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국 고등교육 인증시스템

Dalam dokumen PDF 대학소양교육의 현황과 과제 (Halaman 59-62)

2. 해외 대학 소양교육 현황

2.2. 미국 고등교육 인증시스템

미국 대학에서의 소양교육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

커리큘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소양교육은 교양 교육 과정 안에 속한 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미국 대학에서 교양교육 커리큘럼은 어떤 기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국의 고등교육 인증시스템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고등 교육 시스템(Higher Education system)은 연방정부, 즉 교육부와 고등교육 인증 협 의회(CHEA: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에 의해서 운영되지만 그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미국 대학의 커리큘럼(curriculum)은 고등교육인증시스템(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에 의해 인증되어야 한다. 미국의 대학은 커리큘럼을 정할 때 인증위원회와 회원 기관에 의해 진행되는 심사과정(peer-review process)을 통해 인증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심사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인증과정은 1952년 통 과된 법안에 의해 대학 교육의 질을 인증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지정되었다

(CHEA: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1998).

현재까지 80개 이상의 교육부 및 고등교육인증협의회(CHEA)가 인정한 인증기관 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증과정을 통해 미국 대학의 커리큘럼 및 프로그램 이 평가되어 적절한 강의 콘텐츠 제공 여부, 학생의 학업 성취도(student outcomes), 각 대학의 교육목표와 커리큘럼의 일치 여부를 점검한다.

이러한 미국의 고등교육인증시스템에 따라 각 대학들은 학부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들어야 하는 교양과정으로 핵심 커리큘럼(core curriculum)과 신입 생 세미나(first-year seminars)를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1) 핵심 커리큘럼(core curriculum)

핵심 커리큘럼은 한국에서 교양필수와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반드시 들어야 하는 교양교육과정으로, 미국 대학 및 대학의 모든 학부생에게 필수이며 학생들에게 필요한 일반 교육으로 간주되는 일련의 공통과정 이라 할 수 있다. 아래의 과목들은 미국 대학에서 핵심 커리큘럼으로 제공되는 대 표적인 예들이다.

- 인문학: 영어 작문, 문학 입문, 대학 작문, 말하기의 기초, 미술 및 외국어 - 역사 및 문화: 미국 문화, 세계 문화 및 미국 역사

- 자연 과학: 생물학, 천문학, 물리학 및 동물학

물론, 학생들이 전공에 따라 이수해야 하는 교양 과목들이 다를 수 있으며 한 대학에서 요구하는 핵심 커리큘럼이 다른 대학에서 요구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술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은 화학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비교 할 때 들어야 하는 교양과목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전공과 대학에 상관없이 공 통적으로 대학들은‘비판적 사고 능력’, ‘의사소통 능력’, ‘경험적 및 양적 분석 능력’, ‘팀워크’, ‘개인적 책임감 및 사회적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2) 신입생 세미나(first-year seminars)

신입생 세미나는 일반적으로 대학 생활(academic life) 안내를 제공하도록 설계 되어 있는데, 신입생들이 1학기 또는 2학기에 듣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대부분 의 대학들은 신입생 세미나를 선택 과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신입생 세미나는 적 지 않은 대학들에서 신입생 세미나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주로 좋은 학업 습관을 갖도록 도와주거나 성공적 대학 생활을 위해 필요한 정보 들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신입생 세미나는 1학점에서 3학 점 과목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신입생 세미나의 주요 활동은 학문적 열의 (intellectual endeavor)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규모로 교수진과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22)

신입생 세미나는 다양한 주제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주제에 대한 과목을 통해서 학문적 탐구, 분석 및 발견을 통해 광범위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복잡한 문제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장려한다. Barefoot and Fidler(1996)는 성공적 인 신입생 세미나의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학점 제공

-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에 교수진과 학생 모두 참여 - 프로그램의 필수 부분으로 강사 교육 및 개발 포함 - 강의를 가르치는 강사에게 반드시 보상할 것

- 세미나에 선배 학생(2학년에서 4학년 혹은 대학원생) 참여

- 세미나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평가 내용은 반드시 학교 구성원 에게 배포할 것

22) https://www.college.upenn.edu/first-year-seminars 참고

신입생 세미나는 다양한 유형의 세미나로 분류할 수 있지만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에는 “소규모 학급, 토론 집약적, 다른 신입생 연결, 교수 학

생 간 혹은 학생 간 상호 교류, 적극적인 교육 및 학습 경험, 피드백, 교실 밖 참

여 활동, 의도적인 커뮤니티 개발, 기관의 사명과 목표의 반영과 지원” 등이 있

다(Barefoot & Fidler, 1996).

Dalam dokumen PDF 대학소양교육의 현황과 과제 (Halaman 5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