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매릴랜드 주(state) 지방법원에서 고소는 검사의 청구서(information) 또는 일반인의 고소장(application for statement of charges) 접수로부터 74) Saltzburg, Stephen A. & Capra, Daniel J. “American Criminal Procedure

Adjudicative” 9th Ed. (2010), p.887.

75) Saltzburg, Stephen A. & Capra, Daniel J. “American Criminal Procedure Adjudicative” 9th Ed. (2010), p.887.

76) Saltzburg, Stephen A. & Capra, Daniel J. “American Criminal Procedure Adjudicative” 9th Ed. (2010), p.888.

77) 이를 논쟁사퇴(論爭辭退)라고 번역하는 견해도 있다.(법무부, 미국형사소송법, 법

시작된다. 모든 성인 연령의 일반인은 매릴랜드 주(state) 법원에 고소장 을 제출할 권리가 있으며 경찰관도 이에 포함된다.79)

고소를 신청하는 일반인을 예전에는 통상적으로 ‘시민(citizen)’이라고 명칭했으나 최근에는 ‘개인(individual)’이라고 정의하여, 매릴랜드 주 (state)에서 고소를 하려면 미국 시민권이 필요하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차단하였다. 미성년자, 노약자 등 심신미약자 고소인의 경우, 법적 보호 자 또는 경찰관이나 보호소 직원이 고소장을 대리(on behalf of) 작성하 여 제출한다. 외국인 고소인 등 언어소통이 어려운 경우, 법원이 법정번 역관을 무상으로 연계하여 고소장을 영어로 작성하도록 배려한다.80) 치안판사는 고소장과 청구서, 경찰의 증언 등을 고려하여 소환장 또는 체포영장을 발부할 수 있다. 체포영장을 발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피의자가 고소장에 기재된 범죄를 저질렀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의 존재 여부이다. 또한 동시에 고려하는 요소에는 피의자의 과거 법정결석 여부, 현재 피의자 주거지의 불안정성, 현재 다른 범죄로 인한 구속 여부, 그리고 타인 또는 사회에 대한 피의자의 잠재위험성 등이 포함된다.81)

매릴랜드 주(state) 경찰은 현행범을 체포영장 없이 피의자를 체포할 수 있다. 경찰이 있는 앞에서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 범죄가 발생하고 있 다는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범죄를 시도하고 있다는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합법적인 현행범 체포에 해당한다.82)

주지사가 비상사태를 선언하는 예외적인 상황을 비롯하여, 매릴랜드 주(state) 경찰은 긴급상황에 체포영장 없이 피의자를 체포할 수 있다.

긴급상황은 피의자를 신속하게 체포하지 않으면 피의자가 도주할 우려가 있거나, 다른 사람의 신체나 재물에 상해 또는 손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 거나, 또는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는 상황으로 정의된다. 또한, 살인, 방화, 절도, 마약범죄, 총기소유, 매춘, 석방조건의 위반 등 본 조항에 나 열된 범죄가 발생한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도 긴급상황으로 간주되

79) §2-607, MD Courts and Judicial Proceedings, Code Annotated.

80) §2-607, MD Courts and Judicial Proceedings, Code Annotated.

81) §2-607, MD Courts and Judicial Proceedings, Code Annotated.

어 피의자의 영장 없는 체포가 가능하다.83)

매릴랜드 주(state)에서 체포되는 모든 피의자는 48시간 이내로 최초출 두에 참석하고, 2013년부터는 변호인을 선임하여 함께 참여할 권리가 법 적으로 보장된다.84)

48시간이 초과한 이후의 최초출두는 법원이 아닌 피의자의 개인사정으 로 인한 예외적인 경우에 허가된다. 예를 들어 피의자가 음주 또는 마약 에 중독되어 소통이 불가능하거나, 신체의 질병 또는 사고로 병원에 있 는 경우이다. 그러나 만일 병원에 있는 피의자가 의사소통과 서명이 가 능하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다면, 치안판사가 보안관 또는 경찰관을 대동 하고 직접 병실을 방문하여 최초출두를 실시할 수 있다. 구속영장이 발 부되는 경우, 피의자는 퇴원과 동시에 구치소로 이송된다.85)

