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특정서식지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56-59)

자연생태계

2. 특정서식지

· 서식지 구역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자연생태계와 경관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10개 지역 총 22,865,739m2이 지정되어 있으며, 산작약, 산양, 가시오갈피, 열목어, 산양, 하늘다람쥐, 기생꽃 등의 동·식물과 습지 서식지를 보호하고 있음

- 월정사지구 폐광: 1개의 폐광이 있으며 양박쥐, 관박쥐, 뿔박쥐 3종이 활동기와 동면기에 서식지로 이용

- 소금강지구 폐광: 5개의 폐광이 있으며 관박쥐, 토끼박쥐, 뿔박쥐, 붉은박쥐 4종이 서식지로 이용하며, 붉은박쥐와 토 끼박쥐가 동면굴로 이용하는 곳은 다른 폐광에 비하여 높은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여 두 종이 동면하기에 적합한 환경 을 나타냄

· 동·식물 - 식물

· 월정사지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산작약과 개병풍 서식지는 등산로에서 떨어져 있어 인위적인 교란은 발생 하지 않으나, 산작약은 떨기나무가 없는 곳에 밀집하고 있어 주기적인 떨기나무의 제거가 필요하고, 개병풍은 덩굴 성 관목인 미역줄나무의 높은 식피율로 인해 서식지가 제한되고 있어 미역줄나무의 관리가 필요함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기생꽃은 W1 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됨 - 포유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산양은 계방산지구(F8)와 월정사지구(F12, F17)에서 확인되었으며, 수달은 소금강지구(R1, R2, R3, W3)과 계방산지구(F8)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붉은박쥐는 소금강지구 폐광 내에서 확인됨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는 월정사지구(F14, F15), 계방산지구(F21, W2), 소금강지구(W3) 모두에서 확인되었고, 삵도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토끼박쥐는 붉은박쥐와 같은 소금강지구 폐광에서 확인되었고, 하늘다람쥐는 모든 지구의 산림지역에서 확인됨

- 조류

· 붉은배새매, 새매, 긴점박이올빼미, 까막딱다구리 등 4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의 조류가 확인됨

· 긴점박이올빼미는 기존 번식지인 지장암, 방아다리약수터, 오대산장 인근 중에서 지장암 인근에서만 확인

· 까막딱다구리는 기존 조사지점이 아닌 북대암과 F5 지점에서만 관찰됨

· 새매는 계방산 F21지점에서 사냥 활동이 관측되었고, 붉은배새매는 두로령 인근에서 관찰되었으나 이동하는 과정 에서 관찰된 것으로 추정됨

- 양서파충류

· 조사지점 R7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구렁이 서식 확인됨 - 어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열목어는 2013년 3기 조사 보다 확인된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여 복원의 효과가 나타났 다고 판단되며, 가는돌고기는 월정사지구의 R11 지역에서 확인됨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2

그림 4-11. 오대산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종 출현 위치

그림 4-12. 오대산국립공원 특정서식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사진

산작약 개병풍 구렁이

산양 수달 삵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3

그림 4-13. 오대산국립공원 내 생태계교란생물 출현 위치

그림 4-14. 오대산국립공원 내 외래종 출현 위치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4

Dalam dokumen 오대산국립공원 (Halaman 56-5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