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콘텐츠 아이콘 플랫폼은 콘텐츠 아이콘이 탑재된 디지털 운영체계이다. 이 는 사용자들이 콘텐츠 아이콘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기도 하며,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아이콘이 탑재된 모바일 메신 저를 뜻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생기는 ‘만남’의 의미는 사람과 사람을 넘어서 ‘사람 과 상업공간의 만남’, ‘사람과 상품의 만남’, ‘사람과 경험의 만남’, ‘사람과 브 랜드의 만남’으로 확장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만남’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은 과거 편지에서 전화 통화나 호출기, 이메일, 그리고 단, 장문의 문자 형태로 발전을 해왔으며, 스마트폰 보급 이후 엔 모바일 메신저의 활용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즉, 모바일 메신저는 최근에 소비에 대한 기획이 가장 많이 생산되고 확산 되는, 살아있는 소비활동의 진원지라고 볼 수 있다. <그림23>은 우리 일상생 활에서 쓰이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 상황이다. 사용되는 메신저 채팅 용어들 중 원으로 표시된 '명사'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품이나 브랜드, 상업공간, 혹은 소비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 등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소비의 접점 을 상징하는 단어들은 특정 장소나 브랜드를 암시할 수 있으며, 매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으므로 콘텐츠 아이콘이 치환될 수 있는 자리이다.

<그림23.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발견할 수 있는 소비의 접점>

<그림24>는 모바일 메신저에서 지인과 흔히 오갈 수 있는 대화 중 특정 단어를 아이콘으로 치환하여 보다 친근감 있게 표현한 문구이다. 이 대화내 용에서 아이콘은 단순히 ‘치킨’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될 수도 있지만, 대화가 의도하는 것은 ‘치킨’을 소비하는 과정이 포함된 ‘만남’이기 때문에, 이 대화는

‘치킨’에 관련된 다양한 브랜드를 고민하는 탐색의 단계, 혹은 ‘치킨’을 소비하 고자 하는 기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계, 건강관리 등 다양한 문제로 자연스럽게 연장 될 수 있다.

<그림24. 아이콘을 사용한 메신저 대화 예시>

<그림25>를 보면 대화내용 속 ‘치킨’아이콘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는 다양 한 브랜드들을 확인할 수 있다. 대화내용에서 사용된 ‘치킨’아이콘 대신 특정 브랜드 이미지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브랜드의 소비를 유도하는 문장으로 발 전하게 될 수도 있다. 즉, 대화 속에서 사용되는 아이콘은 특정 산업군을 상 징하는 대표이미지화 될 수 있으며 그 산업군에 속한 다양한 콘텐츠들로 확 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25. 브랜드 혹은 콘텐츠로 의미가 확장되는 아이콘>

모든 아이콘들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특정 고유명사 혹은 상징의 기호로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의 아이콘이라도 여러 가지의 의미로 확장 해석될 수 있다<그림26>.

<그림26. 아이콘으로 가능한 해석>

이러한 고유명사 혹은 상징의 기호들은 일상 메신저 대화에서 소비자가 흔 히 사용하는 요소들이며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지에 따라 주관적으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지만, 아이콘이 특정 산업군 관련 정보를 탑재하게 되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써의 역할 수행이 가능해진다.

<그림27>은 콘텐츠 아이콘이 광고성 콘텐츠를 담고 있는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이미지이다. 시중에 보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은 평균적 으로 약 300px * 600px 정도의 넓이를 디스플레이를 위해 활용한다. 이렇듯 넓이의 한계가 있는 스마트폰에서 많은 콘텐츠를 소화해내기 위해 X축과 Y 축으로 스크롤을 통해 이동하거나 새 창을 열어서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광고주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콘텐츠 아이콘의 경 우, 카테고리의 이동과 콘텐츠의 축척이 Z축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그림27. Z축으로 해석한 콘텐츠 아이콘 플랫폼>

1.2 CON의 광고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