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일반서식지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38-56)

자연생태계

1. 일반서식지

가. 국립공원 서식지 동향

1) 서식지 유형별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조사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를 서식지 유형별 평균값으로 산출하여 국립공원 서식지 지도의 각 폴리곤의 서식지 유형에 따라서 적용

·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서식지 유형별 지점의 생물다양성 평가 점수와 평균 점수는 표 4-1와 같이 산출되어 적용 함

· 하천생태계의 경우는 산지하천의 단일 서식지 유형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리지구별 하천생태계 평가점수를 적용함

· 서식지 유형 중 현장조사가 수행되지 않아서 서식지 평가가 불가능한 유형(암벽식생, 전석지, 개발지 등)은 종합 평 가에서 배제함

표 4-1. 오대산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평가 등급

분류 서식지 유형 지점명 평가 등급 평가 점수 평균 점수

산림 생태계

산지관목림 F8 B 3.3 3.3

산지낙엽활엽수림

F4 B 3.6

3.5

F11 C 3.4

F12 B 3.3

F14 B 3.4

F15 B 3.8

산지습성림

F13 D 3.0

3.1

F17 C 3.3

F18 C 3.0

산지침엽수림

F2 D 2.8

3.3

F3 C 3.3

F21 B 4.0

아고산침엽수림 F7 D 3.0

3.1

F10 C 3.1

아고산활엽수림 F19 C 3.5 3.5

침엽수식재지 F20 C 3.6 3.6

침활혼효림

F1 B 3.4

3.6

F5 B 4.3

F6 B 3.6

F9 C 3.1

활엽수식재지 F16 C 2.5 2.5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4

분류 서식지 유형 지점명 평가 등급 평가 점수 평균 점수

하천

생태계 산지하천

계방산지구 A 4.8 4.8

소금강지구 B 3.9 3.9

월정사지구 A 4.4 4.4

습지생태계 습지

계방산지구 B 3.9 3.9

소금강지구 A 4.2 4.2

월정사지구 B 3.9 3.9

그림 4-2. 오대산국립공원 서식지 유형별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지도

2) 서식지 환경 평가 결과(GIS 서식지 분석)

·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는 국립공원 내 모든 서식지 폴리곤이 동일한 값으로 적용되므로, 위치별·고도별 서식지의 차이 를 반영하지 못함

· 위치별·고도별 서식지 환경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립공원의 정규 식생 지수 (NDVI, 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분석 결과(그림 9)를 서식지 폴리곤 별로 GIS에서 ‘구역통계’ 도구를 이용하여 각 폴리곤 내의 NDVI 평균값을 산출함(그림 10)

· NDVI는 수목이 있는 산림 서식지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므로 하천생태계에는 적용하지 않음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5

그림 4-3. 오대산국립공원 NDVI 분석도

그림 4-4. 오대산국립공원의 각 서식지 폴리곤별 NDVI 점수 분석도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6

그림 4-5. 오대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결과 – 등급별 구분

3) 국립공원 서식지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GIS 서식지 분석)

·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서식지 평가 결과 평가된 서식지 유형 중 산림생태계가 약 99%를 차지하였고, 하천생태계가 약 1%로 나타남

· 각 서식지(폴리곤)의 서식지 평가 점수는 ‘[(NDVI점수 × 100) + 유형별 평가 점수] / 2’로 평가함

· 서식지 평가 결과가 A등급인 서식지는 산림생태계에서 23.91%, 하천생태계에서는 0.36%로 전체의 24.27%가 우 수한 서식지 환경으로 평가됨

· B등급 서식지는 산림생태계에서 75.24%, 하천생태계에서는 0.48%이었으며, C등급 서식지는 산림생태계에서 0.01%로 평가됨

· 오대산국립공원에서 개발지와 식생이 없거나 식피율이 낮은 암벽식생, 암석지, 전석지 등을 제외한 지역에서 서식 지 평가 등급은 99.99%가 우수 혹은 양호 등급의 서식지 환경을 갖는 것으로 평가됨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7

표 4-2. 오대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등급별 면적 및 비율

평가 등급 평가 등급 폴리곤 수 면적(m2) 비율(%)

산림생태계

A등급 739 76,808,489 23.91

B등급 8,269 241,696,537 75.24

C등급 86 21,760 0.01

합계 9,094 318,526,786 99.15

하천생태계

A등급 168 1,158,809 0.36

B등급 267 1,557,618 0.48

합계 435 2,716,427 0.85

총 합계 9,529 321,243,213 100

· 이처럼 대부분이 우수한 서식지 환경을 갖는 오대산국립공원이지만 공원관리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평가된 서식지 평가 점수를 상대적으로 구분한 결과 그림 4-6와 같이 국립공원북동쪽의 소금강 일대와 국립공원의 중앙을 가 로지르는 월정사와 6번국도 인근에서 국립공원 내부에 비하여 평가 점수가 낮은 것이 확인됨

· 공원 내 산림의 일부 지역은 지형에 의한 음영 발생으로 NDVI값이 낮게 나타나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나는 부분이 있분이 있음

그림 4-6. 오대산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결과 – 점수별 구분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38

나. 관리지구별 서식지 동향 1) 생태계 유형별 평가 결과

· 산림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21개 지점으로 계방산지구 5개 지점, 소금강지구 2개 지점, 월정사지구 14개 지점이 조 사됨

· 조사된 분류군 중 식물, 식생, 곤충류 등은 대부분 지점에서 보통 이상의 다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포유 류는 F2지점을 제외한 지점에서 보통 이상의 다양성으로 평가됨

· 선태식물은 지점별로 종풍부도의 편차가 심해서 종풍부도가 낮은 지역의 생물다양성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곤충류 는 습지생태계 조사지점에 비하여 종풍부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서 생물다양성이 낮게 평가됨

