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사업 타당성 분석
4.2 기술적 타당성 검토
가 유사과제 조사 및 중복성 검토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극지 관련 연구는 자연과학 분야 또는 남극 기지 건설, 쇄빙선 건조 등 인프라 분야, 건설/시공 관련 분야에 집중되어 있음
연구개발사업과 과제 수준으로 검토한 결과 사업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 종합적인 관점
에서 중복이 없는 것으로 판단됨
구분 핵심개발과제 목표 성능 및 기술수준 목표설정근거
P1 극한사물인터넷
(IoET) 기술 개발
전송거리10km, 전송속도 2Gbps급 무선
backhaul 네트워크
-80도의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통신장비
및 센서
전송거리100km급의 장거리 통신
전송지연15ms 이하
동시접속운용대수 20대 이상
해외 유사장비 성능 목표
사업 VOC 충족 조건
P2
수중 모바일플랫폼
(HROV) 기술 개
발
작업 수심 3,000m급
AUV 운용시간: 최장 48hrs
AUV 전진속도: 최대 4.5knots
AUV 항법정밀도: 0.3% of traveled distance
수중 정밀 도킹
무접점 충전 및 통신 기술
∙ 충전효율: ≤ 90%,통신속도: ≤ 30kbps
빙하면 하단 3차원 형상 구현 기술
∙ 맵 해상도: 0.3x0.3x0.3m
해외 유사장비 성능 목표
HROV 관련 VOC 충족 조건
<해외 AUV 기술>
작업수심: 4,500m
전진속도: ≤ 4knots
운용시간: ≤ 60hrs
수중항법: IMU, DVL, Depth,
USBL, GPS, TerrNav
센서: MBE, SSS, SBP,
ADCP, Camera
<해외 ROV 기술>
작업수심: 2,500m
외형치수: 3.2(L)x2.9(H)x3.2 (W)m
무게: ≤ 8000kg
❙표 4-2❙ 핵심과제별 기술개발 목표 나 사업계획의 적절성
(사업목표의 구체성과 합리성) 핵심과제별로 명확한 기술개발 목표 및 세부 사양 도출
❙그림 4-2❙ 핵심성과지표 Pool 및 핵심기술별 소요예산
(사업내용의 논리성 및 적절성) 환경분석 및 특허분석,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사업 추진전략 및 기술개발방식의 적절성 확보
❙그림 4-1❙ 환경 및 특허분석, 전문가 설문조사 추진
(성과평가 및 관리체계, 자원투입 및 배분계획의 적절성) 본 사업의 총괄 성과지표 및 핵심
기술과 관련된 성과지표 Pool을 제시하고 이에 소요되는 구체적인 소요 예산 도출
다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
R3I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극한지 로봇 및 장비 분야의 수준 및 역량 진단
- 인력수준은 보통 수준(3.2~3.4점)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조직체계(3.0점)는 약간 미 흡한 수준으로 평가됨
- 예산/법/제도(2.6점)는 매우 미흡하며 인프라(3.6점)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남
- 성과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세부 항목을 보면 미시적성과 (2.8~2.9점)는 다소 부족할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거시적 성과(4.7~4.9점)와 성과평가 (4.7~4.9점)는 높은 수준을 기대하고 있음
- 혁신수준은 4.2~5.7점으로 높을 것으로 평가되어 세부 항목을 보면 미래방향 인식과 자긍심, 혁신의지 모두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음
- 자원수준, 운용수준, 성과수준, 혁신수준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여 전체 역량을 종합적 으로 분석한 결과 현재의 자원 및 운용수준과 비교하여 연구개발을 통한 향후 발전가능 성이 클 것으로 예상됨
❙그림 4-3❙ R3I 종합분석 결과 기술 수준
- 극한지 로봇장비 분야의 기술수준은 설문조사 결과 선진국 대비 약 63% 정도 수준인 것 으로 평가되었음
∙IoET분야에 대한 2가지 기술은 선진국대비 65~67%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HROV분야에 대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특히, AUV 도킹시스템 기술은
❙ 그림 4-4 ❙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세계최고수준 예상 도달시기 60% 수준으로 평가되었음
-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기술수준에 도달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은 11~15년으로 예상한 응답자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의 34%는 6~10년 후로 예측하였음. 응답자의 대부분인 82%가 향후 6~15년 사이에 세계최고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함. 향후 약 10년 전후로 세계 최고 기술수준에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기술수준과 연구수행주체의 기술역량분석(기술 수준 분석 시 세계 최고 기술, 기술 선진국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제시된 사업목표를 계획된 비용 및 기간, 인력
으로 달성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