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식품의 신제품을 손안에서 클릭 한번에 수출 OK
빠르게 증가하는 전자상거래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스템 구축 필요
그간 대부분의 B2B 마케팅사업이 바이어 상담회, 박람회 참가 등 오프라인 위주로 진행 되다 보니 바이어나 수출업체는 일일이 행사를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는 등 비즈니스를 위한 시・공간상의 제약이 많았다. 또한, 시시때때로 다양한 신규상품이 개발되 고 있는데 바로바로 바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도 적어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최근 온라인・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가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실시간 으로 마케팅을 펼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례
▪(제품 개선) 상하이에 거주하는 바이어 A 씨는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에서 신규 한국 농식품 을 검색하던 중 B사의 C 제품에 관심을 갖고 업체와 연락하였다. 그 과정에서 A 씨는 간장, 고추장, 물엿 등 B사의 다른 유망상품도 알게 되어 49천불을 우선 수입하였고, B사 는 A 씨의 조언을 받아 C 제품을 개선하여 곧 중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바이어 확대) 중국은 알리페이 등 핸드폰 결제가 일반화되어 낯선 앱을 다운받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베이징박람회장에서 만난 바이어 D 씨도 중국에서 들어본 적 없는 앱을 다운받는 것에 회의적이었으나, 신규 한국 농식품 정보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고, 정부에서 인증한 앱이라는 설명을 들은 후에 안심하고 앱을 다운받았으며, 관심있는 제품 에 문의도 많이 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앱 안전성을 적극 홍보한 결과, ’16년에 는 55명이었던 중국 바이어가 ’17년에는 180명까지 늘어, ’18년에는 더욱 활발한 운영이 기대된다.
▪(수출 성사) 유아용 스낵을 수출하는 E사는 중국수출을 위해 aT 지원사업을 알아보던 중, 바이어매칭 모바일앱 지원을 신청했다. 생소한 지원툴이라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바이어 F 씨가 유아용 웨하스에 관심을 표하며 거래조건을 문의하자 적극적인 대응으로 샘플을 발송하였고, 바이어 F 씨 또한 상품에 만족하여 USD 61천불을 수출하였다.
▪(협업) 동결건조식품 전문제조사인 G사는 원래 내수기업이었으나, 사업확장을 위해 수출 을 고려하며 H도에 도움을 요청했다. 마침 aT에서 우수업체 추천을 요청받은 H도는 G사 를 추천했고, aT 안내를 받아 사업을 신청한 G사는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을 통해 수출로 연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aT에서는 오프라인 바이어 매칭사업에 참여했던 수출업체들에게 실시간으로 새로 개발 한 신제품에 대한 바이어 피드백을 받아보고 싶다는 의견을 청취하고, 바이어들이 신규 상품 발굴을 희망하는 수요가 많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수출업체와 바이어 간에 실시간 으로 손쉽게 매칭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된다면 수요자 니즈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신규 모바일 바이어 매칭 시스템 구축의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게 되었다.
수요자 입장에서 본 시스템 개발
aT가 기존 시스템으로는 바이어와 수출업체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온라인 매칭의 장점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이고 보편적인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신상품 및 유망 상품 발굴을 희망하는 바이어에게 국내 중소 수출업체의 상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 인 매칭을 통한 마케팅 비용 및 시간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으므로 유관기관 운영 사례조사 와 내부회의와 의견 수렴 끝에, 온라인 매칭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수출업체와 바이어 간의 거래 성사는 통상적으로 6개월에서 18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 되고 있는데 가격 등 거래조건, 수입허가, 소비자 반응테스트 등의 과정을 거처야 하는 최소한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안으로 모바일앱을 개발하여 수출업체와 관심 바이어 간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24시간 실시간으로 신상품 및 유망상품에 관한 구체적인 제품특성과 개선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실시간 채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구분(방식) 기능상의 차이
온라인 바이어매칭 모바일앱 모바일앱에 수출업체의 신규상품을 실시간으로 신규 상품 으로 등록하고 바이어와 거래 알선지원
국제식품박람회 불특정 다수의 바이어를 발굴하기 위해 해외유망 식품박람 회에 통합한국관 운영을 통해 현지 바이어 수출상담 개최 국내수출상담회 해외바이어를 국내로 초청하여 국내 수출업체와 바이어
37
04 •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을 통한 해외진출지원
‘NEW K-FOOD(韩新食品)’ 개통
‘한국의 신규식품’을 의미하며 웹페이지, 상품정보 등이 단말기 환경에 따라 최적의 화면 이 표출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메인 화면의 아이콘으로 최신상품, 인기상품, 정부인증상 품(6차 산업), 추천기업으로 구성되었고 카테고리 및 상품정보를 키워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신규상품이 3개 등록될 때마다 바이어에게 푸쉬알람 기능이 있어 실시간으로 신규 등록된 상품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심상품에 대한 상품 문의와 채팅할 수 있는 기능 또한 구현하고 있다. 중문과 영문 버전을 동시 제공하고 있어 전 세계 해외바이어, 유통매장 및 온라인 MD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개발된 시스템을 쉽게 이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진 ‘NEW K-FOOD(韩新食品)’
로 운영되고 있다.
