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 국가재난 등에 대비한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Dalam dokumen 일통합학습 (WIL) (Halaman 134-137)

□ 학생 안전 및 보호조치

◯ 국가재난 발생 시 조치사항

‒ 국가재난이 발생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학생 안전 및 보호에 관한 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 일시 중단을 하거나, 일시 중단으로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복교 조치를 취합니다. 만약 국가재 난 발생으로 인해 실습 중단시점까지의 사항으로 학점을 인정할 수 있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학점 인정을 통한 종료를 시행합니다.

‒ 중단으로 인한 복교 조치 시 학점을 인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집중수업 형태의 대체실습 교과 등 의 이수를 통해,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 학점이 아닌 별도의 학점으로 인정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체실습 교과를 시행할 수 있는 관련 학칙 및 대체실습 교과개설 등의 준비가 필요합 니다.

‒ 만약 학점인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대체실습 교과 등의 대비책이 없을 경우에는 휴학 등 의 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 이와 같은 휴학 조치 또한 일반적인 휴학 외 국가재난에 따른 특수 상황에 대한 휴학 조치이므로 필요한 경우 학교에서는 학칙 등에 관련 사항을 규정하는 등의 대응이 요구됩니다.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규정

[시행 2021. 7. 6.] [교육부고시 제2021-19호, 2021. 7. 6., 전부개정]

제26조(학생 안전 및 보호조치) 학교에서는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중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등 국가재난 발 생 시 재난 상황에 따라 실습기관과 협의하여 일시 중단 또는 복교, 휴학 등 학생 안전 및 보호에 우선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이 경우 세부사항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1. 일시 중단의 경우 현장실습학기제의 지속 운영 및 학점 취득 요건을 갖추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2. 복교에 따른 중단 시 학교별 규정에 따른 학점 취득 요건을 갖출 경우 해당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으나, 학점 취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대체실습 교과 등의 수강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거나, 학생이 희망할 경우 휴학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 재택실습

◯ 재택실습의 운영 기준

‒ 재택실습은 국가재난 상황에 따른 학생 안전 및 보호조치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기준으로 국가재 난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재택실습으로 운영할 수 없습니다.

‒ 재택실습은 일시중단 및 복교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재난상황에 따른 단계에 부합하게 운영하여야 합니다.

‒ 재택실습은 계획된 해당 학기 실습기간의 25%에 해당하는 기간에 한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택실습은 출석일수(실제 출석일)로 인정합니다.

‒ 하지만, 재택실습은 허용기간(실습기간의 25%)을 초과하여 운영할 수 없습니다. 이는 학교별 필 요에 따라 임의로 재택실습 기간을 실습기간의 25%를 초과하여 운영할 수 없는 것으로, 허용된 재택실습 기간을 초과할 경우 이후 국가재난 상황에 따라 정상운영 또는 복교, 휴학, 대체실습 등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 재택실습은 상황에 따라 재택실습 허용 일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혹은 분할하여 활용할 수 있습 니다.

‒ 다만, 재택실습은 학교 및 학생의 필요와 요청으로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실습기관이 현장실습학 기제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성이 있어 재택실습 운영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실시할 수 있습니 다.

‒ 따라서 실습기관에서는 재택실습 실시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관련 사항을 공적문서로 작성하여 학교에 제출하여야 하고, 학교 및 학생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 실시할 수 있습니다.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규정

[시행 2021. 7. 6.] [교육부고시 제2021-19호, 2021. 7. 6., 전부개정]

제27조(재택실습) 재난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장실습학기제 지속 운영 필요에 대한 실습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실습기관의 운영계획에 따른 실습기간(또는 일수)의 100분의 25 이하에 해당하는 기간(또는 일 수) 범위에서 재택실습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부사항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1. 재택실습 기간은 현장실습학기제의 출석일수로 인정한다.

133

□ 대체실습 교과목 운영

◯ 현장실습학기제가 아닌 대체실습 교과목으로의 운영

‒ 현장실습학기제는 실습기관이 배제되는 순간 현장실습학기제가 아닙니다.

‒ 즉, 국가재난 등의 상황으로 현장실습학기제의 중단이 발생할 경우에는 중단 시점까지의 실습사 항으로 수강한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의 학점인정이 가능할 경우에는 해당 현장실습학기제의 학 점으로 인정할 수 있으나, 학점인정 기준을 충족할 수 없을 경우에는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하여서는 안 됩니다.

‒ 운영규정에서는 국가재난 상황으로 학교에서 대체실습 교과목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강 신청 하였던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에 대한 수강취소 후 대체실습 교과목을 실시하는 형태로 운 영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즉, 이는 현장실습학기제가 아닌 사항을 현장실습학기제로의 학점인정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기준 이며, 대체실습은 현장실습학기제가 아닌 학교에서 제공하는 실습교과이므로 해당 대체실습 교과 목에 대한 수강신청 및 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학기 중 수강신청 및 집중수업 운영이 가능하도 록 관련 학칙 등의 개정이 필요합니다.

‒ 대체실습은 일반적인 실습교과로 분류되며, 가상기업 환경을 구축한 실습형태 또는 AR, VR, 동 영상 기반 실습, 교내 실습 등 운영형태는 학교에서 필요한 그리고 운영 가능한 형태로 실습교과 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 현장실습학기제를 졸업요건으로 의무이수 하도록 하고 있는 학교의 경우(특히 졸업예정 학생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의무이수는 해당 학교에서 학칙으로 강제한 사항인 만큼, 국 가재난 상황으로 인한 현장실습학기제 미실시 또는 중단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합 니다.

‒ 참고로 현장실습학기제를 졸업요건으로 의무이수 하도록 하고 있는 학교는 제2장 제1절 ‘현장 실습학기제 운영 원칙’의 [원칙1]에 있는 [운영 기준 및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규정

[시행 2021. 7. 6.] [교육부고시 제2021-19호, 2021. 7. 6., 전부개정]

제28조(대체실습 교과목 운영) 재난 상황에 따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영상 또는 콘텐츠 활용 교육, 교내실습 등으로 바꿔 운영하고자 할 경우 집중수업 형태의 별도 대체실습 교과목 수강을 통해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학교에서는 실습기관과 협의하여 해당 현장실습학기제 중단 및 학생의 현장실습학기 제 수강취소 등의 조치 후 운영하여야 하며, 대체실습을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의 운영기간 및 학점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Dalam dokumen 일통합학습 (WIL) (Halaman 134-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