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년도 부모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이 크게 증가하여 응답자 중 83.0%가 유아・놀이 중심의 개정 누리과정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0년: 62.9%, ’21년: 62.7%).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이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여겨집니다. 전달체계 조사와 사례조사에서도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이해가 증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내실화와 지속성을 위해서는 유아의 권리, 유아기 놀이의 중요성,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의 의미 등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관과 부모의 파트너십 형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유아의 놀이권과 행복권 보장이라는 공통 주제를 두고 기관과 부모는 함께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정 누리과정 목표 달성 정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보면, 모든 항목에서 부모의 평균 점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부모가 응답한 항목 중 자주적인 사람(자신의 일을 스스로 해결하는 기초능력을 기른다)은 4점 척도 기준 평균 2.99점이었습니다. 설문조사 에서 초등학교 1학년 부모들이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교육과정 운영에서 가장 기대했던 점이 기본생활습관 교육이라는 것과 사례조사에서 교사들이 유아 자율성의 극대화가 주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대해 우려스러움을 나타냈다는 것은 부모가 기관에 원하는 바가 교육과정 운영에서 제대로 충족되지 못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초등학교 준비에 대한 부모의 불안을 높일 수 있는 사안이기에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유아・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사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적절한 사례 공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습니다.
1~3차년도 연구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지원을 통해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기본적인 교육과정의 질은 보장하면서 현장의 다양성, 교사의 자율성, 유아의 주도성, 가정과의 연계성이 발현되는 교육・보육 환경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과 지원을 위해 애써주신 연구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단계적 유보통합 과정에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더욱 견고하게 내실화되고 체계화되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73
03
토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