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사용성 평가의 요인
사용성 평가의 요인은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사용성 평가 요인에 대해 처음으로 정의했던 사람은 Brian Shackel이며 그는 효율성 (Effectiveness), 유연성(Flexibility), 사용자태도(User Attitude), 이 세 가지 요소를 논하였다.66) 사용성, 유용성, 매력성, 접근성, 신뢰성, 검색성, 가 치성으로 구성된 벌집모양의 허니컴 도구를 사용한 정성적 평가 조사방법 또 한 사용성 평가 요인으로 좋은 예이다.67) 제이콥 닐슨(Jacob Nielsen)은 웹,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사용자 입장에서 검증해왔다. 그는
‘학습용이성’, ‘효율성’, ‘기억용이성’, ‘오류’, ‘만족도’ 등의 5가지 요소를 기준으 로 사용성 질문을 형성한다.
65) 제이콥 닐슨, 2013, Ibid, 파줏:제이펍. p10.
66) Brian Shackel, 1991, “Human foctors for Informatics Us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피터모빌, 2006, 『검색2.0 발견의 진화』, YUNA 역, 서울:한빛미디어.
<표20. 광고 유형별 광고태도 사용의도 차이분석>
사용성 평가 요인
Brian Shackel
효율성 (Effectiveness) 유연성 (Flexibility) 사용자태도 (User Attitude)
Jacob Nielsen,
학습용이성 (Learnability) 효율성 (Efficiency) 만족성 (Satisfaction) 오류 (Errors)
기억용이성 (Memorability)
Jordan
학습용이성 (Learnability)
경험자 수행도 (Experienced user performance) 시스템 잠재성 (System potential)
재사용성 (Re-usability) 추측용이성(Guessability)
피터모빌
사용성 (useful) 유용성 (usable) 매력성 (desirable) 접근성 (accessible) 신뢰성 (credible) 검색성 (findable) 가치성 (valuable)
Jordan는 사용성 평가요인을 학습 용이성(Learnability), 경험자 수행도 (Experienced user performance), 시스템 잠재성(System potential), 재사용성 (Re-usability), 추측 용이성 (Guessability)으로 구분하였다. 68) 이렇듯, 사용 성 평가의 요인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음은 여러 국 내외 사용성 관련 논문의 사용성 평가 요인 항목에서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표20는 류철하가 그의 박사논문에 정리해 놓은 내용을 기초로, 주요 UI 사용 성 평가요인을 정리한 것이다.69)
68) 류철하, 2011, “A Study on Design Research Methodology for User Interface Improvement In Development of New Products”,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재인용.
69) 류철하, 2011, Ibid. 재인용.
1.1.2 사용성 평가의 유형
제프리 루빈은 사용자 평가 과정에 있어 탐색평가, 측정평가, 검증평가, 비 교평가의 4가지 방법을 언급한 바 있다.70) 그리고 제이콥 닐슨은 그의 저서 인 ‘모바일 사용성 컨설팅 보고서에서 사용자 테스트를 자유형 작업과정과 지 시형 작업과정으로 구분하여 진행한 예가 있는데 자유형 작업 과정에선 사용 자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할 앱이나 웹사이트 등 검색과정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반면 지시형 작업과정에서는 사용자는 지정된 앱이나 웹사이 트 등, 이미 결정된 검색과정을 이용해야 한다.71)
<표21. 제프리 루빈과 제이콥닐슨의 사용자 평가 유형 비교>72)
평가종류 내 용
제프리 루빈의 사용성
평가
탐색평가
초기디자인 단계에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이나 근본적인 사항, 초기디자인 컨셉에 대한 사용자의 개념, 또는 멘탈 모델을 파악하는 목적의 평가
측정평가
중기 디자인 단계에서 탐색평가에서 확정된 컨셉이 얼마나 세부 디자인에 잘 적용되었는지 평가하는 것으로 실제 과업을 수행하여 시간, 오류 등을 측정하는 정량적 평가
검증평가
후반 디자인 단계에서 제품출하 전 규정된 사용성의 표준이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지 검증하는 평가로 정량적인 자료가 주를 이루는 평가
비교평가
디자인 프로세싱에 국한되지 않고 전 과정에 걸쳐 실시될 수 있는 평가로 위의 세 가지 유형의 대안으로 자유스럽게 혹은 엄격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과업소요시간, 에러 복구 소요시간, 도움말을 속독하는 시간, 에러에서 보낸 시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평가
제이콥 닐슨의 사용성
평가
자유형 평가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경험을 구성 후 나열한다.
지시형 평가 사용자에게 지정된 프로세스를 경험하게 한 후, 평가를 듣는다.
70) 이나경, 2013, “시공간 중심 서비스 디자인 평가모델연구”, 국민대학교 학위논문, p17. 재인용.
71) 제이콥 닐슨, 2013, 『제이콥 닐슨의 모바일 사용성 컨설팅 보고서』, 파주:제이펍. p5.
72) 이나경, 2013, Ibid, 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