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계
3. 생물다양성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4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5
그림 4-15.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총 종수 변화
그림 4-16.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분류군별 종수 변화
식물 양서류 고등조류
포유류 조류 파충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담수어류
담수균류
곤충류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6
나. 분류군별 다양성 1) 관속식물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 관속식물은 103과 314속 519종 11아종 48변종 1품종 2교잡종 등 총 580분류군이 확인됨
· 이 중 양치식물 6과 34분류군, 나자식물 3과 8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 77과 437분류군, 단자엽식물 10과 102분류군으로 확인되며 주요 식물종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표 4-13. 오대산국립공원의 주요 식물종 현황(★ : 기타지점(지점 외) 확인 종)
구분 종명 분류군 수(지점 내)
한국적색목록종
위급(CR) 산작약★ 1(0)
취약(VU) 기생꽃, 개병풍★, 분홍바늘꽃★ 3(1)
준위협(NT) 나도제비란★, 큰방울새란, 선백미꽃, 청닭의난초★ 4(2) 관심대상(LC) 금강제비꽃, 말나리, 애기앉은부채, 만병초, 도깨비부채,
연영초, 지리바꽃, 참좁쌀풀, 금강초롱꽃, 노랑무늬붓꽃★ 10(9)
미평가(NE) 도라지모시대 1(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Ⅴ등급 기생꽃, 개병풍★, 산작약★ 3(1)
Ⅳ등급 참좁쌀풀, 금강초롱꽃, 노랑무늬붓꽃★, 홀아비바람꽃 등 31(25)
Ⅲ등급 난사초, 긴겨이삭, 선백미꽃, 만병초, 애기앉은부채 등 54(49)
Ⅱ등급 만삼, 선갈퀴, 나래박쥐나물, 여로, 지리바꽃 등 61(56)
Ⅰ등급 고려엉겅퀴, 야산고비, 홀아비꽃대, 흰진범, 촛대승마 등 28(27) 한반도 특산식물 할미밀망, 키버들, 흰털괭이눈, 강활, 그늘참나물★ 등 20(18) 기후변화지표종 기후지표종 가래고사리, 주목, 분비나무, 좀개미취★, 만병초 5(4)
외래종 (흰)명아주, 긴털비름★, 끈끈이대나물★, 유럽개미자리★ 등 38(13) 생태계교란종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4(2) (2) 종수 변화
· 4기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 를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 확인 결과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나타냄
산작약(적색목록 위급종(CR)) 기수별 관속식물 분류군 수 변화상 그림 4-17. 오대산국립공원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상(누적 종수는 2021 국립공원 기본통계에 기재된 출현종 수)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7
2) 식생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 식생 조자지점의 경사도는 0°~30° 정도로 평균 경사도는 11.5°이며, 토양은 갈색삼림토로 이루어져 있고 미세지형은 평면이 많이 확인됨
· 오대산국립공원의 식생군락 조사 결과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락 등 총 12개의 식생군락이 확인되며, 우점군락, 식생보전등급 등 항목별 식생현황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음
표 4-14. 오대산국립공원의 식생 현황
구분 종명
주요 우점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 전나무군락 종다양도(범위, 평균) 0.757~1.681(평균 : 1.247)
균재도(범위, 평균) 0.603~0.953(평균 : 0.816) 우점도(범위, 평균) 0.047~0.397(평균 : 0.184)
식생보전등급
Ⅰ등급 3개 지점
Ⅱ등급 13개 지점(Ⅱ-a 7개 지점, Ⅱ-b 6개 지점)
Ⅲ등급 5개 지점
Ⅴ등급 3개 지점
(2) 군락의 다양성
· 2012년 조사는 2011년 계방산이 오대산국립공원에 편입되면서 이에 따라 계방산지구만을 대상으로 수행됨. 한편 2013년 실시된 자연자원조사의 경우 식생분야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의 비교는 2004년 조사와 2012년 계 방산지구 조사 결과를 참고함
· 2004년 오대산국립공원 조사와 2012년 계방산지구 조사 결과,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비자나무 군락이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됨
· 금회의 자연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 연구로 전환하여 국립공원의 서식지 상태를 파악하고 평가하 도록 함에 따라 과거의 다양한 식생군락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와 직접적으로 결과를 비교하기 어려움
그림 4-18. 오대산국립공원 주요 식생군락
F1 소나무군락 F4 굴참나무군락 F6 야광나무-고로쇠군락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58
3) 포유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포유류는 중·대형 포유류 4목 8과 12종, 소형 포유류 4목 8과 15종이 확인됨
· 주요 포유류로 멸종위기야생생물 7종, 천연기념물 4종, 한반도 고유종 2종 등을 확인함
