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연생태계 종합평가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74-79)

자연생태계

4. 자연생태계 종합평가

· 자연생태계 서식지 평가 회의를 통해 관리지구별 서식지 보전상태 및 자연자원 관리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오대산국립 공원은 평균 A등급의 ‘우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됨

표 4-26.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분야별 종합평가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 내용

계방산지구

곤충

조개동늪의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여러 서식지 유형이 존재하고 서식지별로 그 곤충 다양성이 대부분 높게 나타난 점을 보아 현재등급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식물

식물생태계 평가의 근간이 되는 식생의 보전상태가 양호한 편(A등급 1개, B등급 4개)이고, 식물상 평가는 우수한 편(A등급 3개, B등급 2개)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계방산지구의 생물다양성(종수)은 비교적 높고(공원 전체종 수의 72.9% 출현), 양치식물 계수도 공원의 평균(1.55)보다 비교적 높은 편(1.70)이며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6.6%)보다 낮아(2.6%) 식생의 교란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종합하여 A등급으로 평가함

식생 소나무림의 보전상태가 양호하고 미래에 특정할만한 교란요인은 없는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Ⅱ-b 판정에 동의하며 기존 평가등급 B 유지

조류

멸종위기종인 새매가 확인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인위적인 교란과 고사목이 있는 서식지도 확인되었음. 종다양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평가등급 유지

포유류

외래종인 꽃사슴 관찰, 탐방객 및 인근 주민의 비법정탐방로 이용 등은 사무소에의 주의 관리가 필요하지만, 멸종위기야생생물인 산양(I급), 삵(II급), 담비(II급) 및 고유종인 멧토끼 등의 서식지 이용이 관찰되어 평가등급 유지 양서

파충류

산림, 하천이 잘 발달하였고, 개발과 탐방압이 크지 않아 안정적인 서식지로 판단함. 특히, 산간 계류가 잘 발달하여 양서류가 서식할 수 있는 미소서식지가 발달되어 있음

담수 어류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열목어 최대 서식지로 서식지 환경의 보존이 매우 양호하며, 계곡 수환경 상태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명개리 열목어 서식지는 치어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보존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서 지속적인 관심과 보전에 대한 노력이 필요. 을수골 인근 야영객에 의한 교란(낚시 등)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나, 과거에 비해 포획자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건강성을 회복하고 있는 상태로 보이므로 평가등급 유지

저서동물

계방산지구는 계곡 경관이 수려하며 수환경이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종다양성이 높음. 기존 B등급은 조개동늪인 정수역에서 조사자료가 함께 제시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됨. 그러나 유수역인 하천생태계와 습지생태계는 조사방법, 종조성, 그리고 종다양성 측면에서 엄연히 분리되어 평가를 실시해야 함으로 습지평가를 제외한 A등급으로 조정 필요(B → A)

담수조류 자연상태가 잘보전 된 지역이며, 하천의 수계 또한 잘 관리되고 있음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70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 내용

소금강지구

곤충

소금강지구는 다른 지구에 비해 평가 지점 수가 적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 나, 조사결과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점, 폐광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 서식하고 있는 곤충이 있을 수 있는 점을 보아 그 평가등급이 상향될 필요가 있음. 또한 w3 지점의 곤충 종 다양성이 1종만 나온 점은 그 조사방법상 혹은 시기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짐.

(C → B).

식물

식생의 보전상태는 보통인 편(C등급 2개)이고, 식물상 평가는 양호한 편(B등급 2개)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소금강지구의 양치식물 계수는 공원의 평균(1.55)보다 비교적 높고(2.31),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5.9%)보다 매우 낮아(1.59%) 식생의 교란정도가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어 종합하여 A등급으로 평가함

특히 소황병산 습지는 고산습지이며 람사르협약 습지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보전상태도 좋은 편으로 중요함

식생

소나무군락과 참나무군락의 고루 분포하는 일반적인 수준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탐방객 교란요인이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Ⅲ 판정에 동의하며 기존 평가등급 C 유지

조류 조류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이 혼재하며 조류서식지로서의 특이성이 없으므로 평가등급 유지

포유류

일부 탐방객 등의 이용이 확인되었으나, 멸종위기야생생물인 수달(I급), 삵(II급) 및 고유종인 멧토끼의 서식지 이용을 확인하였으며, 외부에서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끼칠 요인이 없으므로 평가등급 유지

양서 파충류

환경지표종인 한국꼬리치레도롱뇽을 포함하여 높은 양서파충류 다양성을 보임. 탐방객에 의한 교란이 일부 예상되나 울창한 산림과 계곡의 발달은 양서파충류 서식에 매우 유리할 것으로 판단

