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론 전략의 차별화
1) 정치의 피플지화(peopolisation) 현상
사르코지는 다른 요소들보다도 이미지 정치의 성공과 그에 대한 우려라는 측면 에서 가장 열띤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정치인이었다. 이미지가 정치 전면에 부각 되는 현상은 분명 현대 정치의 새로운 측면이다. 후보자 이미지가 정당 고유의 역 할만큼이나 중요해지고, 집권한 지도자의 미디어 활용 능력은 강한 리더십의 주요 자원으로 간주된다. 미디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수단의 의미를 넘어 지도자의 권력 행사를 위한 주요 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Heffernan 2006). 대통령제의 ‘수사 적’(rhetorical) 특징에 주목하는 연구자들은 여론을 주도하는 리더십이 헌법에 명 시되어 있는 바는 아니지만 현대 대통령직의 중대한 권력기반이 되었다고 주장한 다(Ellis 1998, 1; Tulis 2007, 59).
사르코지가 당선되었던 2007년 대선은 역대 어느 대선보다도 후보자들의 이미 지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선거였다(Boy and Chiche 2009, 101-2)45). 사르코지의 국정운영은 ‘말’을 넘어서는 지도자 ‘이미지’의 정치적 영 향을 부각시켰고, 그가 채택한 언론 전략의 차별화된 효과에 주목하게 하게 했다.
실제로 사르코지는 기존 정치인들이 출현하지 않았던 방송 프로그램에 종종 등장 하였으며46) 임기응변에 능한 담화능력을 보여주었다.47) 쿤(Raymond Kuhn)은 미
45) 보이와 시슈(Daniel Boy and Jean Chiche)는 2007년 대선 호보자들의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 는 연구에서 필립 브로(Phillippe Braud)가 저술한 정치에서의 감성(L'Emotion en politique.
1996. Presses de Science Po.)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Boy and Chiche 2009, 101).
46) 사르코지는 2008년 6월 30일 Frnace 3의 ‘19/20’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였는데, 이는 제5공화국 대통령 중 두 번째로 방송국에 직접 방문한 사례였다. 그는 방송 중 “국경 지대 의 2만 5천명의 불법체류자 수를 줄이기 위해 몇 명을 구속시킬 필요가 있는가?”라는 퓔바 르(Audrey Pulvar) 기자의 적대적인 질문에 대해 노골적인 흥분을 드러내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Libération 2008/10/22).
47) 2008년 1월 8일 기자회견에서, “당신은 권력을 사적인 형태로 만들었고, 이를 선거 군주
국, 영국, 독일의 비교연구를 시도한 페취(Barbara Pfetsch 2008)의 연구를 토대 로, 프랑스에서도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미디어 중심적’(media- centered) 전략이 보편화된다고 주장한바 있다(Kuhn 2010, 370). 하트와 틴달 (Paul 't Hart and Karen Tindall)은 연예인 출신 인사가 정계에 입문하는 경우가 아니라, 역으로 정치인이 연예인처럼 언론에 노출되는 현상을 새로운 형태의 리더 십으로 분석한 바 있는데, 사르코지를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하였다('t Hart and Tindall 2009, 269-274).48)
사르코지의 리더십은 프랑스 내에서 ‘정치의 피플지화’ 현상(peopolisation)의 전형으로도 평가된다. ‘정치의 피플지화’는 유명인의 사생활을 주요 보도 대상으로 삼는 타블로이드 판 신문인 피플지(People 紙)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매체 화’(mediatization) 혹은 ‘연예인화’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개념 은 일반적으로 정치보다는 정치인의 사생활을 다룬 대중적 저널리즘의 확산을 의 미했는데, 프랑스에서는 2002년 대선 시기에 정치인과 그 주변인물들이 타블로이 드판 주간지에 등장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2005년부터 이 개념은 정치인들 의 사생활이나 스캔들을 본인의 동의 없이 폭로하는 경우와, 정치인들이 연예인이 나 스포츠 스타와 동일한 방식으로 언론에 노출되는 경우의 두 가지 현상을 동시 에 지칭하게 되었다(Dakhila and Lhérault 2008)
제(monarchie élective)가 아니라고 할 수 있는가?”라는 리베라시옹(Libération)지 조프랭 (Laurent Joffrin)기자의 비판에 대해, 사르코지는 “군주제는 세습을 의미하는데, 내가 왕권 을 정당하지 않게 물려받은 시라크의 아들이란 말인가? 당신같이 교양 있는 사람이 그렇게 바보 같은 소리를 하는가!”라 답하여 기자를 청중의 웃음거리로 만들고, “군주제가 선거라 면, 그것은 더 이상 군주제가 아니다... 나는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고 강조한바 있다. 이 사건은 사르코지의 언론 대처 능력을 잘 보여준 사례이다.
