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R&D 사업 경제성 분석 지침 및 시사점

Dalam dokumen 극한지 개발 및 탐사를 위한 로봇 (Halaman 169-172)

4. 사업 타당성 분석

4.3 경제적 타당성 검토

4.3.1 R&D 사업 경제성 분석 지침 및 시사점

기준년도 및 환율

- 상이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비교 가능한 동일 시점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보고 서의 작성시점인 2017년으로 통일

- 해외 시장 분석에 필요한 환율을 일관성 있게 1달러 당 1150원으로 산출

다 R&D 사업 예비타당성 표준지침의 내용

R&D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의 절차는 ❙표 4-5❙와 같이 먼저 사업 목표 분석에서 출발하여 편익항목을 도출함

❙표 4-3❙ R&D 사업의 편익추정 방법론

구분 예비타당성조사

비용편익분석 시 편익 반영

예비타당성조사 비용편익분석 시 편익 미반영

정(+)의 가치 증가

• 부가가치 증대

- 신기술 적용을 통한 생산량 증가

• 기술거래

- 기술이전에 의한 로열티 수입

• 과학기술지식(논문, 특허 등)

• 국민의 과학기술이해도 향상

• 과학기술자의 교육훈련

• 국가위상의 제고 • 지역개발효과

• 시장권의 확대 • 취업유발효과

• 지역산업구조 개편

• 생산유발효과 • 부가가치 유발효과

• 고용유발효과 • 수입유발효과

• 수출유발효과 • 소득분배효과

부(-)의 가치 감소

• 비용 절감

- 생산투입 자원 및 시간의 절감

- 연구기간, 출장회수 등의 연구수행 비용 절감 - 물류비용 절감

• 피해 비용 감소

-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감소

• 질병비용절감

• 환경비용절감

- 시장 수요로부터의 계량화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하여 수요추정 및 가격추정이 용이하다면 이로부터 편익을 추정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수행

- 시장수요로부터 계량화가 어렵다면 대리시장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고 대리시장이 존재한다

면 현시선호 접근법을 적용하고 대리시장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진술선호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

- 진술선호 접근법의 적용도 어렵다면 효과를 추정하여 비용효과분석으로 경제성 분석을 끝 내며 , 진술선호 접근법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편익을 추정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수행 - 연구개발 부문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사업 시행을 통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편익만을 대상

으로 추정하며 , 전체 경제에 대한 간접적인 파급효과 (예: 산업연관 분석)는 포함하지 않음

가치창출 편익추정

- 소비자 중심의 편익 : 연구개발사업의 효과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경우 소비자 잉여의 창출분 이나 증가분

- 생산자 중심의 편익 : 연구개발사업의 효과가 생산자에게 미치는 경우 생산자 잉여의 창출분 이나 증가분으로 시장수요접근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편익 추정

가치창출 편익 = 미래 시장규모 × 예상 시장점유율 × R&D 기여율 × R&D 사업화 성공률 × 부가가치율 × 사업기여율

비용감소 편익추정

- 비용감소는 신 기술 및 제품의 개발에 따른 기존 생산방식의 변화와 질병 등의 피해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접근이 있음

생산비용저감 편익 = (기존 기술에 의한 단위당 현재 생산비용 × 신기술에 의한 비용 저감율) × 생산규모 × R&D 기여율 × R&D 사업화 성공률 × 부가가치율 × 사업기여율

피해비용저감 편익 = 총비용 × 비용 절감율 × R&D 기여율 × R&D 사업화 성공률 × 사업기여율

라 시사점 및 주요 소결

극한지 개발 및 탐사를 위한 로봇․장비 기술개발 사업은 기본적으로 정부의 재원으로 수행 되는 R&D 사업이므로 국가재정 R&D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의 일반적인 지침과 표준 적인 지침을 담고 있는 한국개발연구원(2008, 2013)이 발표한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 및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1, 2014)이 발표한 R&D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을 적

용하여 R&D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특히 편익의 추정과 관련하여 R&D 사업 표준지침에서는 크게 가치를 가치창출과 비용감소

로 구분함. 일반적으로 가치창출 편익과 비용감소 편익은 상호 배타적(mutually exclusive)인

편익이기 때문에 동일한 사업에서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없지만, 본 사업은 수중로봇 및 무 선 통신 개발에 따른 제조차원에서의 민간시장 창출과 이러한 시스템을 극지 조사에 사용하 였을 경우 기존 비용의 절감이 나타 날 수 있음. 물론 이 두 개념을 동시에 적용하기 위해서 는 시장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편익규모를 측정해야 함

4.3.2 경제적 타당성 분석

Dalam dokumen 극한지 개발 및 탐사를 위한 로봇 (Halaman 169-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