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문장 구성 요소로서의 그림언어 연구

한국어의 문장성분은 주성분인 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 부속성분인 부 사어, 관형어, 그리고 독립성분인 독립어 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동사, 형용사 로 구분할 수 있다. 품사를 나누는 기준은 그 단어의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분류한다. 모바일 메신저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한 언어의 일부이기에 문장성

30) 조주상, 2009, “픽토그램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및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연구 : 단편 애니메이션 픽토그램 스토리 제작을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2.

31) 오인희, 2010,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픽토그램의 활용성 연구 : 사용설명서의 '안전한 사용' 중심 으로”,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5, 재인용

분과 품사의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품사의 기준으로 그림 언어를 구분하여 보고자 한다.

1.2.1 아이콘의 문장 내 의미와 역할

아이콘은 다른 그림언어에 비해 형식이 자유로운 편이며, 언어의 품사로 따 지면 맥주, 남자, 사랑, 선물 등과 같은 명사의 속성이 강하며 수사도 가능하 다. 그리고 미약하지만 수용자의 해석에 따라 동사나 형용사, 감탄사의 성격 을 갖기도 한다. 특히, 아이콘은 의미전달에 있어서 표현의 구체화 정도가 메 시지 전달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2>의 경우, 같은 남 자를 표현한다고 봤을 때 아이콘에서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정도이지만,

<그림3>의 시각언어에서는 남자의 연령이나 직업,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림언어는 표현의 구체화 정도에 따라 사물의 내면에 담긴 속성 혹은 콘텐츠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32)

<그림 2. 사람 아이콘 A> <그림 3. 사람아이콘 B>

1.2.2 이모티콘의 문장 내 의미와 역할

의미전달 면에서 이모티콘은 다른 그림언어에 비해 감정을 전달하고자 하 는 성향이 강하며, 언어의 품사로 따지면 주로 기쁘다, 슬프다, 화가 난다, 바 쁘다, 모르겠다 등과 같은 동사나 형용사의 역할을 가장 많이 하지만 표현의

32) 김종민, 2014, “서울 종합 이미지맵 ‘SeoulNote'디자인 연구 -여행자 칼로리 증감의 음악기호적 표현을 중 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p265.

여부에 따라 특정사물을 나타내는 명사 그리고 나 혹은 너를 지명하는 대명 사의 기능도 부분적으로 가능하다.

이모티콘의 경우, 의미의 가변성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데 예를 들어

<그림4>에 나타난 아이콘 얼굴들은 표현이 단순하며, 얼굴의 표정만으로 특 정감정을 명확하게 표현하므로 의미의 변화가 크게 생기기 어렵다.

그러나 <그림5>의 이모티콘은 대화의 전후 사정에 따라 멋지다, 내가 제 일 잘났다, 감동적이다, 황홀하다 등과 같이 기쁨을 표현하는 그림으로 해석 될 수도 있고, 혹은 간절히 기원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등과 같 이 감사의 뜻으로 다르게 쓰여 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그림6>의 경우 우울해 혹은 외로워, 신난다 혹은 사랑해, 난 몰라 혹은 왜 저럴까 등 과 같은 형용사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모티콘의 속성과 내면에 담긴 콘텐츠는 표현이 구체화될수록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그림4. 일반 메신저 아이콘의 예>

<그림5. 카카오톡 이모티콘 A> <그림6. 카카오톡 이모티콘 B>

이모티콘은 가장 자유로운 형태와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메신저 대화중 이모티콘을 사용할 경우 이모티콘의 표현 수준에 따라, 그리고 대화의 전후 사정에 따라 이모티콘의 의미는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1.2.3 픽토그램의 문장 내 의미와 역할

의미전달 면에서 픽토그램은 사물이나 시설, 행태, 개념 등의 메시지를 불 특정다수의 사람들에게 빠르고 쉽게 이해시키려는 목적이기에 사인의 성향이 강하며, 공공시설이나 심볼, 약속의 성질을 띠고, 언어의 품사로 따지면 비상 구, 화장실 같은 공공시설명칭이나 운동종목(수영, 권투 등)같은 명사에 해당 한다. 픽토그램이 행태나 개념의 의미일 경우 완성된 문장구조로 그 역할을 하기에 문장성분으로 구분하기 어려우며, 조직을 넘어서는 규칙과 약속의 성 격이 강하기에 직관적이고 객관적이며 분명해야 하고 서로 문화적으로 학습 되지 않더라도 최대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아이콘과 이모티콘, 그리고 픽토그램의 품사 역할을 정리해보면 <표8>과 같다. 아이콘과 픽토그램은 형태만큼이나 품사적 성격에서도 유사성을 보인 다. 그러나 아이콘이 조금 더 자유로운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다. 이모티콘 은 감성적 표현이 주를 이루다 보니 주로 감탄사나 동사, 형용사 등 의 설질 을 가진다. 픽토그램은 사회적 약속으로써의 의무가 강하기에 명사의 성질 외에 다른 품사적 성질을 갖기 어렵다.

<표8. 그림언어의 문장 내 의미와 역할>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동사 형용사 의미변화

아이콘 O O O O O

이모티콘 O O O O O

픽토그램 O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