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 신종호
3. 정치·사회적 효과
가. 기존의 분석 현황
UN
이 결의한 모든 경제적 제재에 대해 다층적 효과를 연구한‘
표적제재컨소시움(Targeted Sanction Consortium: TSC,
이하TSC)’ Database
100는 제제의 효과를 정치적 효과와 사회·
심리적 효과로 구분하고 있다.
정치적 효과는 다시‘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 화(political dynamic)’
로 대변되는 직접적 효과와‘
정치적 리더십 의 변화’, ‘
배급제도의 도입’, ‘
사회기반시설 및 통치능력의 약화’
등 을 포함하는 간접적 효과로 나누어진다. TSC Database
는 사회·
심 리적 효과 역시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직100Targeted Sanction Consortium Database, <http://graduateinstitute.ch/ho me/research/centresandprogrammes/international-governance/research-p rojects/UN_Targeted_Sanctions/targeted-sanctions-consortium-da.htm l>. (검색일: 2016.11.16.).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93 접적 효과는 정권 또는 권력자에 대한 불만고조 또는 정권의 고립 화 현상을 포함하는 반면 간접적 효과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사회 심리적 효과를 의미한다
.
TSC Database
는 대북제재 결의안,
즉1718
호(2006.6.14.~
2009.4. 13.), 1874
호(2009.4.13.~2013.3.7.), 2094
호(2013.3.7.~
2016.3.2.)
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정치적 효과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또한4
차 북핵 실험을 계기로 채택된 결의안2270
호 이후 북한의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화 및 통치 능력의 약화 를 보여주는 직접적 증거는 아직까지 관찰되고 있지 않다.
영국주 재 북한 대사관 태영호 공사의 망명을 비롯한 탈북 사건들이 김정 은 정권의 정치적 구심력 약화를 시사한다는 분석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해석이 성급하다는 분석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제재의 정 치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와 시간이 필요하다. TSC Database
는 북한의 사회적·
심리적 영향력(social or psychological impact)
에 대해서는 다소 모호한 결론을 내리고 있 다.
즉,
간접적 영향력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직접적 영향력은 관찰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사례나 증거가 직접적 또는 사회 심리적 영향력인지를 명시하지는 않았다.
많은 전문가들 은 결의안1718
호의 사회·
심리적 효과에 대해서 증거나 사례를 들 지 않았으며, 2094
호에 대해서는 제재에 대한 북한의 전반적 반응 을 증거로 들었다.
대북제재 결의안
2270
호 채택 이후 북한의 정권 또는 권력자에 대한 불만이 증가했는가?
최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의 조사에 따르면 북한 주민36
명 중35
명이 개인적으로 국가나 삶에 대해 불평 및 비난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CSIS
의 조사는 북한에 거주하고 있
94
는 주민들이 직접적으로 정치적 견해를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 미를 가진다
.
하지만 정권에 대한 불만이 높다는CSIS
의 결과를 제재의 효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존재한다.
왜냐하 면,
첫째, CSIS
조사가 언제 이루어졌는지 밝히고 있지 않기 때문 에 제재의 효과로 판단할 근거가 없다.
둘째, CSIS
의 결과는 서울 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올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토대로 발표한 김정은에 대한 지지도 결과와 상충된다.
101 따라서CSIS
의 조사 결과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직접적인 사 회·
심리적 효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북제재가
2006
년 이후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결의안2270
호의 효과를 일시적·
독립적으로 보기 보다는 점진적·
누적적 효과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결국 과거로부터 연결되는 현재 시점에 서 상층 엘리트 집단과 북한 주민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평가 하고,
제재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 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의안2270
호가 시행된 지6
개월이 막 지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도출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 TSC Database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 들이 대북제재의 사회·
심리적 효과를 근거로 북한 정권의 반응을 제시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SC
연구자들이 대북제재 결의안2094
호에 대해 북한 정권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해 적시하지 않았지만,
적어도TSC
연구자들은 북한 정권의 반응을 제재의 사회·
심리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음101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밝힌 올해 김정은의 지지도는 63%로 작년 대비 4.9% 상승하였다.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95 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이 장에서는 노동신문에 나타난 대북제재 결의안
2270
호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특히3
차 핵실험 이후의 결의안인2094
호에 대한 북한의 반응과 비교함으로써 북한 반응의 공통점과 차이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노동신문에 대한 분석은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기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나. 노동신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
분석 대상은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
2270
호가 채택된2016
년3
월2
일부터5
차 핵실험 실시 전날인2016
년9
월8
일까지190
일간 노 동신문 기사(
이하4
차 핵실험 기사)
와2094
호가 채택된2013
년3
월17
일부터2016
년9
월23
일까지190
일간의 노동신문 기사(
이하3
차 핵실험 기사)
이다.
각 기간별 노동신문 기사 중 제재가 언급된 기사를 선택하였다. 3
차 핵실험 기사는389
건이었으며4
차 핵실험 기사는656
건이었다. 190
일이라는 동일한 기간을 감안한다면 북한 이3
차 핵실험에 비해4
차 핵실험 후 제재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반감을 표명했다고 해석될 수 있다.