① 국내 수출업체를 통해 신상품 정보 수집 ② 신상품 정보를 번역 후 모바일웹에 등록 ③ 해외바이어가 모바일웹에 접속하여 상품 정보
확인
④ 바이어와 수출업체 간 상품문의를 통해 수출 거래 유도
▼ 사업추진 개념도
다음으로 성공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역할분담을 통해 협업체계를 구축하였다. 각 지자체 관할 지역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시스템 이용안내 홍보를 통해 사이트 활용한 우리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해 협력체계를 마련하였다.
기관명 주요 역할 비고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주관)
ㅇ 바이어매칭 모바일앱 운영
- 기업・상품정보 번역 및 등록, 상품페이지 제작 ㅇ 추천업체 대상 사업신청 안내
각 시・도
지자체(협조) ㅇ 지역 유망 수출업체 및 상품 추천
aT는 6개의 지자체(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남, 제주)와의 협력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 였으며 특히 지자체에서 추천받은 양갱, 황태가공식품 등 38업체, 114개 새로운 품목 발굴 과 상품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있었다.
지자체와 협력관련 문서
협업을 통한 실질적 수출성과 거양
aT는 각 시・도 지자체와 적극적 협업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특히 6개 지자체에서 추천받은 양갱, 황태가공식품 등 38업체, 114개 새로운 품목 발굴과 상품범위를 확대하였 으며 ’17년 말 기준 121개 업체, 236개 품목과 299명의 바이어가 모바일 매칭앱에 등록되었 다. 특히, 지난해 사드 등 급변하는 수출 교역환경 변화의 어려움 속에서 3개 업체는 실질적 인 수출 성사까지 이루어졌다.
다음은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을 통한 분야별 성공사례이다.
▪(제품 개선) 상하이에 거주하는 바이어 A 씨는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에서 신규 한국 농식품을 검색하던 중 B사의 C 제품에 관심을 갖고 업체와 연락하였다. 그 과정에서 A 씨는 간장, 고추장, 물엿 등 B사의 다른 유망상품도 알게 되어 49천불을 우선 수입하 였고, B사는 A 씨의 조언을 받아 C 제품을 개선하여 곧 중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39
04 • 바이어매칭 모바일앱을 통한 해외진출지원
수 있고, 정부에서 인증한 앱이라는 설명을 들은 후에 안심하고 앱을 다운받았으며, 관심있는 제품에 문의도 많이 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앱 안전성을 적극 홍보한 결과, ’16년에는 55명이었던 중국 바이어가 ’17년에는 180명까지 늘어, ’18년 에는 더욱 활발한 운영이 기대된다.
▪(수출 성사) 유아용 스낵을 수출하는 E사는 중국수출을 위해 aT 지원사업을 알아보던 중, 바이어매칭 모바일앱 지원을 신청했다. 생소한 지원툴이라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 데, 바이어 F 씨가 유아용 웨하스에 관심을 표하며 거래조건을 문의하자 적극적인 대응으로 샘플을 발송하였고, 바이어 F 씨 또한 상품에 만족하여 USD 61천불을 수출 하였다.
▪(협업) 동결건조식품 전문제조사인 G사는 원래 내수기업이었으나, 사업확장을 위해 수출을 고려하며 H도에 도움을 요청했다. 마침 aT에서 우수업체 추천을 요청받은 H도는 G사를 추천했고, aT 안내를 받아 사업을 신청한 G사는 바이어매칭 모바일앱 을 통해 수출로 연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협업체계 확대를 통한 명실상부한 우리 농식품 수출 플랫폼 역할 수행 앞으로도 우수한 한국의 신규상품을 모바일 B2B 플랫폼인 NEW K-FOOD(韩新食 品)에 소개하고 중소 농식품 수출업체의 수출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수출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며 지자체뿐만 아니라 유관기관 등과도 협력체계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모바일앱은 스마트폰 앱 형태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인터넷 주소창에 홈페이지 주소(hanshi.at.or.kr)를 입력하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신규상품 접수는 온라인(global.at.or.kr)을 통해 연중 받고 있으며, 플랫폼 사용료 등은 전액 aT에 서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