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서 숲 효과성 평가 조사야장

Ⅴ. 부록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육도 조사지 번호: 2(일반)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36 팽나무 3.5 사스레피나무 130×140 ×

30 천선과나무 3.5 마삭줄 10×10(40) ×

돈나무 5+4 자금우 10×10(10) ×

천선과나무 2.5 예덕나무 10×10(4) ×

후박나무 3 20×20(2) ×

천선과나무 3+2.5 송악 10×10 ×

4 자금우 10×10(8) ×

누리장나무 2.5 송악 10×10(200) ×

돈나무 2+2+2 자금우 10×10(2) ×

누리장나무 3 광나무 20×20 ×

4+4 보리밥나무 70×70 ×

돈나무 6.5 × ×

후박나무 8 × ×

구실잣밤나무 14 × ×

16.5 × ×

누리장나무 4.5 × ×

돈나무 2.5+2.5+2+4 × ×

구실잣밤나무 15 × ×

누리장나무 3.5 × ×

4 × ×

후박나무 9.5 × ×

돈나무 4 × ×

예덕나무 3 × ×

5 × ×

후박나무 4.5 × ×

누리장나무 4 × ×

3.5+4+4.5 × ×

돈나무 8.5 × ×

천선과나무 6+4+3+3 × ×

돈나무 2.5+1.5+1 × ×

누리장나무 2.5 × ×

구실잣밤나무 10 × ×

11.5 × ×

누리장나무 2 × ×

구실잣밤나무 11 × ×

후박나무 3+3 × ×

돈나무 3 × ×

누리장나무 2 × ×

구실잣밤나무 12 × ×

후박나무 3 × ×

12 × ×

누리장나무 4 × ×

3.5 × ×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육도 조사지 번호: 3(일반)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30 예덕나무 4 누리장나무 30×20 ×

47.5 후박나무 3.5 예덕나무 10×10 ×

31 구실잣밤나무 14 자금우 5×5(2) ×

27 돈나무 5+6+2.5 5×5(5) ×

구실잣밤나무 7.5+4 송악 30×10 ×

6 10×10(4) ×

후박나무 3.5 예덕나무 25×25 ×

구실잣밤나무 16 마삭줄 15×10(67) ×

6 누리장나무 30×20 ×

광나무 1.5+1+1 동백나무 20×20 ×

구실잣밤나무 6+8+3+2.5 자금우 15×15(2) ×

자귀나무 4+2 송악 10×10(5) ×

예덕나무 2 보리밥나무 20×20 ×

광나무 3+3.5 120×120 ×

후박나무 10 × ×

구실잣밤나무 11.5 × ×

예덕나무 6 × ×

천선과나무 2+2 × ×

광나무 3.5+1 × ×

후박나무 3.5 × ×

5+3+3 × ×

구실잣밤나무 13 × ×

12.5 × ×

예덕나무 2.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부록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육도 조사지 번호: 4(대조)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30 사스레피나무 8+5 송악 10×10 ×

