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그림57. CON의 실시간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2) 빠르고 정확한 검색 기능

CON의 서비스는 상품에 대한 요금, 구매 가능한 상점과의 거리 혹은 위치, 그리고 다양한 혜택에 관련된 정보를 메신저 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현재 상용화 된 다른 모바일 메신저 중 메신저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는 즉시검색기능을 가진 업체는 2014년 현재 @HMS뿐이다. 하지만 HMS는 @테그를 통해 메신저 상에서 인터넷으로 즉시 연결시켜주는 지름길 역할일 뿐이며 인터넷 상에서는 광고를 포함한 불필요한 정보들이 범람하기 에 새로운 검색의 과정과 능력이 필요하다. 즉, @HMS의 서비스는 모바일 메신저를 비활성화 시키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한 단 계 줄였을 뿐이다. 또한 그 후 사용자의 검색능력에 따라 소비결과가 달라지 게 된다. 이에 비해 CON의 플랫폼에서는 메신저 대화중 사용자가 사용한 콘 텐츠 아이콘 안에 소비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메신저 를 벗어나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광고성 정보 이외의 불필 요한 정보들은 침입할 수 없으므로, 짧은 시간 안에 보다 효율적인 정보탐색 이 가능하게 된다<그림58>.

(3) 독립적인 표현기법

CON의 서비스는 광고의 독립적인 커뮤니케이션 표현이 가능해진다. 콘텐 츠 아이콘에서 보여주는 광고성 정보는 모두 ‘사실’에 근거한 정보이며, 이러 한 정보를 모두 같은 기준이 적용된 기호, 혹은 인포그래피 형식으로 노출되 기 때문에 독창적이고, 즉시적인 정보 비교가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표현이 가 능해진다. 이는 기존의 노출과 주입을 목적으로 하는 자극적이거나 감성적인 표현방법을 통한 광고 표현기법과는 분명히 다르며 소비자 스스로 올바른 소 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그림59>.

<그림58. CON의 빠르고 효율적인 검색과정> <그림59. CON의 독립적 인포그래픽 표현기법>

(4) 광고 기피현상 완화

CON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아이콘들은 지인과의 메신저 커뮤니케이션 환

경에서 아이콘이나 이모티콘처럼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구매나 소비의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 본인이 직접 활성화를 시켜야만 콘텐츠 아이콘의 역할을 하며 정보 탐색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구매나 소비의 필요가 없는 일상 대화에서는 다른 아이콘이나 이모티콘과 똑같이 커뮤니케이션의 즐거움 을 위한 시각언어로 활용되게 된다. 즉, 광고성 정보가 소비자의 일상대화를 침범하지 않으면서 일상대화 속에서 잠재적으로 대기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 에 광고 기피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고 기피현상을 완화 시켰음은 소비자 행동모델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검색을 위해 플랫폼에 접근하는 과정에선 모든 콘텐츠들이 각각 자신의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우선 노출시키기 위해 광고적 표현기법이 적용 되기 마련인데, 이는 소비자 행동모델의 바이블인 AIDMA 이론의 A(Attention)에 해당하는 광고 활동에 해당된다. Attention과정에서는 사용자 의 시선을 끌기 위해 기발한 아이디어나 디자인이 많이 적용되기 마련인데, 비좁은 모바일 환경에선 쉽지 않은 작업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광 고기피현상을 많이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60. NSSA 행동모델>

CON의 소비자 행동모델은 NSSA (Need - Search - Share - Action) 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는 Attention 과정이 없다. 광고의 Attention 과정은 소비자의 관심을 빼앗아서 그들의 영역을 침범해 들어가는, 소위 크리 에이티브와 가장 큰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과정이기에, 이 단계가 없다는 것 은 광고 기피현상을 대폭 줄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CON은 모든 광고성 정보들은 동등한 조건으로 사용자의 손안에 쥐어지고,

사용자에게 노출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그리고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전달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어떻게 해서든 노출 시키 고 판매량을 늘리고 싶은 것이 광고주의 본질이기에 광고주 입장에선 결코 반가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제품의 정보 검색력이 과거 대비 월등히 뛰어나면서도 광고기피현상을 보이는 사용자들을 상대하려면 함부러 노출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역반응을 얻기 쉽다. 21세기에 가장 훌륭한 광고 전략은

‘광고가 아닌 척’ 하는 것이며 CON의 선택적 광고열람기능은 그 대표적인 예 라 할 수 있겠다 <그림61>.

<그림61. CON의 선택적 열람 기능> <그림62. CON의 빠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시스템>

(5) 빠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적지 않은 소비자들이 소비의 접점에서 지인에게 의견을 묻거나, 동의를 구 하려는 등 최종 의사결정에 있어 검증을 받고자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소비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CON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중 가장 활용성이 높은 모바일 메신저 환경에서 구동되며, 이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모든 검색과정이나 검색의 결과 를 메신저 상에서 즉시적으로 공유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기에 다른 소비환 경에 비해 사용자간 의사결정이 빠르다. 또한 Brand가 가진 Contents의 Fact 를 쫓아서 검색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 접근이 용이하다<그림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