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조사대상지 선정
◾
조사대상지를 다도해해상 5곳(육도, 소구도, 상도, 청산도 범바위·백련암), 한려해상 2곳 (어유도, 노도) 총 7곳 선정◾
초기 복원사업 상황이 비교적 잘 파악되어 복원 효과를 검증하기가 용이한 곳 위주로 조사대상지를 선정하였음공원 세부지역 복원사업 연도 모니터링 최종시점 조사대상지
다도해해상(5곳)
육도 2007 2008 ○
소구도 2005, 2007 2009 ○
청산도 범바위 2005, 2009 2009 ○
청산도 백련암 2005, 2009 2015 ○
불근도 2009 2015 ×
상도 2009 2014 ○
횡간도 2009 2015 ×
다물도 2009 2014 ×
한려해상(2곳)
어유도 2009 2014 ○
소매물도 2009 2014 ×
노도 2009 2014 ○
마도 2009 2014 ×
태안해안 가의도 2009 2013 ×
[표 Ⅱ-23]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를 위한 조사대상지
3.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방법
[고정조사구 설치개념도]
[고정조사구 안내판 설치] [방형구 꼭짓점에 고정말뚝을 박고 알루미늄 라벨 부착]
[그림 Ⅱ-24] 도서 숲 복원사업지 모니터링 고정조사구 설치
나. 조사 및 분석 방법 1) 조사구 설치
◾
복원사업 효과성을 비교·검증하기 위해 조사대상지별로 복원사업지(실험구)와 비복 원사업지(대조구)로 구별하여 총 32개 조사구(크기 10×10m)를 설치하여 식생조사 실시◾
또 과거 복원사업을 시행한 7곳 지역에 9개소의 고정조사구(크기 10×10m)를 설치 하여 향후 모니터링 조사 기반을 구축하였음◾
고정조사구 4곳의 꼭짓점에 고정말뚝을 박고 조사구의 중앙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모니터링 조사구를 명확하게 표시하였음공원 세부지역 조사구 개수
복원사업지(실험구) 비복원사업지(대조구) 비고
다도해해상
육도 3(고정조사구 1, 일반조사구 2) 2
소구도 4(고정 1, 일반 3) 2
청산도 범바위 2(고정 1, 일반 1) 1
청산도 백련암 3(고정 2, 일반 1) 2
상도 2(고정 1, 일반 1) 1
한려해상 어유도 4(고정 2, 일반 2) 3
이곳의 양호한 상록활엽수림에 대조구
1개 조사
노도 1 (고정 1) 2
계 7곳 19 13
[표 Ⅱ-24]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를 위한 조사구 설치 및 개수
2) 식생조사
◾
입지환경 조사: 좌표(GPS), 사면방위, 경사도, 해발고, 지형, 이화학적 토양 성질 등을 조사하여, 식재수종 생장량 등의 식생복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음◾
정량적 식생조사: 복원사업지(실험구)와 비복원사업지(대조구)에 각각 10×1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이 방형구에 출현하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과 수고, 수관폭 조사◾
층위 구분: 상층 수관을 이루는 수목을 교목층, 교목층 이하의 수목 중 수고 2m 이상인 수목을 아교목층, 수고 2m 미만의 수목을 관목층으로 층위를 나눠 모든 수목 조사 실시◾
측정항목- 교목・아교목층: 흉고직경(높이1.2m), 수고 - 관목층: 수관폭(장변×단변), 수고
◾
연륜생장량 측정: 생장추를 이용해 연간 생장량 및 수령(樹齡) 조사3.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방법
3) 식생조사 데이터 분석
◾
각 조사대상지의 출현수종별 상대적 우세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상대우점치(Brower and Zar, 1977) 및 평균상대우점치 계산◾
조사지별 종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위면적당(100m²) 종다양도(H´), 종수 및 개체수 산출◾
군락구조 특성과 임상동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대상지의 흉고직경급 분석 실시[수고 측정과 조사한 수목 페인트칠 표시] [조사구에 출현한 수목별 흉고직경 측정]
[그림 Ⅱ-25] 도서 숲 복원사업지 식생조사 모습 4) 복원사업 효과평가
◾
사업대상지와 대조구간 비교분석- 복원사업 대상지별 대조구(비복원사업지)와 비교하여 현재의 식생복원 수준 평가
◾
사업대상지와 우수한 난온대림간 비교분석- 사업대상지의 식생복원 수준이 우수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어유도)에 비교하여 복원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였음
5) 복원사업 대상지의 식피율, 식생지수 분석(토지피복 시계열 분석)
◾
Landsat영상을 이용한 복원대상지 토지피복 및 식생지수 분석으로 기초 데이터 구축◾
과거 정사영상, 항공영상, 드론 촬영을 이용한 토지피복 시계열 분석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 연구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