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 교육

3.2 학사관리

평가기준║학습평가는 타당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학적은 엄정하고 적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설된 강좌는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규모이어야 하며, 교원 강의평가를 합리적으로 운영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하도록 한다.

평가항목

3.2.1 학사관리 관련 규정이 적절한가?

3.2.2 학습평가는 타당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2.3 강의 규모별 강좌 수 및 강좌 당 학생 수는 적절한가?

3.2.4 강의평가 및 활용은 적절한가?

3.2.5 성적우수자에 대한 보상 및 학사경고자에 대한 조치는 적절한가?

3.2.1 학사관리 관련 규정이 적절한가?

우리대학은 효율적인 학사운영을 위하여 학칙 및 교학규정에서 기본적인 규정을 명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장학규정, 계절학기운영에 관한 규정, 교류대학 간 학생교류 및 학점 상호 인정에 관한 규정, 복수전공 이수에 관한 규정, 승선생활관 규정, 승선실습학사운영규정, 시간제등록생 학사운영규정, 실습선학생생활규정, 졸업논문시행규정, 졸업자격, 학생생활규정 등 별도의 세부 규정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학칙 제18조 3항과 계절학기 운영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계절학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계절학기는 특별학기로서 정규학기에 개설된 것과 같은 교과목을 방학기간 중에 수강하여 학점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교양과목은 물론 전공과목도 수강 가능 하도록 하여 복수전공 및 조기졸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계절학기 시험과 성적은 정규학기와 같지만, 재수강자의 성적은 B+를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참고로, 최근 2년간 계절학기 개설현황을 정리한 내용이 <표 3-2-1>에 있다.

구 분

2009학년도 2010학년도

하계 동계 하계 동계 하계 동계

개설 과목수 5 11 16 7 7 14 12 18 30

<표 3-2-1> 계절학기 개설현황

3.2.2 학습평가는 타당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2.2.1 전공 A학점 비율

우리대학은 2005년부터 학습평가에 대한 상대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및 교양과 목에 대한 A학점의 비율을 수강학생 대비 30%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표 3-2-2>제시된 우리대학 전공과목 성적분포를 살펴보면, 2009 과 2010의 전공 A학점 비 율은 학생수 대비 각각 28.9%와 34.2%를 나타내고 있다.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교(27개교 평균 41.5%, 41.1%)의 등급 분포 상에서 2009년에는 최소값을 나타냈으며, 2010년에는 하위15%이하에 해당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많은 대학들이 A학점 비율을 지나치게 높게 하는 학점 인플레이션 현상과 함께 우리 대학도 그 비율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크게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연도 학부 학기

전공과목 성적인정 학생총수

점수구간별 학생수 및 비율 A

(점수구간)

B (점수구간)

C (점수구간)

D (점수구간)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2009

기관시스템 공학부

1 4386 1236 28.2 1965 44.8 821 18.7 300 6.8

2 3816 1081 28.4 1457 38.2 690 18.1 484 12.7

해상운송 시스템학부

1 3846 1134 29.5 1962 51.0 517 13.4 213 5.5

2 4098 1227 30.0 1902 46.5 668 16.3 281 6.9

해양시스템 공학부

1 1190 296 24.9 609 51.2 181 15.2 36 3.0

2 1042 316 30.4 517 49.6 155 14.9 29 2.8

해양전자 통신공학부

1 936 297 31.7 286 30.5 189 20.2 116 12.4

2 798 219 27.4 308 38.6 122 15.3 91 11.4

연간 평균 1 10385 2963 28.6 4822 46.4 1708 16.4 665 6.4

2 9754 2843 29.1 4184 42.9 1635 16.8 885 9.1

2010

기관시스템 공학부

1 4310 1543 35.8 1529 35.5 788 18.3 362 8.4

2 3758 1312 34.9 1375 36.6 552 14.7 396 10.5

해상운송 시스템학부

1 3828 1451 37.9 1607 42.0 564 14.8 191 5.0

2 4137 1398 33.8 1884 45.6 615 14.9 195 4.7

해양시스템 공학부

1 1010 250 24.8 526 52.1 150 14.8 37 3.7

2 1021 291 28.5 525 51.5 154 15.1 23 2.3

해양전자 통신공학부

1 1075 372 34.6 386 35.9 156 14.5 86 8.0

2 1069 300 28.0 375 35.1 209 19.5 100 9.3

연간 평균 1 10223 3616 35.4 4048 39.6 1658 16.2 676 6.6

2 9985 3301 33.0 4159 41.7 1530 15.3 714 7.2

2년간 평균 40347 12723 31.5 17213 42.7 6531 16.2 2940 7.3

<표 3-2-2> 전공과목 성적 분포

<작성 요령>

1) 자율전공과목과 전공과목 중 PASS/FAIL 과목은 제외

2) 전공과목성적인정학생총수 : 학기별로 전공과목 성적을 평가받은 전 학년의 학생수의 총합(연인원) 3) 비율 : (해당 평점 성적인정학생수/전공과목성적인정학생총수)×100(%)

