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아이콘형 광고 사용성 평가 설계
1.2.3 사용성 평가 결과
동일 이미지를 두고 자유형 작업과 지시형 작업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 고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자유형 사용성 평가 결과
평가 대상자들은 자유롭게 자신의 검색 과정을 서술하였으며, 그 결과, 25 명의 평가 대상자 중 포털사이트/블로그 선호형, 위치기반 서비스앱 선호형, 멀티 검색형, 맛집 어플 선호형 등 크게 4 분류로 자연스럽게 나뉘어졌다.
특히, 포털 사이트/블로그 검색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20명으로 가장 많았는 데, 그 중 20명이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한다고 언급했으며, 나머지 두 명도
‘블로그’를 본다고 이야기했다. 이 외에도 ‘포스퀘어(Foursquare)’같은 위치기 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에서 찾을 수 있는 맛집 정보를 애용하는 사람, 다양 한 맛집 어플을 통해서 맛집정보를 얻는 사람,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한꺼번에 다 봐야 마음이 놓인다는 사용자도 있었으나 분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하 였다<표 24>.
<표24. 자유형 작업 사용자 평가 결과 - 6단계 분석>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인원
A 포털사이트/
블로그 선호형
채팅앱 OUT
포탈사이트/
블로그접속 검색 URL복사 채팅어플 IN
정보 공유 20
B 위치기반 서비스앱
선호형
채팅앱 OUT
위치기반서비스
앱 접속 검색 공유하기
(채팅어플IN) 정보공유 2
C 멀티 검색형
채팅앱 OUT
포털사이틀 접속 + 지인에게 묻기 + 기타 앱 접속
검색 예약가능확인 채팅어플 IN
정보
공유 2
D 맛집 어플
선호형
채팅앱
OUT 맛집 앱 접속 검색 공유하기
(채팅어플IN) 정보공유 1
자유형 사용자 평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대표적인 소비자의 검색 행동 공통점은 표24에서 볼 수 있듯이, (1단계)검색을 위해선 무조건 채팅 앱을 나간다 는 점과 (2단계) 검색을 위해 다른 플랫폼을 찾아간다는 점이다. 즉, 1단계와 2단 계는 검색을 수반하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 과정이다.
CON의 검색과정에서는 이 두 가지 단계들이 없으면서도 검색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체 과정은 단축시켜줄 수 있으며, 특히 URL을 복사해서 다시 채 팅앱으로 들어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니, 기존 검색 방법 대비 효과적이라는 중요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CON에서의 검색 프로세스에는 채팅앱을 벗어나지 않고도, URL을 복사하지 않고도 바로 검색, 공유할 수 있기에, 검색과정을 “검색 - 정보공유“의 2단계로 크게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55>.
<그림55. 자유형 검색 프로세스와 CON 검색 프로세스 비교>
(2) 지시형 사용성 평가 결과
<표25. 지시형 작업 사용자 평가 결과>
아주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아주그렇다
쓸 만한 기능인가 0 3 5 15 2
사용하기 쉬운가 0 2 13 7 3
신뢰가 가는 디자인인가 0 9 5 10 1
검색이 수월한 디자인인가 0 1 5 9 10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는가 0 1 2 19 3
거부반응은 없는가 0 0 8 14 3
<표26. 지시형 작업 사용자 평가에 대한 심층 인터뷰 내용>
긍정적 평가
23 남 맛집 뿐 만 아니라 다른 산업군에도 적용하면 좋을 것 같다.
25 여 검색으로의 진입이 빨라서 좋다.
29 남 대화중에 바로 검색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인 듯.
34 여 과정이 단축 되서 좋다.
39 여 메신저를 벗어나지 않으니 공유가 쉬울 것 같다 40 남 광고주 입장에서는 분명 좋은 매체로 작용할 것이다
부정적 평가 23 남 원치 않는 광고가 나올까봐 걱정도 된다.
25 여 검색에 제한을 주는 것 같아서 불편하다.
29 남 특정 검색 사이트로 연결해주는 링크가 있었으면 좋겠다.
34 여 검색 장치인지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을 것 같다.
39 여 운영자가 정보를 조작할 수도 있으니 믿음이 안갈 것 같다.
40 남 내가 주로 가는 루트가 아니라서 정보에 대한 믿음이 안갈 것 같다.
<표2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시형 작업 사용자 평가 결과, 유용성 (Usable)과 신뢰성(Credible), 검색성(Findable), 통제성, 거부반응에 관한 질문에 는 그렇다 혹은 아주 그렇다 라는 답이 지배적이였다 다만 사용하기 쉬운지를 묻는 사용성(Useful)에 관한 질문에는 ‘보통이다’ 라는 평이 가장 많았다. <표 26>은 지시형 사용성 평가에 참여한 평가 대상자가 남긴 코멘트이다.
지시형 사용성 평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아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에서의 검색은 공유를 전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매 페이지마다 공유가 용이하도록 돕는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사용자는 정보를 필요로 할 때 모바일 메신저 안에서 검색을 시도하 려 하지 않는다. 이는 지금까지 모바일 메신저 내 검색기능을 제대로 갖춘 어플리케이션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있어도 그리 익숙하거나 유용하지 않았 던 까닭일 것이다.
셋째, 사용자는 본인이 경험하지 않은 검색루트를 신뢰를 하지 않는다. 또 한 사용자는 제한된 검색 영역을 좋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한된 검색 구역 이라는 느낌을 탈피할 수 있도록 포털사이트나 기타 플랫폼으로 유입될 수 있는 exit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