최초출두에서 치안판사는 고소장의 사본을 피의자에게 제공하고, 피의자 가 이 사건에서 혐의를 받는 죄목을 낭독하며 관련 형량과 헌법적 권리 등을 공지한다. 곧이어 구속, 보석, 또는 조건부 석방 등의 판결을 내리 며 서류를 처리하고 마무리한다. 이러한 내용은 피의자가 기본적으로 알 아야 할 권리가 있으므로, 만일 피의자가 외국인이거나 언어소통이 불가 능하면 공인자격증을 소지한 법정통역관을 반드시 제공한다.86)

만일 영장 없이 체포된 피의자의 사건에 구속할 만한 정당한 이유가 전 혀 없다고 판단되면 치안판사는 즉시 피의자를 조건없이 석방한다.87)

치안판사는 최초출두의 모든 내용을 서면으로 기록한다. 검사와 변호 인의 대면 혹은 비대면 출석 여부, 정당한 이유의 존재 여부 판단 결과, 구속영장 발부 여부, 보석 또는 조건부 석방 여부 등을 자세히 입력하여 기록으로 남긴 후 서명한다.88)

매릴랜드 주(state) 규칙은 치안판사가 보석을 결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어휘 ‘bond’를 정의하기를, 피의자가 법정출석을 하겠다는 서약을 기록한 83) §2-203, MD Code, Criminal Procedure.

84) Rule 4-213, Maryland Rules.

85) Rule 4-213, Maryland Rules.

86) Rule 4-213, Maryland Rules.

“의무서약서(written obligation)”라고 하고 있다. 금전적 조건이 있는 경우, 피의자 또는 보증인의 서약서는 채무를 갚을 의무까지 보증하는 것이다.89)

이와 같이 ‘bail bond’는 금전적 또는 비금전적 조건부 석방(with or without surety or collateral security)에 보증인의 유무 여부와 관계 없 이 통용되는 표현으로서, 피의자의 법정출석을 조건부로 채무 계약처럼 서명한 서류를 뜻한다.90)

매릴랜드 주(state)의 최초출두는 영장 없이 체포되었거나 또는 체포영 장으로 인해 체포된 피의자에게 최대한 신속하게 법정 절차를 밟도록 인도 하여 헌법적 권리를 보장해 주는 데에 있다. 그러나 피의자가 최초출두 또는 보석심사 단계에서 자백을 하거나 범죄연루 사실에 대해 발언을 한 다면 이는 추후 재판에서 사용될 수 있다. 2004년도 펜넬(Fenner) 판례 에서 매릴랜드 주(state) 대법원은 피의자가 최초출두에서 변호인이 없는 상태에서 자백을 한 경우라도 그 내용을 재판에 증거로 제출하는 것이 합법적이라고 명시한 바 있다.91)

매릴랜드 주(state)에서 출석서약서 조건부석방은 재판을 기다리는 기간 동안 피의자 또는 피고인이 금전적 조건 없이 석방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모든 사건에서 출석서약서 조건부석방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폭 력을 행사하는 범죄로 과거에 유죄판결을 받은 피의자가 또다시 폭력을 행사하는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현재 재판을 기다리는 경우에는 이러한 석방이 불가하다.92)

최고형이 종신징역인 범죄 혐의로 재판을 기다리는 경우에도 출석서약 서 조건부석방은 불가하다. 다만 금전적 조건을 수반하는 석방이나 다른 종류의 조건부 석방은 가능하다93). 최고형이 사형인 범죄 혐의, 교도소 등 구치시설에서 도주한 혐의, 마약범죄단체의 우두머리(drug kingpin)로 지명되어 고소된 피의자 등에게는 재판 전 석방이 허가되지 않는다.94) 89) Rule 4-216.1, Maryland Rules.

90) Rule 4-217, Maryland Rules.

91) Rule 4-213, Maryland Rules.

92) §5-101, MD Code, Criminal Procedure.

93) §5-102, MD Code, Criminal Procedure.