· 중대형포유류 F4지점은 관찰카메라의 오작동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로 평가가 불가능함

표 4-3. 오대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선태식물 식생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

(주간) 고등균류

계방산지구

F1 F2 F6 F8 F21

소금강지구

F3

F4 -

월정사지구

F5 F7 F9 F10

F11 F12 F13 F14 F15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39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선태식물 식생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

(주간) 고등균류

계방산지구

F16 F17 F18 F19 F20

· 하천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15개 지점으로 소금강지구 5개 지점, 계방산지구 3개 지점, 월정사지구 7개지점이 조사됨

· 하천생태계에서 조사된 분류군 중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다양도가 높고 EPT분류군과 민감종의 개체밀도가 높아 생 물다양성이 모든 지점에서 높게 평가됨

· 담수조류와 담수어류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양호(B)’ 이상의 등급을 나타내었으나, 담수조류는 R3지점에서 TDI 수치가 매우 낮은 Achnanthes sp. 종이 우점하여 평가가 낮게 되었고, 담수어류는 R5 지점에서 어류가 출현하지 않음

· 양서파충류는 출현 종수가 적어서 다양도와 풍부도가 낮은 지점에서 생물 다양성이 낮게 평가됨

표 4-4. 오대산국립공원 하천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담수조류 양서파충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소금강지구

R1

R2

R3

R4

R5

계방산지구

R6

R7

R8

월정사지구 R9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40

관리지구 지점명 담수조류 양서파충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R10

R11

R12

R13

R14

R15

· 습지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3개 지점으로 각 지구별로 1개 지점씩 위치함

· 월정사지구의 W1 지점은 과거 목초지로 식생복원을 위한 조림이 이루어졌으나 조림수종이 부적합하며 늪지를 보호할 정도로 식생이 발달하지 않고 토사 유입으로 육화가 진행되어 관리가 필요함

· 계방산지구의 W2 지점은 물골이 형성되고 토사가 유입되어 육화가 진행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함

· 소금강지구의 W3 지점은 전체적으로 양호한 생물다양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곤충 서식을 위한 관목이나 초본이 적고 목본이 우점하여 곤충 다양성이 낮게 평가

표 4-5. 오대산국립공원 습지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선태

식물 식생 중대형 포유류

소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 고등 균류

양서 파충류

저서성 대형 무척추

동물 월정사지구 W1

계방산지구 W2 -

소금강지구 W3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41

그림 4-7. 오대산국립공원 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42

2) 관리지구별 평가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은 계방산지구, 소금강지구, 월정사지구의 3개 지구로 구성되며,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모든 지구가

‘양호’ 등급으로 평가됨 (1) 계방산지구

· 계방산지구는 총 8개 지점으로 산림생태계 5개 지점, 하천생태계 2개 지점, 습지생태계 1개 지점이 조사됨

· 계방산지구는 오대산국립공원의 서쪽에 위치하며 가장 면적이 작고 시가지와 분리되어 있으며 등산로도 많이 개 발되지 않아 자연환경이 잘 유지되고 있는 지역임

· 지역의 생태계 서식지는 잘 보호되고 있어서 모든 분류군에서 생물다양성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담수조 류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우수 등급으로 평가됨

표 4-6. 오대산국립공원 계방산지구의 분류군별 생태계 다양성 평가

유형 분류군 등급 주요내용

산림생태계

식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개병풍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생태계교란식물은 분포하지 않음

선태식물

계방산지구는 오대산 서쪽지역으로 최고봉인 계방산(1,577m)과 소계방산(1,456m), 내린천, 조개동늪 특별보호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음. 계방산 정상부 주목군락지에는 주로 1,000m 이상 지역에 생육하는

겹친주목이끼, 뾰족잎족제비이끼, 노란참외이끼, 우사미지네이끼, 아기사슬이끼 등이 서식. 특히 내린천 상류 F8 조사지에 나무이끼 등

대형선태식물이 생육하고, 조개동습지 특별보호구의 W2 조사지는 비늘물이끼, 곧은나무이끼 등 국내 분포가 매우 협소한 선태식물이 생육하고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

식생

전반적으로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서식구조를 유지하고 인위적 교란이 낮음. 그러나 습지의 경우 서식지 가치가 높은 고층습원이나

육화가 진행 중에 있어 이에 대한 육화방지 대책의 마련이 필요함 중대형

포유류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산양과 수달, II급 삵DL 출현, 고유종인 멧토끼 출현, 외래종인 대륙사슴과 산양과 수달이 상대풍부도 지수가 비슷하게 나타남

외래종과 법종보호종에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 소형

포유류 서식환경의 다양성 및 차후 추가 조사 필요성이 있음

조류

계방산의 고지대는 타 지구와 비교해 조류상에서 고유성을 가지나 나머지 부분은 조류상에서 월정사 지구와 매우 유사하며 서식밀도가 대부분 낮게

나타남

곤충류

계방산 지구는 조사지점 간 간격이 멀리 떨어져있어 조사의 연계성이 좋지 않은 것이 단점이지만 각 지점마다의 접근성과 생태 환경은 좋음.

특히 조개동늪의 경우 산지에 있는 개방된 습지로서 다양한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수생곤충부터 육상딱정벌레 등 여러종류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침엽수가 식재되어있는 내면탐방로 부근에서 소나무허리노린재가 발견 됨에 따라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됨.

고등균류

본 조사에서 선정된 조사지점은 고등균류 서식을 평가하기에는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며 생태적으로도 단편적이 측면이 있으며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많고 생태적으로 다양한 지점의 조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됨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38-5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