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수출바우처란?
선정된 기업에 바우처를 부여하고, 바우처를 받은 기업은 수출지원 메뉴판에서 필요한 서비스, 원하는 기관을 직접 선택하여 수출 마케팅 서비스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상품권 개념
왜 도입되었나?
‘바우처’라고 하면 흔히들 저소득계층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복지바우처’를 떠올리게 된다. 바우처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본인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는 일종의 상품권 개념인데, 이런 바우처가 가진 장점을 수출지원 분야에도 새롭게 도입한 것이 바로
‘수출바우처’이다. 수출바우처 사업은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하던 수출지원 정책과는 판이 하게 다른 것이었다. 정해진 사업, 기관, 서비스를 탈피하여 수요자인 중소・중견기업이
‘온라인 쇼핑을 하듯이’ 수출바우처 메뉴판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는 획기적인 변화였다.
그동안 수출을 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은 기존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 방식으로 인해 부처기관별로 사업을 개별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다수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이 유사・중복사업을 추진하여 정부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지 못하는 측면 도 있었다. 외부 고객 및 기관에서도 이 문제점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런 우리 수출지원체계가 가진 문제점을 혁신하고자 국가예산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 수출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 지원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舊중소기 업청)이 2016년 4월부터 KOTRA,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유관기관과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쳐 2017년 5월 1일 수출바우처 사업을 개시하게 되었다.
어떻게 진행되는가?
수출바우처 사업에는 4개의 주체가 있는데, 관리기관, 운영기관, 수행기관, 참여기업이
75
09 • 수출지원사업 통합운영시스템 구축
가(KOTRA, 중진공)
◦ 운영기관: 참여기업 평가・선정・관리, 세부 지원사업 운영, 바우처 발급 (KOTRA, 지방중기청, 중진공, KIAT)
◦ 수행기관: 바이어매칭, 전략컨설팅 등 참여기업이 메뉴판에서 선택한 수출마케팅 서비스를 제공(민간기업, 공공기관 등)
◦ 참여기업: 운영기관 세부 사업에 선정되어 바우처를 발급받아 수행기관이 제공하는 수출지원서비스를 이용(중소・중견기업)
❙사업 추진 프로세스❙
① 선정 관리기관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기관을, 운영기관은 개별 지원사업에서 바우처를 받을 참여기업을 각각 선정
② 발급 운영기관은 선정된 참여기업에게 바우처 발급
③ 사용 참여기업은 바우처를 통해 각 수행기관의 서비스를 이용
④ 정산 수행기관은 사업결과보고서와 함께 운영기관에 정산 요청, 운영기관은 정산규 정에 의거 수행기관에 바우처 정산
혼자서는 불가능, 여럿이 같이 했기에 가능
1차년도 사업 종료(’18.4.30.)를 한달여 앞둔 지금 새로운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던 포인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TRA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했 다. 기재부・산업부・중기부 등 중앙부처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산업기술진 흥원(KIAT),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 유관기관이 부처 이기주 의를 버리고 ‘수출지원체계 효율화와 성과내실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진정한 협업 을 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보고서에만 존재하는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실제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출바우처 시스템(www.exportvoucher.com)’을 개발하였다. 사업 주체별 맞춤형 구 축을 통하여 불필요한 행정낭비를 방지하고, 고객인 중소・중견기업들의 편의를 최적화 한 것이다.
77
09 • 수출지원사업 통합운영시스템 구축
참여기업 지원시스템 서비스 메뉴판 이용화면
수출바우처 앱 구성 화면
주요 성과
첫째, 분산되어 있던 지원창구가 하나로 통합되었다.
다양한 지원사업과 서비스, 비용을 한 곳에서 비교하고 이용 가능하게 되었고 사업 중복 선정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기업들의 정부 정책 수혜가 가능해졌다.
둘째, 수출지원서비스와 제공자를 대폭 확대하여 고객 편익이 제고되었다.
공공기관이 만들어놓은 사업에 참가하는 수동적인 방식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원하는 제공업체를 통해 이용하는 능동적인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셋째, 공공부문을 민간에 개방하여 수출지원 생태계를 조성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경쟁을 통해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민간 수출지원 기업을 육성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향후 일정
우선, 2017년 성과분석을 통해 중장기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18년 5월부터 9월까지 약 5개월간 기재부・산업부・중기부・중진공과 공동으로 추진한다. 1차 사업 종료 (’18.4.30.) 후 제도 개선사항 및 호부진 요인을 분석하여 더 나은 제도로 발전시킬 계획이 다.
그리고 수출바우처 시스템 2단계 구축을 통해 보다 고객친화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약 5개월간 운영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한다. 시스템 진행절차 간소화, 보안 강화, UI/UX 개선 등이 주요 과제이다.
One ‐ stop 복지서비스 의뢰를 통한 국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10
사회보장정보원
One ‐ stop 복지서비스 의뢰를 통한 국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One‐stop 복지서비스 의뢰를 통한 국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 사회보장기관 한 곳만 방문해도 서비스 의뢰를 통해 국민 맞춤형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 사회보장기관을 방문한 국민에게 더 필요한 복지서비스가 있으면 서비스 의뢰 - 사회보장정보원은 서비스 의뢰된 대상자가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지자체로 안내 - 지자체에서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