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Ⅲ장 종합

2. 영역별 결과

2.3 교육

2.3.1 교육과정

우리대학은 해양계 특수목적 대학으로서 “전인적 교양인, 창조적 전문인, 봉사적 전문인 그리고 성실하고 유능한 해사․해양 전문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 교육

목표에 맞추어 교과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요구하는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전공과 교양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다음 <표 2-3-1>은 졸업에 필요한 최소 이수학점을 정리한 것이다.

교양교육과정은 일반교양과목과 학부기초교양과목으로 구분되며 학부기초 교양과목은 각 학부별로 전공과목 이수에 필요한 기초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전공기초과목의 성격이며, 일반교양과목은 우리 대학의 특성화 방향에 부합하고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과목들을 주로 운영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인문학적 소양이나 현대사회에 대한 종합적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교과목은 부족한 실정이다.

전공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우리 대학은 해사․해양전문인을 양성하는 교육중심의 해양계 특수목적대학으로서 교육목적, 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화 등을 성취할 수 있도록 교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다.

학 부 교양교과 전공교과 졸업소요학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30 제1전공 38학점+제2전공 38학점

(승선실습 30학점은 포함하지 않음) 156

기관시스템공학부 30 제1전공 38학점+제2전공 38학점

(승선실습 30학점은 포함하지 않음) 156

해양전자·통신공학부 40 81 140

해양시스템공학부 40 60 140

<표 2-3-1> 학부별 최소이수학점

우리 대학의 실험·실습·실기 교육과정은 해사계열의 경우 1년간의 승선실습을 통하여 체계 적인 실습과 훈련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공학계열에서도 기본적인 전공별 실험·실습 이외에 승선실습을 통해 해양특성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09년과 2010년 2년간의 실험·실습·실기 강좌의 비율은 해상운송시스템학부 8.7%, 기관시스템공학부 7.5%, 해양전자·통신공학부 16.9%, 해양시스템공학부 8.3%이며, 실험·실습·실기 강좌의 평균 수강인원은 약 28명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외대학과의 학점교류 현황을 살펴보면, 해외대학의 경우 2009년 0.2%, 2010년 0.4%로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교 중 2009년은 하위 20%이하, 2010년은 하위 15%이하에 머물고 있다.

국내 대학과의 학점교류 현황을 살펴보면, 타 대학 학생이 우리 대학에서 학점을 취득한 경우는 2~3명으로 극히 적은 숫자이고, 우리 학교 학생이 타대학교에서 학점을 취득한 경우는 2009년 146명, 2010년 152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3.2 학사관리

우리대학의 2009년과 2010년의 전공과목의 A학점 비율은 학생수 대비 각각 28.9%와 34.2%로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교의 등급 분포 상에서 2009년에는 최소값을 나타냈으며, 2010년에는

수 대비 2009년 25.5%, 2010년 26.0%로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교의 등급 분포 상에서 하위5%

이하에 해당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명 미만 소규모 강좌 개설 비율은 2009년의 26.2%에서 2010년에는 12.2%로 급격히 감소 하였다. 이는 광주·전남지역대학 뿐만 아니라 호남권에서도 최소값을 나타내고 있다. 전공심화 교육 등을 위해서는 소규모 강좌를 증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00명 이상 대규모 강좌의 개설 비율은 2009년과 2010년 모두 0%로 조사되었다. 100명 이상의 대형 강좌는 외부 유명 강사를 초빙한 강연 형태로 구성된 특별 교과목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우리 대학과 같은 이공계 특수목적의 소규모 대학에서는 적당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3.3 교육성과

<표 2-3-2>에서 보듯이, 우리대학의 학부 졸업생 진학률은 2009년에 2.2%, 2010년에 2.5%

이며 2년간 평균은 2.4%로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의 등급 분포 상에서 2009년은 하위10%, 2010 년은 하위5%에 해당하는 아주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졸업생 취업률은 2009년에 63.7%, 2010년에 77.1%이며 2년간 평균은 70.0%로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의 등급 분포 에서 상위15%이상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 년에는 우리 대학이 전국 국공립대학 중 취업률 1위로 나타났으며, 의대를 포함한 규모 5000명 이하의 전국 모든 대학 중에서도 상위 5%이상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의 취업률이 2009년에 비해 평균 1.9% 올라가는데 그쳤으나, 우리 대학의 경우는 13.4%의 높은 향상을 보였다. 우리 대학의 제일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높은 취업률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졸업연

졸업생 (A)

건강보험 DB연계 취업자(B)

해외 취업자

(C)

대학원 진학자

(D)

군입대자 (E)

취업 불능자

(F)

외국인 유학생 (G)

건강보험직 장가입제외

대상 (H)

기타 미상

건강보험 DB연계 취업률(%)

진학률 (%)

2009 635 379 - 14 10 0 0 16 216 0 63.7 2.2

2010 596 411 0 15 39 1 0 8 116 6 77.1 2.5

1,231 790 - 29 49 1 0 24 332 6 70.0 2.4

<표 2-3-2> 목포해양대학교 취업률(%) (2009년 및 2010년)

2.3.4 국제화

우리 대학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은 2009년 4명으로 재학생수 대비 각각 0.2%, 2010년 7명 으로 0.3%이며 중도에 탈락하는 학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 교의 등급 분포 상에서 각각 하위 5%와 하위 10%이하에 해당하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낸다.

외국인 유학생 국내 적응 지원 사업으로는, 국제교류교육원에서 학업상담을 수시로 시행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발전기금에서 매월 15만원씩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승선생활관 6실, 해양학사 3실 총 9개실을 배정하여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로 사용중이고, 4,500 톤급 실습선 2척에도 외국인 학생 실습을 위한 침실을 배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 생의 밤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

국제교류협력 실적으로는 우리 대학의 교수 중 2009년에 4명, 2010년 5명이 미국, 호주, 터키의 대학에서 1년간 국제교류를 수행하였으며, 외국인 교수 2명이 채용되어 실습선 두 척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매년 200여명의 학생들이 승선실습 중에 외국항에 기항하여 국제교류 협력을 수행하는 등 자매결연 대학과의 교류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