38 천선과나무 4+4.5 담쟁이덩굴 40×20 ×

5+3 송악 70×10 ×

꾸지뽕나무 2 청미래덩굴 50×30 ×

2 광나무 5×5 ×

팽나무 2.5 꾸지뽕나무 5×5 ×

꾸지뽕나무 1.5 광나무 15×10 ×

천선과나무 2 청미래덩굴 5×5(2) ×

2 보리밥나무 5×5 ×

3 광나무 10×15 ×

4 천선과나무 100×80 ×

꾸지뽕나무 2 110×100 ×

3 동백나무 60×45 ×

2 자금우 15×15 ×

천선과나무 1 5×5(4) ×

2.5 예덕나무 15×10 ×

천선과나무 1.5 25×20 ×

1 동백나무 5×5 ×

돈나무 5 10×5 ×

천선과나무 3 담쟁이덩굴 25×5 ×

1.5 사철나무 10×5 ×

1.5 천선과나무 15×15 ×

꾸지뽕나무 9 40×30 ×

4 동백나무 150×130 ×

동백나무 7.5+9+6+5.5 +8.5+10+4.5

자금우 5×5 ×

예덕나무 10×10 ×

2+2 꾸지뽕나무 5×5 ×

예덕나무 18 동백나무 10×10 ×

동백나무 6+6+5+2.5+6 +13.5+7.5+5+11

천선과나무 15×10 ×

동백나무 10×10 ×

사스레피나무 5.5+2+1.5 꾸지뽕나무 25×10 ×

동백나무 8.5+6 10×10 ×

누리장나무 8.5 청미래덩굴 10×10(2) ×

팽나무 2 천선과나무 15×10 ×

꾸지뽕나무 9.5 청미래덩굴 15×15 ×

누리장나무 2 40×20 ×

송악 40×10(2) ×

20×10(6) ×

10×10(15) ×

× ×

× ×

× ×

× ×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육도 조사지 번호: 5(대조)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48 사스레피나무 10 붉나무 20×10 ×

24 9 송악 10×10(2) ×

천선과나무 2 30×20 ×

2 담쟁이덩굴 30×10(2) ×

누리장나무 6+4 동백나무 50×40 ×

천선과나무 2.5 청미래덩굴 80×70 ×

누리장나무 3.5 후박나무 15×10 ×

천선과나무 2.5 붉나무 20×10(2) ×

사스레피나무 9 마삭줄 10×5 ×

2.5 청미래덩굴 60×40(2) ×

초피나무 4+2 송악 25×20(3) ×

팽나무 5 마삭줄 15×10(2) ×

2.5 후박나무 5×5 ×

광나무 6+3.5+2.5+4+4 마삭줄 120×30 ×

누리장나무 7 붉나무 10×10 ×

천선과나무 2 광나무 5×5 ×

동백나무 14.5+13+11+8 사스레피나무 25×20 ×

돈나무 2.5 마삭줄 60×40(2) ×

붉나무 7 후박나무 10×5 ×

4 광나무 5×5(2) ×

사스레피나무 6 청미래덩굴 10×5 ×

광나무 7 마삭줄 100×20(2) ×

3 자금우 10×10(3) ×

사스레피나무 9 광나무 20×10 ×

4.5 보리밥나무 5×5 ×

광나무 3 자금우 5×5 ×

사스레피나무 5.5 광나무 10×5 ×

9 10×5 ×

광나무 3+4+3+3.5 붉나무 40×40 ×

꾸지뽕나무 30×20 ×

후박나무 20×10 ×

검노린재나무 65×50 ×

광나무 10×10 ×

예덕나무 40×20 ×

10×5 ×

15×10(3) ×

담쟁이덩굴 80×20(5) ×

송악 40×15(4) ×

70×20(10) ×

× ×

× ×

× ×

× ×

Ⅴ. 부록

식물군집구조 상세 야장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1(고정)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수관폭(cm)

예덕나무 10×10

팥배나무 10×10

멍석딸기 10×10(2)

조록싸리 70×30

동백나무 50×50

예덕나무 20×20

15×15

10×10

20×20

조록싸리 30×20

광나무 25×20

30×30

예덕나무 20×20

광나무 10×10

10×10

붉나무 10×10

청미래덩굴 10×10

×

×

×

×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번호 종명 수고(m) 흉고직경(cm) 번호 종명 수고(m) 흉고직경(cm) 번호 종명 수고(m) 흉고직경(cm)

33 곰솔 19.5 23 1 구실잣밤나무 7.2 16 32 예덕나무 3.8 4

59 19.5 37 2 돈나무 2.5 2 34 광나무 4.0 3

3 예덕나무 3.5 2.5 35 예덕나무 4.2 2

4 조록싸리 3.0 1.5+1.5 36 구실잣밤나무 6.7 8.5

5 붉나무 3.9 4 37 붉나무 4.3 2.5

6 예덕나무 3.9 4 38 예덕나무 3.2 2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7 3.9 4 39 4.1 3

