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에서 유학 온 甲이 음주 후 운전을 하던 중 도로에서 경찰에게 음주

단속을 당하였다. 경찰관은 원래 甲에게 자동차 전등을 수리해야 한다는

점을 알려주려고 했었는데, 甲의 신체 상태를 보더니 그 자리에서 음주

경찰관은 甲에게 미란다 고지를 하며 말하였다. “You are under arrest”.

수갑을 차고 구치소로 연행된 甲은 구치소에서 거의 48시간을 구금 상 태로 기다리며 경찰관의 각종 질문에 답하였다. 甲은 신분증과 여권, 지 문을 제출했으며, 주소와 연락처, 사진을 제공했고, 자신 소유의 자동차 를 경찰이 수색하도록 동의하였다. 이러한 모든 절차는 영어와 한국어로 동시에 통번역 처리되었다.

미국의 arrest 절차는 통상적으로 한국어 번역에서 체포하고 표현한 다.53) 위에 설명한 상황은 미국에서 영장 없이 현장에서 실행된 전형적 인 warrantless arrest의 경우에 속한다. 만일 arrest warrant를 받고 연 행을 하려고 한다면, 甲을 실제로 측정했던 경찰관은 법원에 application for warrant(영장청구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방법원 소속 치안판사가 위 영장청구서를 받고 발부여부를 결정하는 데, 발부의 사유는 미국 수정헌법 제4조에 의거한 probable cause(상당한 이유)이다. 발부된 영장에 의해 甲이 구치소에 연행되어 들어오면 甲은 해당 지자체의 형사소송법에 따라 24-48시간을 기다리게 된다. 그 이후 의 절차는 영장의 발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다.

아래는 미국 연방법원의 arrest warrant 양식이다. 경찰관의 청구서에 의해 발부된 arrest warrant의 경우에는 complaint 칸에 체크 표기하고, 검사가 청구한 경우에는 information 칸에 체크 표기한다. 나아가 보호관

53) Arrest는 한글로 “체포”라고 대부분 번역된다. 그러나, 구속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한다. 체포로 번역할 때는 미국에서 arrest가 단기간 24-48시간 동안 피의자의 인 신을 확보하는 절차라는 점에 주목한다. 한편 구속으로 번역하는 경우에는 arrest 의 사유인 probable cause(상당한 이유)가 한국에서 구속에 적용하는 사유, 예를 들어 도망할 염려, 주거부정, 증거를 인멸할 염려 등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미국 형사소송법은 체포와 구속의 사유를 깔끔하게 구분하여 별도로 규정하지 않 고 있다. Arrest 그리고 detention 등의 절차는 여러가지 사유를 case-by-case로 복합적으로 섞어 사용하며, 선택된 사유들을 전체적으로 모아서 상당한 이유라고

찰 등 기타 다른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로 표기할 수 있다.

<표1. arrest warrant 원본>

<표2. arrest warrant 번역본>

미국 연방 지방 법원

__________재판관할(지역 이름) 미국 연방 정부

사건 번호 : _____________

피의자 ___________

(피의자의 성명)

ARREST WARRANT

체포할 권한이 있는 경찰관에게 :

연방법원에 제출된 서류를 근거로 아래 나열된 범죄 또는 위반을 저질렀다 는 혐의를 받는 피의자 ___________(피의자 이름)을 체포하여, 가능한 신속 하게 치안판사 앞에 데려올 것을 명한다,

-기소장, -(재)기소장, -청구서(또는 공소장) -(재)청구서 또는 공소장 -고소장 -관찰보호 명령위반 - 석방조건위반 -행정법 등 위반공지 -법원의 명령

내용은 간단하게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______________

날짜 : _______________ 발부하는 법관의 서명: ___________________

법관의 직분과 성명: ________________

관할 도시와 주(state): 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