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가에 의한 전략촌 관리의 체계화

정부는 전략촌을 포함하여 민북지역 마을의 정보 파악을 목적으로 지속적인 관리 업무를 시행해왔다. 전략촌의 구상 및 설치 과정에 이 어 전략촌이 형성된 이후에도 관리가 지속되었다. 철원군청의 ‘민통 선 북방지역 마을현황’(1981) 카드는 정부가 중요하게 사고하였던 전 략촌의 기능과 함께 전략촌에서의 일상생활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Ⅵ-1> 전략촌 관리카드(‘민통선 북방지역 마을현황’)

출처: 철원군청 문서고 관련자료, 1981.

1981년의 민통선 북방지역 마을현황카드에서 정부는 철원지역 민 통선 북쪽에 위치한 총 14개의 마을을 정부의 계획과 지원에 의해 설 립된 8개의 전략촌(재건촌 7, 통일촌 1)과 정부 지원 없이 허가만으로 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6개의 일반촌(자립안정촌)으로 구분하였다. 이 처럼 전략촌과 일반촌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입주 당시 정부의 지원 여부로, 전략촌이 주택건립 등의 과정에서 정부의 보조와 지원을 받 았던 반면에 일반촌은 입주민들이 자력으로 마을을 형성하였다. 6개 의 일반촌 중에서 자연재해로 집단 이주하여 형성된 마현1리를 제외 하고, 월하리(1959년)‧관전리(1980년 월하리에서 분리됨)‧도창리 (1960년)‧동막리(1974년)‧사곡2리(1971년) 이렇게 다섯 마을이 원 주민들과 출입영농민들이 군부대의 허가를 얻어 마을을 형성한 경우다.

<표 Ⅵ-1> 철원지역 민북마을 분류표

(강원도 철원) 민통선북방지역마을현황 (14개 마을)

마을 구분 전략촌

일반촌(자립안정촌) (6) 재건촌(7) 통일촌(1)

입주 당시 정부 지원 여부 (형성 시기)

정부 지원 (1968년부터)

자력 입주 (1959년부터)

입주 경위

출입영농 3 - 5

정부계획 4 1

자연재해로

집단 이주 - - 1

출처: 철원군청, ‘민통선북방지역 마을현황’에서 재구성, 1981.

위의 표에서 드러나듯, 정부는 전략촌을 입주 경위와 입주민 구성 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관리했다. 이는 전략촌이 구성되는 과정에 대 한 본 연구팀의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전략촌은 크게 해당 지역을 오가며 출입영농을 하던 출입영농인들과 그들의 연고자들에게 입주

를 허용하여 편의를 제공하고 민북지역을 개척하고자 하였던 ‘영농중 심형’ 전략촌과 제대군인을 중심으로 정부의 계획 하에서 형성된 ‘군 사안보중심형’ 전략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략촌 관리카드에 명시된 총 8개의 전략촌 중에서 정연리(1971)

‧이길리(정연리에서 1980년에 분리됨)‧양지리(1973) 3곳이 ‘영농중 심형’ 전략촌에 해당되며, 생창리(1970)‧대마1리‧2리(1968년) 마현2 리(1968년) 및 유곡리(1973년) 5곳이 ‘군사안보중심형’ 전략촌에 해 당된다. ‘군사안보중심형’ 전략촌 중에서 4곳은 일반 사병 출신 제대 군인을 중심으로 재건촌건설계획에 의해 수립된 ‘재건촌’이다. 그리 고 일반 사병 출신과 직업군인 출신을 절반씩 혼합하여 통일촌건설계 획에 따라 건립된 전략촌이 ‘통일촌’이다.

한편, 1981년 ‘민통선 북방지역 마을현황’ 카드에는 철원지역의 일 반촌, 재건촌, 통일촌 마을과 관련하여 군사분계선과의 거리, 민통선 과의 거리, 적가시(可視)여부, 대남방송 가청여부, 입주 일시와 경위 등이 기재되었다. 또한 상세항목으로 가구 및 인구, 주거환경, 문화복 지 및 공동이용시설, 토지이용현황, 영농실태, 규모별 영농현황, 농 업기반조성, 기타 현황, 학교 및 학생, 마을개발실적, 주민숙원사업 등이 기재되었다. 전략촌 관리 카드(민통선북방지역 마을현황, 철원 군청 1981)에 명시된 구체적인 항목과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Ⅵ-2> 전략촌 관리 카드 세부 항목

항목 내용 세부항목 및 내용

구 분 통일촌/재건촌/일반촌

주 소 ○○도 ○○군 ○○읍/면 ○○리 위 치

군사분계선 과의 거리 (○○km)

민통선과의 거리 (○○km)

적가시여부 대남방송 가청여부

리정(里程) 면사무소

소재지까지의 거리

군청 소재지까지의 거리

서울특별시까지의 거리 입주년월일 19○○년 ○월 ○일

입주경위(유래) -

사 진 (마을전경)

1. 가구 및 인구

(입주당시 및 현재) 가구수(농가/비농가) (입주당시 및 현재) 인구수(남/녀)

세대주실태(원주민/외래인, 입주전직업(농업, 상업, 제대군인, 기타), 학력)

2. 주거환경

(총동수 및 旣개량/미개량(要개량/개량불요)) 주택(기와/스라브/

스레트/함성/초가/기타) 주택유형(단독/연립)

급수시설(간이상수도/공동井戶/개인井戶/기타)

3. 문화복지 및 공동이용시설

의료시설(병원/약국) 전화(공동/개인) 전기(한전/자가발전) 마을문고 방송시설(출력) 신문(중앙지/지방지) 어린이놀이터

전기제품(티비, 라디오, 냉장고,

세탁기, 전축)

공동이용시설 (마을회관/공동창고

/공동정미소) 우체국 버스운행(회/일) 종교(교회/사찰) 4. 학교 및 학생

학생수(學區내/學區외) 통학거리(학구내)

마을소재학교현황(학교명/학급수/학생수)

5. 토지이용현황

총면적 ○○ha

경지(沓/田)/유휴지/임야/기타 개간가능지(유휴지포함)(沓/田) 호당경지면적 (평균/최다/최소) 6. 영농실태

(입주영농/

출입영농)

총면적(世帶/계/沓/田) 소유구분(국공유/사유/기타) 자작/자작+임차/임차

출처: 위의 자료.

철원군청의 1981년 민통선 북방지역 마을현황카드에 따르면, 민북 마을은 입주당시 956가구, 4,721명이었는데, 1981년 당시에는 1,153 가구, 6.162명으로 증가하였다. 입주당시 원주민은 427가구, 외래인 은 529가구였는데, 1981년에는 각각 472가구, 681가구였다. 그리고 1992년 철원통계연감에 따르면, 민통선북방마을은 14개 마을로, 1227 가구, 5,151명이 거주하였는데, 이는 철원군 전체인구의 9.3%였다. 이 들의 농가 호당 경지면적은 2.2ha로, 철원군 평균 1.7ha보다 넓었다.

민북지역 출입 농가는 철원군 전체 농가의 절반정도를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