8 4.3 2 40 4.2 2

65 예덕나무 3.9 3+3 9 4.4 2 41 4.0 3

66 3.6 2.5 10 4.5 3.5+2.5 42 4.3 3.5

67 붉나무 3.5 2 11 4.3 4 43 3.3 2.5

68 돈나무 3.8 4 12 4.0 4 44 구실잣밤나무 8.1 9.5

69 예덕나무 4.3 3 13 조록싸리 2.7 1.5+1 45 예덕나무 4.2 3

70 2.6 1.5 14 예덕나무 3.5 2.5 46 3.9 3

71 3.0 2 15 3.8 3 47 구실잣밤나무 7.3 13

72 돈나무 4.9 4+2 16 구실잣밤나무 9.8 17 48 광나무 2.4 2.5+2

73 붉나무 3.8 2 17 예덕나무 3.5 2 49 예덕나무 4.4 2.5+2.5

74 예덕나무 4.4 4 18 조록싸리 3.3 2 50 3.3 2

75 조록싸리 2.7 2+1 19 2.6 1+1 51 광나무 2.9 3

76 예덕나무 4.1 3 20 광나무 3.3 3+3+2.5 52 예덕나무 4.2 3+3

77 구실잣밤나무 8.6 13.5 21 붉나무 2.9 2.5 53 4.3 2.5

78 예덕나무 3.2 3 22 예덕나무 3.9 3 54 4.0 3.5

79 3.4 3+2 23 붉나무 3.2 2.5 55 조록싸리 2.4 1

80 돈나무 3.6 3.5 24 광나무 3.4 3+3 56 예덕나무 3.7 2.5

81 예덕나무 4.4 4 25 조록싸리 4.0 2+2+1.5+2.5 57 3.9 3

82 조록싸리 2.3 1.5 26 붉나무 3.3 2 58 3.5 3

83 예덕나무 4.8 3.5+2.5+3.5 27 예덕나무 4.3 3.5 60 4.2 8+7

84 4.6 3 28 구실잣밤나무 7.6 12 61 조록싸리 2.6 2

85 4.3 3 29 6.2 8 62 후박나무 4.2 5

86 구실잣밤나무 7.4 13 30 붉나무 3.5 3 63 예덕나무 3.3 3

87 예덕나무 3.9 9 31 예덕나무 4.2 3 64 붉나무 4.1 2.5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2(일반)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20 예덕나무 2.5 멍석딸기 15×15(2) ×

27.5 3.5 예덕나무 10×10 ×

붉나무 1 해변싸리 10×10(2) ×

2 폭나무 10×10 ×

구실잣밤나무 13 돌가시나무 5×5(2) ×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예덕나무 5 광나무 15×15 ×

돈나무 2 돌가시나무 20×10 ×

예덕나무 2 예덕나무 4+3 35×20 ×

4+2.5+4+3.5 2.5 30×20 ×

3+3+2.5 1.5 후박나무 60×30 ×

1.5 1.5 광나무 20×10 ×

돈나무 5 구실잣밤나무 15.5 10×10 ×

붉나무 3 돈나무 2.5 멍석딸기 20×20 ×

예덕나무 3 예덕나무 2 10×10 ×

3 후박나무 2 팽나무 5×5 ×

돈나무 2 예덕나무 4 상동나무 30×30 ×

2 2 예덕나무 10×10(2) ×

예덕나무 2.5 2 멍석딸기 10×10(3) ×

2.5 2.5 20×10(3) ×

붉나무 2 2 고욤나무 10×10 ×

2.5 3.5+3+2.5 멍석딸기 15×15(2) ×

예덕나무 3 3 후박나무 150×100 ×

자귀나무 7.5+5.5+3.5 2 돈나무 70×70 ×

굴피나무 2.5 1.5 멍석딸기 15×15 ×

붉나무 2.5 2 10×10 ×

예덕나무 3.5+2.5 3+2.5 15×15 ×

4 2 벚나무류 10×10 ×

3.5 2 싸리 20×20 ×

2.5 싸리 2+2.5 멍석딸기 10×10(4) ×

붉나무 2 예덕나무 2 붉나무 50×50 ×

돈나무 4+2 3 동백나무 30×10 ×

예덕나무 2 돈나무 2.5+2 예덕나무 10×10 ×

3 구실잣밤나무 9.5 멍석딸기 15×15(6) ×

싸리 2.5 붉나무 2 예덕나무 10×10 ×

붉나무 2 구실잣밤나무 10 멍석딸기 10×10(2) ×

싸리 2.5+2 예덕나무 3+2 × ×

예덕나무 2+2 4.5+4+2 × ×

광나무 2.5+2 3+2 × ×

붉나무 2 4+3 × ×

예덕나무 4 5.5+4 × ×

1.5 후박나무 4 × ×

붉나무 1.5 예덕나무 1.5 × ×

예덕나무 3.5+3.5 1.5+1 × ×

4 광나무 4+3+2 × ×

싸리 3 예덕나무 2 × ×

Ⅴ. 부록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3(일반)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27.5 구실잣밤나무 12 진달래 145×90 자금우 10×10(2)