(1) 토픽 모형 분석
토픽 모형이란 각 문서의 토픽을 도출하여 문서 간 차이를 분석하 는 것이다
.
토픽은 문서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지만 문서에 사용되는 단어들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면‘
미국에 대한 비난’
이 토픽이라면 토픽에 부합하는 다양한 단어들이 생성된 다는 것이다.
토픽 모형 분석에서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을 통해 문서의 토픽 분포를 결정하고 토픽별로 주요 단어들을 식별한다.
96
토픽 1(외부메시지: 전쟁위협) 토픽 2(내부메시지)
미국 미국
인민 인민
조선 핵
핵 혁명
전쟁 나라
나라 당
남조선 조선
괴뢰 남조선
조선반도 세계
건설 민족
침략 건설
평화 제재
본 분석에서는
3
차 핵실험과4
차 핵실험 기사에 대한 토픽을2-10
개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2
개의 토픽에서 차이를 보 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IV-7>
에 제시했고,
토픽별 키워드는<
표IV-5>
에 제시하였다.
<그림 IV-7> 3차 및 4차 북핵 실험에 대한 노동신문 기사별 토픽 분포
자료: 필자 작성.
<표 IV-5> 3차 및 4차 북핵 실험에 대한 노동신문 토픽별 주요 키워드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97 토픽 1(외부메시지: 전쟁위협) 토픽 2(내부메시지)
책동 조국
조국 힘
민족 사회주의
미제 통일
제재 승리
세계 투쟁
도발 괴뢰
경제 전투
자료: 필자 작성.
<
그림IV-5>
에서 보듯이3
차 핵실험 기사에서는 토픽1
이 우세 한 반면4
차 핵실험 기사는 토픽2
가 우세하다.
토픽1
과 토픽2
를 구성하는 공통 키워드를 제외하면 토픽1
의 특징적 키워드는 전쟁,
조선반도,
침략,
도발,
책동 등이며 토픽2
의 특징적 키워드는 혁명,
당,
힘,
사회주의,
통일,
승리,
전투 등으로 볼 수 있다.
즉 토픽1
은 전쟁에 대한 위협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토픽2
는 사회주의 혁명과 당,
그리고70
일 전투 및200
일 전투 등으로 대변되는 내부의 단결 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3
차 핵실험 이후 제재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대외적 메시지에 주력한 반면4
차 핵실험 이후 제재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대내적 메시지 전달에 주 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단어빈도 및 역빈도(TF-IDF) 분석
‘
단어빈도 및 역빈도(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지수는 문서에서 중요성을 보여주는 통계 적 수치이다. 3
차 핵실험 기사와4
차 핵실험 기사의TF-IDF
를 분 석한 후 상위20
개 단어를<
표IV-6>
에 제시하였다.
98
3차 핵실험 기사 4차 핵실험 기사
미국 미국
인민 인민
조선 혁명
전쟁 나라
나라 조선
남조선 남조선
괴뢰 세계
조선반도 민족
건설 건설
침략 제재
평화 박근혜
책동 조국
조국 사회주의
민족 통일
미제 승리
세계 투쟁
제재 괴뢰
도발 전쟁
경제 책동
혁명 전투
<표 IV-6> 3차 및 4차 북핵 실험에 대한 노동신문 기사의 TF-IDF 상위 20개 단어
자료: 필자 작성.
TF-IDF
분석 결과는 토픽 분석 결과와 유사하다. 3
차 핵실험 기사에서‘
전쟁’
은4
번째에 위치하지만4
차 핵실험 기사에서는18
번째에 위치한다.
반면 혁명은4
차 핵실험에서 세 번째에 위치하지 만3
차 핵실험에서는20
번째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토픽 모형 분석 에서 관찰된 토픽1
의 주요 키워드들은3
차 핵실험 기사에서 높은TF-IDF
를 보이고 있지만 토픽2
의 주요 키워드들은4
차 핵실험
Ⅳ. 대북제재의 영향 분석
99 3차 북핵 실험 기사 4차 북핵 실험 기사
단어 빈도 단어 빈도
미국 3588 미국 4577
인민 2258 인민 3545
조선 1900 핵 3005
핵 1896 혁명 2789
전쟁 1441 나라 2701
나라 1423 당 2565
남조선 1378 조선 2428
괴뢰 1203 남조선 2020
조선반도 1155 세계 1995
건설 1096 민족 1814
침략 958 건설 1781
평화 958 제재 1747
책동 956 조국 1658
조국 940 힘 1621
민족 899 사회주의 1509
기사에서 높은
TF-IDF
를 보여주고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4
차 핵실험 기사에서 높은TF-IDF
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즉 북한은3
차 핵실험에 비해4
차 핵실험 이후 박 근혜 대통령에 대한 실명 비난에 역점을 두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3) 최빈 단어 분석
3
차 북핵 실험 기사와4
차 북핵 실험 기사에서 가장 많이 관찰된 단어와 빈도수를<
표IV-7>
에 제시하였다.
<표 IV-7> 3차 및 4차 북핵 실험에 대한 노동신문 기사의 최빈 단어와 빈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