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간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Dalam dokumen 2017 공공기관 협업 우수사례집 (Halaman 153-161)

󰠛153

협업목적

◦ 실시간 범죄대응 및 시민 참여형 서비스 등 공간정보 전문기술 보유기관과 지자체가 협업을 통한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서비스 확산’

- CCTV, 범죄 지도, 스마트폰 정밀위치 등 공간정보를 활용한 방범 기술 개발 및 지자체 통합관제센터 연계를 통한 시민 체감형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협업내용

◦ 공간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방범 서비스 기획 및 협업 총괄(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공간정보기술 보유기관, 학계, 지자체를 연계한 지능형 방범 서비스 기획 및 협업

총괄

◦ 실내・외 신고자 정밀위치제공 서비스 개발(인하대학교)

- 스마트폰 기반 골목길 등 우범지역에서 정밀한 위치제공(10m이내)

◦ 공간정보기반 지능형 CCTV 서비스 개발(공간정보산업진흥원) - 범죄 지도와 CCTV를 자동 연계하여 실시간 범죄자 도주 경로 추적

◦ 지능형 방범 통합운영서비스 개발(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양시청, 한국디자인 진흥원)

- 지능형 CCTV 및 정밀위치제공 서비스, 안전 도시환경 디자인 등 공간정보 기반 통합 방범 운영 서비스

󰠛155

18 • 공간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협업기관 및 역할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안양시청 등 6개 기관(지자체・연구소, 학계 등)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주관): 공간정보 지능형 방범 기술・서비스 R&D 기획 총괄 및 관리

- 한국건설기술연구원(협조): 지능형 방범 서비스 설계, 시설 구축 - 인하대학교(협조): 실내・외 신고자 정밀위치제공 서비스 - 공간정보산업진흥원(협조): 공간정보기반 지능형 CCTV 서비스 - 안양시청(협조): 지능형 방범 센터운영 및 공공용지 제공 - 한국디자인진흥원(협조): 안전한 도시환경 디자인 조성

▼ 협업 기관별 상세 수행 내용

협업 추진경과

◦ 지능형 방범 서비스 협업기관 간 협의체 운영(’17년 총 17회) - 협업기관 간 업무 추진 일정, 서비스 전략, 애로사항 등 공유

◦ 신고자의 정밀위치제공 가능한 저가형 단말기 및 SW 개발(’17.6.)

- 골목길 등 우범지역에서의 방범 서비스 향상을 위한 신고자 정밀위치제공 솔루션

◦ 공간정보 지능형 방범 통합센터 구축(’17.9.)

- Stere‐CCTV 10개소, 다중 CCTV 협업 장비, 서버・전력망・통신망, 전산장비 등 안양시청(지자체) 통합센터 구축

◦ 협업 지자체 지능형 방범 CCTV 10개소 설치(’17.10.)

󰠛157

18 • 공간정보를 활용한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 4대 강력범죄 대상 지능형 방범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 개발(’17.11.)

- 살인, 강도, 성범죄, 방화 등 4대 강력범죄 발생 시 협업기관별 연계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 개발

* 범죄유형, 시간대, 신고유형별 대응 시나리오 구체화

◦ 협업기관별 공간정보 지능형 방범 기술성과 검증(’17.12.)

- 신고자 정밀위치제공 서비스, Stereo‐CCTV 기반 범죄자 자동・반자동 추적 서비스 등 지능형 방범 서비스 테스트 검증

협업 주요성과

◦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서비스 지자체 통합센터 구축

◦ 공간정보 연구소, 학계와 지자체가 협업을 통해 시민 체감형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 우범지역 신고자 위치정보 개선: 골목길 등 우범지역에서 10m 이내 신고자 정밀위치 제공

- 지능형 공간정보 기반 CCTV 성능 개선: 기존 지자체의 비효율적인 CCTV 수작업 관리를 공간정보 기반으로 자동화하여 효 율성 극대화

- 지자체 통합 지능형 방범 서비스 제공: 신고자 정밀위치, 지능형 CCTV, 소셜안전 Map 등 통합 방범 서비스 제공

홍수정보 통합관리로 지자체 홍수피해 최소화 및 국민안전 확보

19

한국수자원공사

홍수정보 통합관리로 지자체 홍수피해 최소화 및 국민안전 확보

배경 및 필요성

-(정부정책) 국민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통합적 재난관리 체계 구축을 국정과제로 선정

-(재해양상)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홍수피해의 98.7%가 지자체 관할 중소하천에서 발생

주요 개선사항 및 성과

- (홍수정보 통합플랫폼 구현) 각 기관별로 개별 보유하던 재해정보를 융합하여 지자체가 한 곳에서 실시간으로 홍수를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홍수대응능력 향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협업으로 드론, 빅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등 첨단 재해기술을 활용하여 하천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개발

󰠛161

Dalam dokumen 2017 공공기관 협업 우수사례집 (Halaman 153-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