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형의 방정식 1.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Dalam dokumen 1 포물선 (Halaman 74-78)

이므로

2. 도형의 방정식 1.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151. [정답] ①

[풀이]

[출제의도] 두 직선이 수직일 조건을 알고 있는가?

두 직선이 수직이므로, 방향벡터의 내적이 이다.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152. [정답] 10 [풀이]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출제의도] 평면의 법선벡터를 이용하여 두 점의 위치를 정하고, 선분 의 길이를 구할 수 있는가?

A  로 놓으면    ··· ㉠ 좌표공간의 원점을 O라 하면

PA  OA OP            

두 벡터 PA 가 서로 수직이므로        에서     

㉠에서      정리하면    

즉 A    또는 A  

점 B도 마찬가지이므로 두 점A B좌표는       

이다. 따라서 AB 

      

154. [정답] 

[풀이]

세 직선의 방향벡터가 모두 평면의 법선벡터와 수직이므로 내적의 값은

이어야 한다.

   이라 하고 내적을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에서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면     이므로 평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155. [정답]  [풀이]

평면 는 법선벡터가   이고 점 A  을 지나므로          점 B   는 평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 에서   

∴ B    ∴ AB  AC 

 한편 원점은 평면  위의 점이므로

 OA AC      [다른풀이]

    

      는 실수라 하면

            

점 C의 좌표를       라 하자

AB ⊥AC이므로 AB ∙ 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이때,   이면 C   이 되어 모순이다.

∴   

∴ B    

한편, AB  AC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정답] ④

[풀이]

[출제의도] 두 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에 대한 코사인 값을 구할 수 있는가?

평면         의 법선벡터를 라 하면     

평면의 법선벡터를 라 하면   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정답] ⑤ [풀이]

[출제의도] 평면의 방정식의 성질을 이해하여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한다.

두 평면의 법선 벡터를 각각



   

,  이라 하면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에 대하여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sin 

  cos  

158. [정답] ⑤ [풀이]

[출제의도]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를 활용할 수 있고 정사영의 넓이 를 구할 수 있는가?

점 A  과 평면  :          사이의 거리를 라 하면

  

  

  ⋅  ⋅  

 

그러므로 AP≤ 인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에서 반지름의 길이가

 

 인 원의 경계 및 내부이다.

한편, 평면의 법선벡터는  이고 평면 의 법선벡터는

  이므로 평면과 평면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라 하면 cos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

 × cos    × 

 



159. [정답] ② [풀이]

[출제의도] 정사영의 정의를 이용하여 정사영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 는가?

A

B

10

8 

그림의 직각삼각형 ABO에서

 

확률과 통계 정답과 해설

OB 

  

원기둥의 한 밑면과 평면 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하면 각 OAB의 크기도 이므로

cos   

  

이때, 원기둥의 한 밑면의 넓이를 , 이 밑면의 평면  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이라 하면

  ×  

′× cos    × 

 



160. [정답] 

[풀이]

[출제의도] 구의 성질을 이용하여 평면과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한다.

점 P와 평면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는 구의 중심 C  을 지나고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구와 만나는 두 점 중 평면과의 거리가 더 먼 점 이 P일 때이다.

점 C   과 평면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거리의 최댓값은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161. [정답] ② [풀이]

점 D의 좌표를  라 할 때,

DG가 평면       의 법선벡터가 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점 D   는 평면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따라서 DG

         

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면체의 높이가 

이므로 구하는 정사면체의 한 변의 길이는 

 ×

  

[다른풀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  을 G라 하자.

D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   이므로

DG⊥평면ABC 이므로 DG   

∴ D         

162. [정답] ② [풀이]

[출제의도]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평면 의 방정식을 구하면          삼각형 에서 ∙ 

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공식에 의해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하므로

방정식을 에 관하여 나타내면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   

163. [정답] 

[풀이]

[출제의도] 평면과 평면의 위치관계와 정사영을 이용하여 도형과 관 련된 문제를 해결한다.

평면       에 의하여 정육면체가 잘린 단면은 그림과 같다.

두 평면       ,   의 법선벡터가 각각   ,

   이므로 두 평면이 이루는 각 에 대하여

 ⋅ ⋅ cos   , cos   

오각형 HIJKL의 정사영이 오각형 OAJKC이므로

cos   

따라서  

이므로  

164. [정답] 

[풀이]

[출제의도] 평면의 법선벡터를 이용하여 정사영의 넓이 구하는 문제 를 해결한다.

원점 O에서 평면 PQR에 내린 수선의 발은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 G와 같으므로 OG는 평면 PQR의 법선벡터이다. 또, 면 PQR와 축이 만나는 점을 A라 하면 OA는 평면의 법선벡터이다.

따라서 평면 PQR와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는 두 벡터 OG,

OA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OP , PG 

× 

 

 이므로

OG

OP PG

 

 

정답과 해설 교육청/평가원

2. 평면과 구의 방정식 165. [정답] 

[풀이]

[출제의도] 구의 중심에서 평면에 이르는 거리를 구할 수 있는가?

구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이 구의 중심 은 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평면         이 구      에 접하므로 구의 중심 에서 평면         에 이르는 거리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 다.

이때, 구의 중심    에서 평면         에 이르는 거리는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또는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     

166. [정답] 

[풀이]

[출제의도] 공간벡터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구의 중심 C에서 두 평면의 교선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H라 하면 H   이고 CH는 교선의 방향벡터     과 수직이다. 따라서

C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CH      

CH

     

 직각삼각형 CQH에서 cos∠QCH  

 

∴ ∠QCH  

∠PCH  ∠QCH  

이므로 ∠QCP  

가 되어 삼각형 CPQ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



 

∴  

167. [정답] 

[풀이]

두 구 과 의 중심을 각각  라 하자.

두 구의 중심  와 점 P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그려보면 평면 는 반드시 점      을 지남을 알 수 있다.

원점 O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는 점       와 점P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평면 의 법선벡터 ()를

   

  로 잡을 수 있고

평면 의 방정식을  

       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 평면 위의 점      을 대입하면

   임을 알 수 있다.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다.

한편 Q   

  가 평면  위의 점이므로 대입하면

  

이고   이다.

168. [정답] 

[풀이]

[출제의도] 벡터의 내적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가?

벡터 AP를 시점이 원점이 되도록 옮겼을 때, 종점을 P′이라 하자.

이때,AP∙ AQ  OP′∙ AQ

 OP′∙

OQ OA

 OP′∙ OQ OP′∙ OA

이때, 점 Q가 점 P′이 되도록 잡으면 최댓값을 가지므로

OP′∙ OQ OP′∙ OA ≤ OP′∙ OP′ OP′∙ OA

   OP′∙ OA ··· ㉠ 한편,

AB  OB  OA

 

  



 

   

 

이고 점 B′을 AB  OB′이라 하자.

벡터 AP와 벡터 A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이므로 그림과 같이 점 P′이 세 점 O A B′에 의하여 결정된 평면 위에 그림과 같이 P″에 있 을 때, OP′∙ OA는 최솟값을 갖는다.

Dalam dokumen 1 포물선 (Halaman 74-7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