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복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나무, 낙엽수가 우거진 곳이나 계곡 등 해풍에 의한 환경압이 낮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향후 복원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한 후 복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프로젝트. 섬숲 복원사업에서 유의할 점은 대상지의 깊이 확보, 토양개량 등 적합한 식재기반 조성은 물론, 적절한 식재배합을 통한 공동체 식재 등 섬세한 복원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종을 제거하여 환경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고 초식동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합니다.
연구개요
연구배경
서남해안 및 도서지역은 한반도 기후대 중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아 국가생물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국립공원의 훼손된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한 도서산림복원사업이 최초로 추진되었다. 섬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복원하고 섬을 보존하며 문화의 고유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2007년에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관리청이 자체사업으로 육도와 소구도 복원사업을 추진했다.
연구목적
연구경과 및 방법
도서 숲 복원사업 추진 경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 복원조사 1) 복원사업개요. 목초지에 있는 집토끼를 구출한 후 복원사업을 추진합니다.
도서 숲 복원사업지 사전답사
소나무와 비슷한 수준으로 자라는 식재종인 산사나무] [식재종과 소나무가 경쟁하는 식생구조의 형성]. 수관층을 형성하는 억새 군락] [압력으로 인한 식재종의 고사 및 발육 부진 등].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평가방법
복원사업현장(실험지구) 비복원사업현장(통제지구) 비고. 복원사업부지별 관리부지(비복원사업부지) 대비 식생복원 현황을 평가한다. 복원사업의 유효성은 사업대상지의 식생복원 수준이 우수한 온대상록활엽수림(어유도)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5) 복원사업지의 식생피복률 및 식생지수 분석(토지피복 시계열 분석)
Landsat 영상을 활용하여 복원대상지역의 토지피복 및 식생지수를 분석하여 기초자료 구축
연구결과 및 고찰
도서 숲 복원사업 효과성 검증
2는 미복구지역으로 흑송이 수목층, 동백나무가 견목층, 소나무가 관목층을 우세한 지역이다. 영역 2(곰파인 숲)에서는 곰핀이 나무층을 지배하고 사스퍼피는 관목층을 지배했습니다. 2번지는 복원사업 현장인데 식재된 나무종이 대부분 고사하고 상동나무군락이 덤불을 형성하고 있다.
1지역(복원사업지)은 은크림나무 군락으로, 수목층에서는 은오이나무가 우점종, 관목층에서는 동백나무가 우점종이었다. 복원사업 주변 지역은 곰송림으로 목재층은 소나무, 견목층은 사스레피나무로 구성된다. 소나무와 관목층에서는 흰색과 흰색의 꽃이 우점종이었다.
도서 숲 복원사업 성과
황무지, 목초지 등 훼손지 복원사업과 상록활엽수종의 재식재사업을 추진하는데 성공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섬숲복원사업지역의 부지환경 유형(수관층 유무)에 따라 복원사업의 효율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래 섬숲 복원사업의 조기 실효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관층의 존재로 인한 환경압력이 완화된 복원사업지역 유형(퇴행천이송림, 오리숲)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야 한다.
황무지나 초원 등 불가피하게 수관층이 없는 복원사업 현장에 대해 조기에 수관층을 형성할 수 있는 공동체 식재 모듈을 개발한다.
도서 숲 복원사업 주의사항
특히 수관층이 없어 잡초 발생률이 높은 복원사업 현장에서는 칡덩굴 등의 잡초를 3~5년간 연 3회 정도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가지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집중 관리한다. 식재된 수종이 서로 겹쳐 수관층이 정체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복원사업부지의 유지관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식물종을 1~2주/㎡ 수준으로 고밀도로 식재하여 식물종간 경쟁을 통해 수목생장을 촉진(개체효과)하여 수관층을 1~2주/㎡ 수준으로 식재해야 한다. 초기 단계. 염소, 토끼 등 초식동물이 식재된 수종의 줄기나 잎을 갉아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있었고, 멧돼지가 복원사업 현장에서 흙을 파헤쳐 사업장을 훼손해 복원을 촉발한 사례도 있었다. 실패할 프로젝트.
식재한 수종별로 철망으로 감싸 피해를 방지하거나 공사현장 경계선을 따라 울타리를 설치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도서 숲 복원사업의 추진방법
낙엽수림, 활엽수, 소나무 등 온대성 수종이 경쟁하는 지역에 임업사업을 통해 온대성 수종을 산림으로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난온대 천이계로 퇴화된 낙엽활엽수림, 낙엽참나무림, 곰송림 하층부에 상록활엽수종을 적극적으로 식재하여 식생구조를 개선한다. 수목층의 낙엽활엽수 일부를 선별하여 베고, 하층식생인 잡초를 제거한 후 온대성 수종의 군락식재를 실시한다.
황폐화되고 유휴지역에 온대림의 식생구조를 모방하여 새로운 온대상록낙엽수림을 조성한다.
참고문헌
松線虫病に強い河畔林づくりに関する研究。
부 록
조사구별 평균상대우점치 분석결과
조사지역별 평균 상대우위 분석(계속) 상도 조사지역별 평균 상대우위 점수 분석. 상도 조사지역별 평균 상대우위 분석(계속).
노도 연구지구별 평균 상대우위 점수 분석.
도서 숲 효과성 평가 조사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