9 땅비싸리 15×10 ×

8+3+3.5+2 멍석딸기 15×10 ×

예덕나무 5.5+3.5+3 땅비싸리 10×10 ×

4 벚나무류 10×10 ×

3 진달래 60×85 ×

구실잣밤나무 5 90×50 ×

예덕나무 3 예덕나무 90×40 ×

4+3 진달래 15×10 ×

광나무 2.5+2 마삭줄 10×10 ×

예덕나무 4+4 돌가시나무 10×10 ×

광나무 2 40×20 ×

예덕나무 2 20×20(2) ×

2.5 돈나무 15×10 ×

조록싸리 1.5+1 땅비싸리 10×10(85) ×

예덕나무 3.5+2 25×20(4) ×

돈나무 2.5 진달래 150×100 ×

예덕나무 2.5 멍석딸기 15×10 ×

조록싸리 1.5 폭나무 10×10 ×

구실잣밤나무 9.5 멍석딸기 30×15 ×

조록싸리 1.5+1.5 청미래덩굴 5×5 ×

1+5.5+1.5+1 예덕나무 30×30 ×

1 진달래 50×40 ×

1.5 산초나무 10×10 ×

1 멍석딸기 15×10 ×

1.5 싸리 5×5 ×

1+1.5 폭나무 5×5 ×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예덕나무 5 해변싸리 5×5 ×

4+3 자금우 10×10(4) ×

예덕나무 1.5 붉나무 2 5×5 ×

광나무 4.5+3 2.5 예덕나무 70×90 ×

구실잣밤나무 10 예덕나무 3 90×50 ×

15 광나무 3+2.5+2.5+3 멍석딸기 20×10 ×

광나무 2.5+1.5 조록싸리 1 돌가시나무 10×10 ×

사스레피나무 6+4 구실잣밤나무 13 광나무 5×5 ×

2+2.5 11 자금우 10×10(6) ×

예덕나무 2.5 예덕나무 2 40×30 ×

돈나무 4.5 구실잣밤나무 10 광나무 5×5 ×

광나무 2+2 붉나무 2 × ×

돈나무 2 사스레피나무 6 × ×

사스레피나무 3.5+3.5+4+4+2+

3.5+4.5+3.5+3.5

구실잣밤나무 11.5 × ×

후박나무 3 × ×

2 구실잣밤나무 10 × ×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4(대조)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28 소태나무 16 폭나무 15×20 ×

28 두릅나무 4 광나무 10×10 ×

2 30×30 ×

폭나무 9+4 40×40 ×

소태나무 13+5 60×60 ×

예덕나무 2 80×80 ×

3 110×100 ×

폭나무 13+7 100×40 ×

예덕나무 3.5 돈나무 15×15 ×

광나무 3+3 예덕나무 15×15 ×

예덕나무 2 돈나무 40×40 ×

두릅나무 2 광나무 70×70 ×

예덕나무 2.5 40×40 ×

5 120×100 ×

조록싸리 2 폭나무 15×10 ×

누리장나무 2.5 두릅나무 30×20 ×

예덕나무 5+3 폭나무 10×10 ×

4 10×10 ×

두릅나무 3 15×15 ×

예덕나무 4 두릅나무 60×60 ×

30×30 ×

60×60 ×

40×40 ×

20×20 ×

고욤나무 50×50 ×

폭나무 20×20 ×

상동나무 20×20 ×

폭나무 10×10 ×

청가시덩굴 50×20 ×

마삭줄 10×5(6) ×

돈나무 10×10 ×

광나무 80×70 ×

폭나무 15×15 ×

10×10 ×

청미래덩굴 15×15 ×

광나무 5×5 ×

두릅나무 20×10 ×

× ×

× ×

× ×

× ×

× ×

× ×

Ⅴ. 부록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5(일반)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23.5 구실잣밤나무 14.5 청미래덩굴 5×5(2) ×

