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사회봉사 1 사회봉사
6.2 산학연 협력
평가기준║대학은 산업체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시스템과 산업체 요구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구축해야하며, 산학연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교수는 많은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특허 출연과 창업 등의 실적을 갖추어야 한다.
평가항목
6.2.1 대학의 산학연 협력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6.2.2 산학연 협력을 통한 연구과제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6.2.3 특허출원 및 등록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6.2.4 산학연 협력 지원 체제는 구축되어 있는가?
6.2.5 산학연 현장교류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6.2.6 산업체 요구에 기반 한 교육과정 제공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6.2.7 산학연 협력을 통한 창업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6.2.1 대학의 산학연 협력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표 6-2-1>와 같이 2009년 우리대학이 협약을 체결한 실적은 기업체, 대학 등 11개인데 반해 2010년도에는 기업체, 연구소, 공공기관 등 29개로 260%정도 증가하였다. 2007년(25개)과 2008 년도(26개)실적과 비교 분석결과는 다소 증가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개선점으로는 협약을 체결한 기관 중 대학이 차지하는 비율이 72%로 산ㆍ학ㆍ연 협동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기 위해서는 기업체, 연구소와 공공기관의 협약 건수를 늘리고 협약 기관의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연도 기업체 연구소
대학
공공기관 기타 합계
국내 국외
2009 2 1 2 3 3 11
2010 4 18 3 1 3 29
합 계 6 1 18 5 4 6 40
<표 6-2-1> 산학교류 협약 체결 기업, 대학 및 기관 수
<표 6-2-2>와 같이 산학협력을 통해 수행한 연구과제 수와 연구비는 2009년에 92건에 약 52억 원이였으며, 2010년에는 94건에 약 60억 원으로 16%증가하였다. 교수1인당 과제 수는 1.0 건이며, 연구비는 2009년에 약 56백만 원, 2010년에는 교수 1인당 과제 수는 1.0건으로 변함이 없으나 연구비는 약 66백만 원으로 약 20%정도 증가하였다. 산학협력단을 통해 수행한 연구과 제 수가 교수1인당 1건으로 저조한 편이므로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2009년 구분 2010년
92 과제건수 94
5,205,983,300원 연구비총액 5,976,185,789원
92 교원수 91
1.0 1인당과제 수 1.0
56,586,775원 1인당연구비 65,672,371원
<표 6-2-2> 산학연 협력을 통해 수행된 연구과제 건수와 연구비 실적
6.2.3 특허출원 및 등록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표 6-2-3>과 같이 2009년도 실적은 특허 출연 1건 등록도 1건이며, 2010년 실적은 특허 출연 1건으로 전임교원 1인당 특허 출연은 0.01건으로 국공립대학 평균 특허 출연건수인 0.01 건 수준이다. 특허관련 실적향상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연도
국내특허 해외특허 합계
전임교원 수 (C)
전임교원 1인당 특허
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A) 등록(B) 출원
(A/C)
등록 (B/C)
2009 1 1 - - 1 1 90 0.01 0.01
2010 1 - - - 1 0 91 0.01 0.0
합 계 2 1 - - 2 1 181 0.01 0.0
<표 6-2-3>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
6.2.4 산학연 협력 지원 체제는 구축되어 있는가?
산학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산학협력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원 조직은 협력단장을 포함하여 산학연 지원 전문성을 갖춘 4명으로 구성원 되어 있다. 개선점으로는 산학연 협력을 통한 연구 과제와 연구비를 증가하고 있으나 지원 전문 인력수는 그대로 이므로 원활한 지원이 이루어 지지 못하므로 전문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6.2.5 산학연 현장교류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산학연 협력을 통한 인적 교류는 해운, 해양 산업체 실습생 파견과 현장견학으로 시행되고 있다. <표 6-2-4>와 같이 2009년도 해운선사 및 해양산업체 교류 인력은 1,710명, 2010년도는 2,028명으로 19%정도 증가하였다. 학생들의 산업현장 견학 기회의 확대로 교류 실적이 증가하 고 있다. 개선점으로는 산업체 경력을 가진 현장 경력자를 교수로 활용하는 겸임교수제를 활성 화하는 방안 구축이 필요하다.
연도 제목 인원 방문 업체
2009 현장견학 1,710
STX 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삼호중공업, LORAN-C 송신국, KBS 지 방 방송국, 광양체철소, 영산강물환경연구소, 광주시하수종말처리장, 남원 시환경사업소, 신안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대한조선,여수 이순신대교 견 학, 목포- 광양간 고속도로 현장, 완도대교 현장,
2010 현장견학 2,028
바르질라 코리아, Man-Diesel Turbo 코리아, 현대삼호중공업, 영광원자력 발전소,KBS 지방 방송국,나주 영산강 살리기 2공구(삼성건설), 영산강 하 굿둑 관리사무소(영암),국립수산과학원(부산) 해양(환경, 생물)관련 견학, 환경자원공원사업소 생곡매립장, 군장대교 현장(군산, 삼성물산), 4대강사 업-승천보 현장(익산청), 홍능-백수간 도로현장, 군장대교 현장(군산, 삼성 물산), 4대강사업-승천보 현장(익산청), 홍능-백수간 도로현장
<표 6-2-4> 산학연 현장 교류 실적
6.2.6 산업체 요구에 기반 한 교육과정 제공 실적은 어느 정도인가?
현재 해양, 해운 산업체 요구에 기반하여 실험실습 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 참가한 학생 수는 <표 6-2-5>와 같이 2009년 349명, 2010년 373명으로 많은 학생들이 산업체에 요구에 기반 한 교육을 제공받고 있다. 개선점으로는 산업체 교육과정 개설을 위한 재원 마련 이 필요하며,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 충원이 필요하다.
연도 교류해운선사
인원
운송 기관 합계
2009
전반기 14 68 69 138
후반기 16 105 106 211
2010
전반기 16 78 78 156
후반기 21 108 109 217
<표 6-2-5> 산학연 연계 교육과정 참여 실적
<표 6-2-6>과 같이 산학연 협력을 통한 창업 실적은 2009년에는 6건 이였으나, 2010년에는 25건으로 310% 증가하였다. 해운과 해양산업의 활성화와 해양산업 특성화 교육 연구로 인하여 많은 산업체가 창업되고 있다. 개선점으로는 2009년에 비하여 2010년에 많은 산업체를 창업하 였으나 해운 해양산업체의 규모에 비해서는 아직도 적은 수준에 있으므로 창업보육 센터에 입 주하는 기업에 대한 보다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2009년 구분 2010년
6 건수 25
<표 6-2-6> 산학연 협력을 통한 창업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