표 4-15. 오대산국립공원의 주요 포유류 현황
구분 내용 총계
중·대형 포유류 식육목, 우제목, 토끼목 4목 8과 12종
소형 포유류 고슴도치목, 첨서목, 익수목, 설치목 4목 8과 15종
법정보호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산양, 붉은박쥐 3종
Ⅱ급 삵, 담비, 토끼박쥐, 하늘다람쥐 4종
천연기념물
수달(제330호), 산양(제217호), 붉은박쥐(제452호), 하늘다람쥐(제328호)
4종
한반도 고유종 고라니, 멧토끼 2종
(2) 종수 변화
· 4기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전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1~3기) 결과와 이번 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중대형 포유류에서 기존 조사에서 모두 출현했던 종은 10종이며, 3종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 1기, 2기 자연자원조사는 포유류 전반에 대한 종분포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소형포유류에 대한 포획조사가 중 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본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종다양성이 낮게 나타났다.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 조사 시 관찰종수가 감소하였다가, 이후 3기 조사부터 증가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42종이 확인됨
그림 4-19. 오대산국립공원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붉은박쥐(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기수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2021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Ⅳ. 자연생태계 59
4) 조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조류는 총 12목 34과 78종 1,655개체이며, 조류 현황조사 결과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3종, 적색목록종 5종, 천연기념물 3종이 확인됨
· 우점종으로는 되새, 동고비, 쇠박새, 진박새, 오목눈이, 큰부리까마귀, 노랑턱멧새 등이 확인됨
· 주요 조류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새매, 붉은배새매, 까막딱따구리, 긴점박이올빼미, 천연기념물 새매, 붉은 배새매, 황조롱이, 까막딱다구리, 소쩍새 등이 확인됨
표 4-16. 오대산국립공원의 주요 조류 현황
구분 종명 종 수
우점종 되새, 동고비, 쇠박새, 진박새, 오목눈이, 큰부리까마귀, 노랑턱멧새 -
법종보호종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새매, 붉은배새매, 까막딱따구리, 긴점박이올빼미 4 천연기념물 새매(제323-4호), 붉은배새매(제323-2호), 황조롱이(제323-8호),
까막딱다구리(제242호), 소쩍새(제324-6호) 5
(2) 종수 변화
· 4기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 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에 관찰종수가 감소하였다가 3기에 증가하였으며, 4기에 다시 감소하였으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141종이 확인됨
· 3기 조사는 계방산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편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사가 시행되었으며, 많은 종을 추가적으로 확인함
· 식생에 기반을 둔 좁은 면적의 지점조사를 시행된 4기 조사는 넓은 조사 면적을 포함하는 격자기반의 조사방법을 시 행했던 3기 조사에 비해 조류 종수가 더 적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그림 4-20. 오대산국립공원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동고비(우점종) 기수별 조류 종수 변화상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2021 Ⅳ. 자연생태계 60
그림 4-21. 오대산국립공원 연도별 곤충류 변화상 (단위 : 종)
보라금풍뎅이(국가적색목록 관심종(LC)) 기수별 곤충류 종수 변화상 5) 곤충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오대산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곤충류는 주간 곤충류 15목 115과 397종, 야간 곤충류 14목 116과 985종으로 확인됨
· 현지조사에서 주간곤충류는 벌목(29.471%)과 노린재목(25.189%), 야간곤충류는 나비목(78.680%)과 노린재목 (8.223%)에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됨
표 4-17 오대산국립공원 곤충류(주간/야간) 현황
구분 멸정위기
야생동물
한국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종
국가 적색목록
종
신종 후보종
국내미 기록종
생태계
교란생물 종수 월정사
지구
주간 0 3 36 26 0 3 2 454
야간 0 14 33 37 0 0 0 524
계방산 지구
주간 0 1 19 19 0 0 1 152
야간 0 7 30 15 0 1 1 463
소금강 지구
주간 0 2 10 10 0 1 0 45
야간 0 9 30 22 0 0 0 481
(2) 종수 변화
· 4기 오대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3,445종이 확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