3.2.2.2 교양 A학점 비율

우리 대학은 2005년부터 학습평가에 대한 상대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양과목에 대한 A학점의 비율을 수강학생 대비 30%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표 3-2-3>에 제시된 2009년 및 2010년 우리대학 교양과목 성적분포를 살펴보면, 2009년과 2010년의 교양 A학점 비율은 학생수 대비 각각 25.5%와 26.0%를 나타내고 있다.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교(27개교 평균 34.0%, 33.6%)의 등급 분포 상에서 하위5%이하에 해당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도 학기

교양과목 성적인정 학생총수

점수구간별 학생수 및 비율 A

(점수구간)

B (점수구간)

C (점수구간)

D (점수구간)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2009

1 8024 2102 26.2 3528 43.9 1437 17.9 567 7.17

2 5695 1400 24.5 2162 37.9 1172 20.6 627 11.0

2010 1 7898 2127 27.0 3428 43.4 1468 18.6 563 7.1

2 5485 1357 24.7 2170 39.5 1096 20.0 471 8.6

2년간 평균 27102 6986 25.8 11288 41.7 5173 19.0 2228 8.2

<표 3-2-3> 교양과목 성적 분포

<작성 요령>

1) 교양과목 중 PASS/FAIL 과목은 제외

2) 교양과목성적인정학생총수 : 학기별로 전공과목 성적을 평가받은 전 학년의 학생수의 총합(연인원) 3) 비율 : (해당 평점 성적인정학생수/교양과목성적인정학생총수)×100(%)

3.2.2.3 성적평가 결과

연도 학기 학생

총수

점수구간별 학생수 및 비율 A

(점수구간)

B (점수구간)

C (점수구간)

D (점수구간)

F (점수구간)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2009 1 18,382 5065 27.6 8350 45.4 3145 17.1 1232 6.7 590 3.2 2 15,449 4243 27.5 6346 41.1 2807 18.2 1512 9.8 541 3.5 연간 평균 33,831 9308 27.5 14696 43.4 5952 17.6 2744 8.1 1131 3.3 2010 1 18,121 5743 31.7 7476 41.3 3126 17.3 1239 6.8 537 3.0 2 15,470 4658 30.1 6329 40.9 2626 17.0 1185 7.7 662 4.3 연간 평균 33,591 10401 31.0 13805 41.1 5752 17.1 2424 7.2 1199 3.6 2년간 평균 67,422 19709 29.2 28501 42.3 11704 17.4 5168 7.7 2330 3.5

<표 3-2-4> 성적평가 결과(분포)

<표 3-2-4>에 제시된 2009년 및 2010년 우리대학 성적평가결과를 살펴보면, 2009년과 2010년의

비율은 17.4%, D학점 비율은 7.7%, F학점 비율은 3.5%를 나타내고 있다. A학점은 다소 낮은 분포율을 보이는 반면에 B학점은 다소 높은 분포율을 보이는 것은 우리대학이 2005년부터 시행 하고 있는 상대평가 제도에 따른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상대평가 제도가 학생들의 학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학생들이 졸업 후 회사 취업 등에 있어서 다른 대학 졸업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평가 분포라고 판단된다면 어느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2.3 강의 규모별 강좌 수 및 강좌 당 학생 수는 적절한가?

<표 3-2-5>는 2009년 및 2010년 우리대학 규모별 강좌 개설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학기 개설 강좌수

규모별 강좌수 및 비율

20명 미만 20~50명 미만 50~100명미만 100~200명 미만 200명 이상 강좌수 비율

(%) 강좌수 비율

(%) 강좌수 비율

(%) 강좌수 비율

(%) 강좌수 비율 (%)

2009

1 459 58 12.6 243 52.9 158 34.4 0 0 0 0

2 483 189 39.1 193 40.0 96 19.9 0 0 0 0

소계 942 247 26.2 436 46.3 254 27.0 0 0 0 0

2010

1 474 54 11.4 265 55.9 155 32.7 0 0 0 0

2 454 59 13.0 299 65.9 96 21.1 0 0 0 0

소계 928 113 12.2 564 60.8 251 27.0 0 0 0 0

합계 1,870 360 19.3 1,000 53.5 505 27.0 0 0 0 0

<표 3-2-5> 규모별 강좌 개설 현황

<작성 요령>

1) 학기별로 개설된 모든 강좌를 수강인원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기입

3.2.3.1 20명 미만 소규모 강좌의 개설 비율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강의 특성에 따라 강의 규모가 적절하여야 한다. 특히 전공 심화 교육을 위해서는 소규모의 강좌의 구성비가 높아야할 것이다. <표 3-2-5>에서 보듯이 우리 대학의 20명 미만 소규모 강좌 개설 비율은 2009년의 26.2%에서 2010년에는 12.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더구나 타 대학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이는 매우 낮은 수치이다. 정보공시자료에 의하면 20명 미만 소규모 강좌 개설 비율 평균은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의 경우 2009년 29.6%, 2010년 30.7%이다. 2010년 호남권 지역대학과 광주·전남지역대학의 평균도 각각 31.7%와 31.0%으로 우리대학은 광주·전남지역대학 뿐만아니라 호남권에서도 최소값을 나타내고 있다.

