 통일연구원, 2015), pp. 5~17을 참고하여 필자 작성.

이런 다양한 요인들을 아우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중국의 성장 세와 이에 따른 광산물 수요이다

.

북한의 대중국 광산물 수출이

2013

년까지 크게 증가했던 것은 중국의 수요가 증가한 데다 그 덕 분에 국제 원자재 가격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

반대로 그 후 광산물 수출이 하향세를 보인 것은 중국의 성장 둔화로 수요가 부진해지고 국제 원자재 가격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 2016

년에 북한의 광산물 수출이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세로 반전할 기미까지 보인 것은 중국 의 수요 및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세가 멈췄기 때문이다

.

특히 세계 및 중국 광산물 시장 동향을 집약하는 바로미터는 국 제 원자재 가격이다

. <

그림

IV-2>

<

그림

IV-3>

에서 보듯이 북 한산 석탄과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단가도 국제 석탄 및 철광석 가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69 격을 따라 움직인다

.

국제 석탄 및 철광석 가격은 지난 몇 년 동안 가파르게 떨어졌지만

2016

년에는 하락세를 멈추고 약간 반전할 조 짐을 보이고 있다

. 2016

년에 북한의 석탄

,

,

철광석 수출 추세가 제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반등할 조짐까지 보이게 된

1

차적 이유 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하지만 중국의 상대적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어 북한산 석탄

,

,

철광석의 대중국 수출이 하향 안정 세에서 아주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

<그림 IV-2> 국제 석탄 가격과 북한산 무연탄 단가 추이

(단위: 톤당 달러)

자료: World Bank, Global Economic Monitor(GEM) Commodities Database;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DB.

주: 북한산 무연탄 통계코드는 HS 27011100.

Dalam dokumen PDF DSpace at KINU : Home (Halaman 8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