매릴랜드 주(state)에서 조건부 석방을 판결하는 법관이나 치안판사는 피해자의 안전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조 건을 반드시 고려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피의자가 피해자를 접촉하지 못하는 조건을 부여하고, 피의자를 가택구금하거나 전자감독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연방정부에서 지원금이 있는 경우, 주정부가 지정한 전 자감독 지원체재가 있는 경우, 또는 피의자가 경제적으로 빈곤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택구금감독과 전자감독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은 피 의자가 부담한다.95)

최초출두 이후 구속된 피의자는 판사 앞에서 보석심사(bail review)를 다 시 한 번 받을 기회가 있다. 대부분 최초출두의 결정이 그대로 지속되기 때문에, 피의자의 요청에 따라 위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96)

매릴랜드 주(state)에서 중범죄로 고소된 피의자는 prelims를 신청할 권리를 최초출두 단계에서 치안판사 또는 법관으로부터 공지받는다. 피의 자는 최초출두일 이후 10일 내로 prelims를 신청할 수 있다. 만일 10일이 경과하면 피의자가 prelims를 신청할 권리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한다. 매릴 랜드 주(state)에서는 prelims에 대한 피의자의 권리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주대배심에 의해 기소된 경우에는 prelims를 배제해도 문제되지 않는다.97) Prelims는 피의자의 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로 날자를 정한다. 그러나 피의자가 prelims 전에 기소되었다면 prelims는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98) 연방법원의 prelims과 비교해 볼 때, 매릴랜드 주(state)의 피의자는 증거를 전혀 제출하지 못하고 검사가 제출한 증거를 반박하거나 검사의 증인을 심문할 권리만 가진다. 그러나 검사는 각종 증거를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다.99)

Prelims 단계에서 사건에 재판을 할 수 있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판 결이 내려지면 검사는 30일 내로 신속히 기소를 하여야 한다. 만일 이 기한 내에 기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기소(nolle prosequi) 처리하여 사건을 종료한다.100)

95) §5-201, MD Code, Criminal Procedure.

96) §4-103, MD Code, Criminal Procedure.

97) §4-103, MD Code, Criminal Procedure.

매릴랜드 주(state) 역시 prelims 단계에서 구속, 조건부 석방 등 보석 절차를 할 수 있다. 대배심제도도 존재하지만, 연방대배심에 비해 그 역 할이나 존재감이 약해진 편이다. prelims 절차가 실무적으로 기소를 결 정하는 단계로서 자리잡고 있다.101)

위와 같은 다수의 재판 전 절차를 담당하기 위하여, 매릴랜드 주 (state)의 각 법정에는 최소한 1명 이상의 치안판사가 연중무휴 업무 중 이다. 주(state) 지방법원을 관장하는 대법원장은 수요에 맞추어 치안판사 를 임명한다. 연방법원의 치안판사직과 달리, 매릴랜드 주(state)의 직책 은 임기제한이 없다. 모든 매릴랜드 주(state)의 치안판사는 거주지를 등 록하고 항시 상주해야 할 법적인 의무가 있으며, 지정된 지방법원에 접 수되는 사건들을 신속하게 관리한다.102)

매릴랜드 주(state) 보석 실무 사례 중에 조건부 석방제도를 논하는 데 있어 유명한 판례로서 2005년의 윌러(Wheeler) 사건이 있다. 피의자 윌 러는 18세기 이후로 매릴랜드 법원이 줄곧 사용해 온 금전적 조건의 부 여가 재판 전의 피의자를 잠재적 위험성(dangerousness)이 있는 인물로 간주하여 구금상태를 유지하는 부당한 ‘예방적 구금’이라고 비판하였다.

이는 매릴랜드 주(state)의 각종 형사절차법 개정을 시작하는 계기를 마 련하게 되었다.

결국 2013년경 매릴랜드 주(state)는 재판 전 시스템을 개혁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1998년에서 2014년 사이에 폭력 범죄가 감 소한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주(state)의 미재판 전 구금인의 수는 증가했 음을 발견했다. 위원회는 재판 전 구금인의 68%가 판사가 설정한 보증금 을 납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구금되었다고 결론내었다.103)

매릴랜드 주(state)는 오랫동안 시행되던 금전적 조건부 석방제도를 개선 하려는 취지로 “재판 전 조건부 석방개정법”을 2017년에 도입하여 재판 100) Rule 4-221, Maryland Rules.

101) Rule 4-221, Maryland Rules.

102) §2-607, MD Courts and Judicial Proceedings, Code Annotated

103) DeWolfe, Paul. “The High Cost of Bail: How Maryland's Reliance on Money Bail Jails the Poor and Costs the Community Millions”, Mary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