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이용 (지속가능성)
2. 교란요인
가. 빛 공해
· 오대산국립공원의 시기별 빛 공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년 1월~12월 월평균 NASA Black Marble 알고리즘이 적 용된 Gap-Filled DNB BRDF-Corrected NTL 자료 데이터를 구축함
· 구축된 월별 빛 공해 지도 12개 레이어의 합산 및 평균값 산출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오대산국립공원의 빛 공해가 심한 지 역을 추출함
· 오대산에서 빛 공해가 심한 지역은 주로 동쪽에 위치한 소금강지구와 월정사지구에 위치하며, 이 지역들은 평창군과 강릉시 인근지역으로 시가화지역에서 발생하는 빛 공해의 영향으로 판단됨
· 갑사지구에서 빛 공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된 지점은 6개 지점(G01, G02, G03, G04, G05, G06)이었으나 다른 지점에 비 하여 상대적으로 빛 공해의 수준이 낮았음
· 각 지구별 빛 공해의 VIIRS DNB 분석 수치는 소금강지구에서 75.5nW/㎠/sr로 가장 높았으며, 월정사지구에서 62.0nW/
㎠/sr, 계방산지구는 10.1nW/㎠/sr로 조사됨
그림 6-3. 오대산국립공원 빛공해 등급지도
표 6-3. 지구별 빛공해 VIIRS DNB 분석 수치 단위: nW/㎠/sr
구역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합계
월정사지구 0 6.1 0.39 0.65 62.0
소금강지구 0 4.5 0.65 0.84 75.5
계방산지구 0 0.5 0.18 0.81 10.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Ⅵ. 지속가능한 이용(지속가능성) 84
나. 소음
· 오대산국립공원 소음지도 모델링 결과 40dB 미만 지역이 전체의 95.7%, 40dB(A) 이상 50dB(A) 미만 지역이 3.0%
였으며, 50dB(A) 이상 지역이 1.2%로 확인됨
· 오대산국립공원의 소음지도 모델링 결과 50dB 미만 지역이 전체의 99%를 차지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매우 정온한 환 경을 이루고 있음
· 국립공원 내 도로교통소음은 타 국립공원에 비해 도로의 개수가 적고 코로나19의 특수 상황으로 인해 극히 작게 측정 됨
· 관리지구별로 50dB 이상인 비율을 확인해보면 도시 지역과 가장 거리가 먼 계방산지구가 0%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6번 국도 및 월정사-상원사 도로의 소음이 유입되는 월정사지구는 1.9%로 다소 높게 나타났고, 6번 국도의 영향을 받 는 소금강지구는 1.0%로 측정됨
표 6-4. 오대산국립공원 소음지도 및 관리지구별 소음도 비율
소음지도 dB 월정사지구 계방산지구 소금강지구
비율(%) 비율(%) 비율(%) 30 이하 84.6
93.4
99.6
99.8
89.7
96.4
30~35 5.2 0.1 4.0
35~40 3.6 0.1 2.7
40~45 2.8
4.6 0.1
0.2 1.9
45~50 1.8 0.1 0.9 2.8
50~55 1.1
1.9
0.0
0.0
0.6
1.0
55~60 0.5 0.0 0.3
60~65 0.2 0.0 0.1
65~70 0.1 0.0 0.0
70~75 0.0 0.0 0.0
75~80 0.0 0.0 0.0
80 초과 0.0 0.0 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Ⅵ. 지속가능한 이용(지속가능성) 85
다. 훼손지
· 오대산국립공원 전체 66.28㎞에 대한 전체 훼손현황은 7.22㎞로 ‘강’인 구간은 0.97㎞, ‘중’인 구간은 3.22㎞, ‘약’인 구 간은 3.03㎞로 나타났으며, 건전구간은 59.06㎞로 전체구간대비 훼손비율은 10.89%로 나타남
· 가장 많은 훼손이 나타난 구간은 북대사~상왕봉삼거리 구간으로 전체 1.10㎞에 대한 훼손현황은 0.74㎞로 ‘강’인 구간 이 0.21㎞, ‘중’인 구간은 0.12㎞, ‘약’인 구간은 0.41㎞로 나타났으며, 건전구간은 0.36㎞로 전체구간대비 훼손비율이 67.27%로 나타남
표 6-5. 오대산국립공원 탐방로 구간별 훼손 유형 및 등급 평가 결과
구간명 탐방로거리
(km)
훼손현황(km)
건전구간 (km)
훼손비율 소계 (%)
(km) 강(km) 중(km) 약(km)
계 66.28 7.22 0.97 3.22 3.03 59.06 10.89 상원사~두로령 7.70 1.04 0.00 0.54 0.50 6.66 13.51 동대산~두로령 8.30 0.90 0.20 0.30 0.40 7.40 10.84 소금강~동피골 17.70 1.18 0.32 0.34 0.52 16.52 6.67 월정사회사거리~상원사 10.00 0.53 0.00 0.22 0.31 9.47 5.30 상원사~내면 명개리 12.68 0.82 0.00 0.60 0.22 11.86 6.47 북대사~상왕봉삼거리 1.10 0.74 0.21 0.12 0.41 0.36 67.27 상원사~중대 1.30 0.39 0.00 0.06 0.33 0.91 30.00 운두령~계방산~노동계곡 6.50 1.04 0.24 0.59 0.21 5.46 16.00 계방산~삼거리 1.00 0.58 0.00 0.45 0.13 0.42 58.00
Odaesan National park
2021년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