34 돈나무 4 10×5(2) ×

26.5 예덕나무 11+7 5×5 ×

27 구실잣밤나무 12.5 보리밥나무 5×5(2) ×

28 6 10×5 ×

26 예덕나무 23 청미래덩굴 15×10 ×

돈나무 2 광나무 10×10 ×

구실잣밤나무 9.5 담쟁이덩굴 15×5 ×

3.5 5×5(7) ×

후박나무 3 청가시덩굴 15×15 ×

5 광나무 10×20 ×

예덕나무 5 40×30 ×

구실잣밤나무 8 50×40 ×

예덕나무 8.5+9+8+8+10.5 15×15 ×

3 30×30 ×

돈나무 3.5 190×100 ×

구실잣밤나무 16 담쟁이덩굴 50×10(2) ×

예덕나무 3.5 광나무 20×20(2) ×

후박나무 2 자금우 5×5 ×

구실잣밤나무 11 광나무 15×15 ×

예덕나무 3.5 담쟁이덩굴 40×10(3) ×

구실잣밤나무 11.5 10×10 ×

예덕나무 4.5 자금우 5×5(3) ×

후박나무 3.5 10×10 ×

예덕나무 6.5+5 5×5(3) ×

후박나무 4 보리밥나무 30×30 ×

예덕나무 3 광나무 20×20 ×

후박나무 5 보리밥나무 10×10 ×

구실잣밤나무 10 × ×

광나무 8+7 × ×

후박나무 2 × ×

2.5 × ×

구실잣밤나무 6 × ×

7 × ×

예덕나무 6 × ×

7.5 × ×

구실잣밤나무 4.5 × ×

후박나무 4.5 × ×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구실잣밤나무 8 × ×

후박나무 3 × ×

예덕나무 2+2.5 예덕나무 3+3 × ×

후박나무 2 10.5+12 × ×

예덕나무 3 후박나무 5.5 × ×

산림식생 조사표

2019년 6월 24일

조사지: 소구도 조사지 번호: 6(대조) 조사자: 강현미, 정보석 기록자: 이우진 교목층(면적: 10×10m)

(수관층 수목)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관목층(면적: 5×5m) (수고 2m 미만)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흉고직경(cm) 종명 수관폭(cm) 종명 수관폭

곰솔 38 굴피나무 4 멍석딸기 20×20 ×

2+1 15×15 ×

3.5+1.5 15×15 ×

예덕나무 2 동백나무 80×60 ×

굴피나무 3.5 굴피나무 60×60 ×

예덕나무 2+1.5 40×40 ×

광나무 3+2+3+2.5+2+1.5 동백나무 30×30 ×

예덕나무 9 조록싸리 50×50 ×

굴피나무 3 예덕나무 30×30 ×

2 동백나무 40×30 ×

예덕나무 2.5 상동나무 160×100 ×

4+2.5 돌가시나무 60×20 ×

굴피나무 2+1.5 광나무 40×40 ×

예덕나무 2.5 붉나무 20×20 ×

2+2.5 멍석딸기 10×10 ×

2.5+2.5 굴피나무 70×40 ×

굴피나무 2 20×10 ×

예덕나무 2 60×60 ×

2+2.5 동백나무 50×40 ×

광나무 2 예덕나무 10×10 ×

예덕나무 3+3 청미래덩굴 30×30 ×

굴피나무 2 멍석딸기 30×30 ×

예덕나무 3.5 10×10 ×

굴피나무 3 15×15 ×

예덕나무 3 상동나무 130×50 ×

굴피나무 2 멍석딸기 20×20 ×

예덕나무 2.5 예덕나무 50×50 ×

3 해변싸리 10×10(10) ×

2.5 동백나무 20×10 ×

아교목층(면적: 10×10m) (수고 2m 이상)

2 × ×

광나무 3.5 × ×

예덕나무 2.5 예덕나무 2.5 × ×

굴피나무 2 붉나무 2 × ×

예덕나무 2.5+1.5+2+2 예덕나무 2.5 × ×

2.5+5+4 붉나무 2 × ×

굴피나무 1.5 예덕나무 3 × ×

예덕나무 4.5 굴피나무 2.5 × ×

돈나무 3.5 굴피나무 4+3.5 × ×

굴피나무 2 돈나무 4 × ×

2.5 굴피나무 3 × ×

2.5 7+3.5 × ×

붉나무 2 붉나무 3 × ×

예덕나무 2.5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