5,000명 미만 규모 대학의 평균도 23.9%로 우리대학 12.2%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3.2 100명 이상 대규모 강좌의 개설 비율

<표 3-2-5>에서 보듯이 우리대학 100명 이상 대규모 강좌의 개설 비율은 2009년과 2010년 모두 0%로 조사되었다. 2011년 전국 국공립 일반대학 평균이 1.6%이고, 최대값이 6.7%일 뿐만 아니라, 5,000명 미만 규모의 대학 평균도 0.9%임을 감안할 때 우리 대학에서는 100명 이상의 대형 강좌가 한 강좌도 없다는 점은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100명 이상의 대형 강좌는 외부 유명 강사를 초빙한 강연 형태로 구성된 특별 교과목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우리 대학과 같은 이공계 특수목적의 소규모 대학에서는 적당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며, 다만 1:1 지도가 필요한 전공 교과목에서 대형 강의의 개설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3.2.4 강의평가 및 활용은 적절한가?

3.2.4.1 강의평가 내용은 적절한가?

강의평가 항목은 <표 3-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수업의 성실성, 교재와 참고문헌의 연구, 수업준비, 시험이나 과제물의 피드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객관식 설문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술형 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문제구분 문제번호 문 제 일반 1 교수의 강의시간 입실에 대하여

일반 2 강의계획서 등을 통한 강의 진도 및 계획의 인지에 대하여 일반 3 담당교수의 강의준비에 대하여

일반 4 강의교재에 대하여

일반 5 강의 중 강의와 무관한 이야기에 대하여

일반 6 시험과 성적에 대하여

일반 7 시험지나 과제물의 피드백에 대하여

일반 8 휴강과 보강에 대하여

일반 9 전체 강의시간 중 어느 정도 강의를 하였다고 생각하는가?

일반 10 만일 여러분의 후배가 이 과목의 선택수강대상이라면 수강시키겠는가?

일반 11 이 과목은 몇 학점 과목인가?

<표 3-2-6> 객관식 강의평가 항목

3.2.4.2 강의평가 절차는 합리적인가?

절차가 합리적이다. 학생들이 성적을 열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강한 교과목에 대하여 강의 평가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강의평가 참여율이 높고, 또한 학생들이 입력한 평가 점수가 직접 전산으로 처리되어 집계되므로 평가 자료수집의 타당성에도 문제가 없다.

3.2.4.3 강의평가 결과의 활용은 적절한가?

우리 학교는 강의 평가 완료 후 별도의 통보 절차는 없으나 해당 교수가 직접 학사행정에서 과목 별 강의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강의 내용 및 방법을 개선하는데 참고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강의평가 결과는 연구, 봉사, 교육영역의 교수업적 평가 영역 중 교육 영역에 반영되어 전임교원들의 승진 및 재임용에 대한 평가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성과급 연구보조비 지급 시에도 활용되고 있다. 강의평가 자료들은 매 학기 별로 전산처리 되어 누적 관리 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비전임교원의 재임용시에도 참고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결과의 좀 더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하여, 개인 점수 확인 뿐만 아니라 전체 교수의 총 평균 점수 및 분포 그리고 문항별 평균점수 및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교수가 자신의 강의의 장·단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3.2.5 성적 우수자에 대한 보상 및 학사경고자에 대한 조치는 적절한가?

3.2.5.1 성적 우수자의 동기 유발책 및 보상

우리 대학의 장학규정에 의하면 성적 우수 장학금에는 입학성적 우수 장학금과 학업 성적 우수장학금이 있다. 입학성적 우수 장학금을 살펴보면, 전체 수석 입학자는 전학년(8학기) 등록금 전액이 면제되며, 학부 수석 입학자는 1학년(1·2학기) 등록금 전액이 면제된다. 그러나 학기 학 업성적의 평점평균이 3.5미만인 경우 그 학기의 다음 학기부터는 입학성적 우수 장학금을 지급 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우수학생들이 입학 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업에 충실하도록 하기 위한 방침이라 생각된다. 또한 입학성적에 의해 A급, B급, C급으로 나누어 A급은 등록금 전액, B급은 수업료 전액과 기성회비 반액, 그리고 C급은 수업료 전액을 면제시키고 있다.

학업성적 우수 장학금을 살펴보면 평점평균에 의해 A급, B급, C급으로 나누어, 마찬가지로 A급은 등록금 전액, B급은 수업료 전액과 기성회비 반액, 그리고 C급은 수업료 전액을 면제시 키고 있다.

또한 외국어능력이 우수한 재학생 중에서 특별장학생으로 선발하여, 예산의 범위내에서 총 장이 장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하는 금액을 외국어 학력 우수 장학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다음 <표 3-2-7>은 2010년 성적 우수 장학급 지급 내역을 정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