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사의 학습 목표 인식 분석의 실제

V. 학습 목표 설정과 적용상의 문제점

2) 교사의 학습 목표 인식 분석의 실제

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교육목표분류학이 교육자들에게 공유된 이해와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개념적 체계를 제공하고, 교육자들이 특 정 학습 목표에 대한 보다 완성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평가와 학습지도에서의 향상 및 연계성을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음악 교육에서의 교육목표분류학의 도입 및 활성화 를 주장했던 한나(2007) 역시 교육목표분류학의 가치를 교육자들을 위한 공통의 언어에 둠으로써, 학습 목표와 관련한 교육관계자들 사이의 소통 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전통문화의 기능과 전통 미술이 현대에 계승된 사례를 알아본다.

인지적 영역

지식 측면 인지과정 측면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 인지

기억 하다

이해 하다

적용 하다

분석 하다

평가 하다

창안

A v v 하다

B v v

C v v

D v v

E v v v

팝아트 작품을 사전 정보 없이 감상했을 때와 작가의 의도를 안 후 느낀 점 을 이야기해 본다.

인지적 영역

지식 측면 인지과정 측면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 인지

기억 하다

이해 하다

적용 하다

분석 하다

평가 하다

창안

A v v 하다

B v v

C v v

D v v

E v v

다양한 문화의 교류를 통해 한 사회의 미술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교과서에서 제시된 학습 목표가 교사들에 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 결과가 얼마나 합치되는지의 측면에서 검 토해 보았다. 교사들의 학습 목표 분류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결론 적으로는 교육과정 내에서의 교육목표 및 성취기준, 교과서에 제시된 학 습 목표, 그리고 그것의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 운용에 있어서의 연계성 에 대한 검토와 문제점을 진단하여 이를 위한 개선안을 제언하려고 하였 다.

5명의 미술교사들이 학습 목표를 분류한 예시는 다음의 표와 같으 며, 교사들 간 분류의 일치를 나타낸 부분을 어두운 색으로 표시하였다.

[표 34] 현직 미술 교사들의 학습 목표 분류의 예시

해한다.

인지적 영역

지식 측면 인지과정 측면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 인지

기억 하다

이해 하다

적용 하다

분석 하다

평가 하다

창안 하다

A v v

B v v

C v v

D v v

E v v

미술과 음악의 교류를 통하여 서로에게 끼친 영향을 안다.

인지적 영역

지식 측면 인지과정 측면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 인지

기억 하다

이해 하다

적용 하다

분석 하다

평가 하다

창안 하다

A v v

B v v

C v v

D v v

E v v v

총 28개의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해서 5명의 현직 미술교사가 신교 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 목표를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 났다. 5명의 교사들의 분류 결과가 모두 다르게 나타난 학습 목표는 3개 로 전체 학습 목표 대비 비율은 10.71%로 나타났고, 2명의 교사 사이의 분류 결과가 일치한 것은 전체 학습 목표 28개 가운데 25개의 학습 목표 이며, 그 비율은 89.28%로 나타났다. 3명의 교사 사이의 분류 결과가 일 치한 학습 목표는 7개의 학습 목표로 전체 학습 목표 대비 비율은 25%

로 그 비율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다. 4명의 교사 사이의 분류 결 과가 일치한 학습 목표는 2개로, 전체 학습 목표 대비 비율은 7.14%로 나타났으며, 5명의 교사의 분류결과가 모두 일치하는 학습 목표는 존재 하지 않았다.

미술교과 학습지도의 전문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학 습 목표에 대한 분류 결과를 통해서 교사마다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하

여 각기 다른 해석과 접근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해서 학습내용 및 교수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여 기에서 교사들에 의한 학습내용 및 교수 방식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부정 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분류가 적절하지 않았을 때, 학습 목표에 적합하지 않은 학습방법을 채택하게 될 위험이 있음을 우려하는 것이다. 앞서 학습 목표에 대한 인지적 영역 의 분류가 달라짐에 따라 교수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학습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언급한 바 있다. 그러므로 현직 미술교사들에 의해서 동일한 학습 목표가 다르게 인식되는 것은 교 육과정의 목표나 성취기준, 혹은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의 의도와 다르게 학교 수업현장에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드러낸다고 하겠 다.

이와 같이 현직 미술교사들이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해서 다르게 인 식하게 되는 이유는 학습 목표 서술상의 불명확성이며 이는 집필진과 교 사의 학습 목표를 대하는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적으로 교과서 집필진은 하나의 학습 목표에 복수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 정 차원을 함축하려는 경향이 강한 반면, 교사들은 하나의 학습 목표에 서 단일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선별하여 학습지도에 적용하려 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본 연구과정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 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하나의 학습 목표에 여러 가지의 의미를 포함하는 함축적인 서술이 아니라,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명세화한 학습 목표의 서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