담수 어류

하상이 암반으로 이루어져 대체적으로 어류상이 빈약한 환경을 보이는 구간이 다수 있으며, 인공제방이 존재하여 보에 의한 어류이동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산천어가 출현하고 있으나, 보에 의해 상류역으 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구간에 하천 종적연결성 및 어류 이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평가등급 유지

저서동물

소금강지구는 자연 경관이 수려하고 인위적인 교란 요인이 적어 종다양성이 높으나, 하상구조가 주로 암반으로 구성되어 생물서식처 측면에서 제한적이 고, 조사방법 측면에서도 어려운 면이 있음. 따라서 기존 평가등급 B등급 유지

담수조류

소금강지구는 탐방객 유입과 차량의 운행이 많은 지역이나 수계는 상당히 양호한 상태를 유지. TDI 지수의 평가가 낮은 것은 지수 평가에 없는 종들의 출현이 높았기 때문임. 반면에 청수성 분류군의 출현율이 높고 DAIpo 지수값 이 높은 것은 하천이 자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등급을 재조정함(B → A)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71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 내용

월정사지구

곤충

월정사지구의 지점들의 상당수가 종수가 적게 조사되었는데, 조사시기 및 조 사방법상의 문제로 보이며, 다른 서식지의 훼손이나 문제점이 보이지않음.

식생과 자연환경이 양호하고 그 서식지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곤충서식지 로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평가등급의 상향 필요(C -> B).

식물

식생의 보전상태는 양호 또는 보통인 편(A등급 1개, B등급 8개, C등급 4개, D등급 1개)이고, 식물상 결과는 우수 또는 보통인 편(A등급 4개, B등급 7개, C등급 3개)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월정사지구의 양치식물 계수는 공원의 평균(1.55)보다 높은 편(1.83)이며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보다 낮아(1.7%) 식생의 교란정도가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어 종합하여 B등급으 로 평가함

지구 내 일부 지역(F16, F17, F18)은 탐방로와 인접하여 인위적 교란 가능성이 높고 조림식생이 분포하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식생

일반적인 산지낙엽활엽수림과 소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탐방객에 의한 교란이 우려되는 곳이지만 현재 상태에서 특정할 만한 식생교란은 없는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Ⅱ-a 판정에 동의하며 기존 평가등급 B 유지

조류

멸종위기종인 긴점박이올빼미가 번식하는 지역이 확인되어있으며 까막딱다 구리의 세력권도 확인됨. 조류밀도가 높은 지역이 있고 조류서식지로서의 특이성이 없는 지역도 다수 확인되어 평가등급 유지

포유류

멸종위기야생생물인 산양(I급), 담비(II급), 삵(II급) 및 고유종인 멧토끼 등의 서식지 이용이 확인되었고, 상대풍부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으며, 서식지의 안정성이 확인되어 평가등급 유지함. 그러나 들개, 들고양이와 인근 주민 및 탐방객 등이 무인센서카메라에 관찰되었기에 이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되지 않도록 사무소에서 주의 관리가 필요하다 생각됨

양서 파충류

월정사지구의 산림, 하천이 잘 발달하여 양서·파충류가 서식할 수 있는 훌륭한 지역임. 다만, 월정사 등 문화자원이 풍부하여 탐방객이 많은 찾는 지역으로 양서파충류 서식에 부정적인 영향(로드킬 등)을 줄 가능성이 있음.

담수 어류

산간 계류형 서식지로 열목어 치어와 성어가 다양하게 출현하고 어류군집이 양호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나, 하천 인근 고랭지 채소밭 등 농업활동 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여 수환경이 심각한 영향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임.

R15 지점 인근에서 공사가 진행되면서 오염원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인위적 교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서식지 외 이입종으로 산천어가 출현하여 생물군집 내 생태계 교란을 방지하 기 위해 열목어 복원 및 방류 필요. 전체적으로 수환경과 어류상이 양호하여 평가등급을 유지하지만, 인위적 교란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

저서동물

월정사지구는 계곡 경관이 수려하고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적어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기존 B등급은 습지인 정수역에서 조사자료가 함께 제시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됨. 그러나 유수역인 하천생태계와 습지생태계는 조사방법, 종조성, 그리 고 종다양성 측면에서 엄연히 분리되어 평가를 실시해야 함으로 습지평가를 제외한 A등급으로 조정 필요(B → A)

담수조류

본 지역은 오대천의 최상류 지역이고 청정성이 유지되고 있는 지점임.

본 지점에서 수질등급이 낮은 것은 TDI 지수의 경우 지수 평가에 없는 종들의 출현이 높았기 때문.

반면DAIpo는 1차조사에 낯은 수치가 2차 조사에는 높게 산출되고 수질등급 이 양호하게 평가된 것은 원래의 수질은 양호하였든 판단됨.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74-7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