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4 국내 기술수준 및 역량분석

2.4.1 R3I 분석

우리나라 극한지 로봇 및 장비 분야의 수준 및 역량을 진단하고 핵심현안을 파악하여 미 래 지향적인 연구개발 추진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국내 기술수준 및 역량 분석을 실시함

극한지 로봇 및 장비 연구개발의 수준 및 역량 분석은 자원수준(Resources), 운용수준 (Readiness), 성과수준(Realization) 및 혁신역량(Innovation) 항목으로 R3I모델을 구성 하고 각 세부요소별로 설문항목을 구성하여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함

각 설문항목의 내용은 부록에 제시하였으며, 기술수준인식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 대 해서 7점 척도의 객관식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분석함

❙그림 2-68❙ R3I 설문 모델 구성

설문조사 대상은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분야와 관련성이 있는 로봇, 장비, 메카트로닉 스, 해양공학, 등의 분야의 산업계, 학계 및 연구계 종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음

- 설문응답자의 학위는 박사학위자가 약 55%, 석사학위자가 37%로 설문조사에서 충분한

전문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됨

- 응답자의 경력분포는 20년 이상의 경력자가 21%, 11년 이상의 경력자가 63% 참여하여 관련 분야의 풍부한 현장 및 실무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됨

❙ 그림 2-69❙ 설문응답자 산학연 분포

❙그림 2-70❙ 설문응답자 경력 분포

R3I 분석 결과

자원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약간 미흡한 정도 수준으로 평가되었음

- 세부 항목으로 보면 인력수준은 보통 수준(3.2~3.4점)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조직 체계(3.0점)는 약간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됨

- 예산/법/제도(2.6점)는 매우 미흡하며 인프라(3.6점)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남

구분 질문내용 평균점수

인력

우리나라가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적정 수준의

연구개발 인력 규모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양적인 측면) 3.4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들 간의 개인적 혹은 연구 집단간

네트워크가 적절히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양적인 측면) 3.2 조직체계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연구개발과 관련하여 현재 국내 여건에 적합한 연구

개발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0

예산/법/

제도

우리나라는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사업에 필요한 적절한 수준의 예산

을 투자하고 있습니까? 2.6

우리나라는 국내⋅외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산업의 발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의적절한 법체제 및 제도를 구비하고 있다고 생각하십 니까?

2.6

인프라 국내에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연구에 필요한 적절한 수준의 시설(정보

시스템 포함)이 갖추어져 있습니까? 3.6

❙표 2-22 ❙ 자원수준 설문결과

운용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약간 미흡한 정도 수준으로 평가되었음

- 세부 항목을 보면 인력의 전문역량이나 연구개발 조직운영/문화는 보통 수준(3.4~3.7

점)으로 평가되었으나, 예산/법/제도 운용(2.7점)과 인프라 활용(2.7~3.1점) 부분이 보

통수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구분 질문내용 평균점수

인력의 전문역량

국내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들의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

경험 등 전문성은 외국(미국, 일본, EU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떻습니까? 3.4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연구집단/연구과제 간의 네트워킹

등 협동/협력은 외국(미국, 일본, EU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떻습니까? 3.1 예산/법/제

도 운용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지원이 적기에 이루어지며, 법

제도는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까? 2.7

인프라 활용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과 관련된 연구 장비의 공유 정도와 활용도는

높은 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7

관련 연구지원 시설(정보화시스템 포함) 및 인프라는 잘 활용되고 있습니까? 3.1 연구개발

조직 운영/문화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사업과 관련한 󰡔주관연구책임자 - 세부과제책임 자 - 연구원󰡕 간에는 리더십(Leadership)과 팔로어십(Followership)이 적절히 형 성되어서 적절한 권한위임(Empowerment)에 의해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까?

3.6

❙ 표 2-23❙ 운용수준 설문결과

성과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음

- 세부 항목을 보면 미시적성과(2.8~2.9점)는 다소 부족할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거시적 성과(4.7~4.9점)와 성과평가(4.7~4.9점)는 높은 수준을 기대하고 있음

구분 질문내용 평균점수

미시적 성과

국내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의 해당분야 논문 및 특허성

과는 외국(미국, 일본, EU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까? (질적인 측면) 2.8 국내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의 해당분야 실용화 및 사업

화 실적 등은 외국(미국, 일본, EU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까? 2.9

거시적 성과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사업에서 연구된 핵심기술이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다/높을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4.9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에서 도출된 핵심기술이 기후변화 대응, 친환 경 녹색성장, 국격 제고 등의 국가 정책추진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다/높을 것 으로 생각하십니까?

4.7

성과평가

연구자 이외 외부인(여타 분야 연구자, 산업계, 관련기관 등)들이 신형 항만구

조물 개발사업의 성과 수준을 높게 평가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4.7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당사자의 입장에서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사업의 성과 수준이 높다/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4.9

❙ 표 2-24❙ 성과수준 설문결과

혁신수준은 4.2~5.7점으로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음

- 세부 항목을 보면 미래방향 인식과 자긍심, 혁신의지 모두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음

구분 질문내용 평균점수

미래방향 인식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이 국가의 녹색성장과 신성장동력 창출 등의 국가정책 추진을 위해 6T(IT/육상BT/NT(나노)/ET(환경) /ST(우주) /CT(문화))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2

자긍심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개발에 대한 자긍심(자

발적 참여/노력 등)이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5.2

혁신의지

향후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사업 연구과제가 새롭게 기획되면, 여기

에 적극 참여할 의지를 가지고 있으십니까? 5.7

극한지 로봇 및 장비 기술 개발 관련 연구자들의 창의/혁신 의욕과 노력의 정 도는 국내의 여타분야(IT/육상BT/NT(나노)/ET(환경)/ST(우주)/CT(문화)) 혹은 외 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떠합니까?

4.2

❙ 표 2-25❙ 혁신수준 설문결과

자원수준, 운용수준, 성과수준, 혁신수준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여 전체 역량을 종합적 으로 분석함

- 자원수준과 운용수준은 각각 3.1점, 3.1점으로 보통 이하인 것으로 평가되었음. 이는 현 재 국내에 극한지 로봇관련 기술개발 사례가 미흡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됨 - 성과수준은 4.2점, 혁신수준은 5.1점으로 높게 나타났음. 이는 향후 R&D 투자로 인해

예상되는 성과 및 혁신 수준은 높다는 것을 의미함

- 결과적으로 현재의 자원 및 운용수준과 비교하여 연구개발을 통한 향후 발전가능성이

크다고 기대되는 분야이므로 R&D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됨

❙그림 2-71❙ R3I 종합분석 결과

기술수준인식

극한지 로봇장비 분야의 기술수준은 설문조사 결과 선진국 대비 약 63% 정도 수준인 것으 로 평가되었음

.

∙IoET

분야에 대한

2

가지 기술은 선진국대비

65~67%

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 HROV

분야에 대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

.

특히

, AUV

도킹시스템 기술은

60%

수준으로 평가되었음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기술수준에 도달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은 11~15년으로 예상한

응답자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의 34%는 6~10년 후로 예측하였음. 응답자의 대

부분인 82%가 향후 6~15년 사이에 세계최고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함. 향후 약 10년

전후로 세계 최고 기술수준에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72❙ 기술수준인식

❙그림 2-73❙ 세계최고수준 도달시기 예상

2.4.2 SWOT 분석

Dalam dokumen 극한지 개발 및 탐사를 위한 로봇 (Halaman 1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