48) 하트와 틴달은 사르코지 리더십을 미디어 노출에 ‘수동적으로’ 반응한 사례로 제시하고 있 다. 브루니(Carla Bruni)와의 재혼 문제로 스캔들에 휘말렸고 부정적인 평판을 얻었으나, 결 혼 후에 다시 ‘케네디 식’의 리더십 스타일을 회복했다는 것이다(Hart and Tindall 2009, 274).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사르코지의 능동적 언론 전략을 강조하는 프랑스 국내의 시각 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
2) 단절과 효율의 이미지
사르코지는 내무장관 역임시기(2005-2007년)부터 언론매체에 빈번하게 등장하 여 명료하고 속도감 있는 화법을 보였으며, 법과 질서를 보호하는 결단력 있는 지 도자 이미지를 형성했다. 그리고 성장과 효율의 가치를 가장 잘 대변하는 후보 이 미지로 대선에 당선되었다. 정치인 사르코지의 이미지를 뒷받침하는 핵심 개념은 2007년 대선 캠페인 슬로건이었던 ‘단절’(rupture)이었다. 사르코지는 단순한 변 화가 아닌 과거 정치노선과 결연해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해 왔다.
사르코지의 출신배경과 정치 이력은 차별화 전략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였다.
그는 헝가리 이민자 2세대이자 그랑제콜이 아닌 일반 대학 출신 정치인이었음에 도, 1983년 28세의 나이로 뇌이유 쉬르 센(Neuilly-sur-Seine) 지역의 시장에 당 선되면서 차세대 우파 지도자로 주목을 받아왔었다. 주류 정치집단에서 벗어난 아 웃사이더의 이미지는 그의 정치 라이벌 드빌팽(Dominique de Villepin)이 명문가 출신으로 엘리트 코스를 밟았던 점과 선명한 대조를 이뤘다. 그는 제5공화국 정치 를 주도한 국립행정학교 출신 엘리트들에 대해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에게는 참신 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었다(Brochet 2011, 28).
이처럼 과거의 우파 정치와 스스로를 차별화하려했던 시도는 사르코지 담화의 전반적인 내용과 형식에 반영되어 있다. 표 3-5는 사르코지와 시라크의 담화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개념들을 유사 의미집단으로 분류한 결과이다. 가장 많이 사 용된 개념군은 국가, 공화국, 유산, 역사, 전쟁 등의 ‘국가 정체성’과 관련된 단어 들이었으며 사르코지가 시라크보다 많이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많이 등장한 개념 군은 노동, 교육, 세금 등을 포함하는 경제・사회 문제였으며, 이 영역에서 두 대 통령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은 선거 캠페인과 관련되는 단어들인데, 사르 코지는 시라크보다 후보자 개인을 드러내는 표현을 선호하였다. 시라크는 국가 간 관계문제를 다루는 지정학적 개념과 국가 행정과 관련된 개념을 사르코지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반면, 사르코지는 범죄, 폭력, 사회정의 등 사회질서유지와 관련된 개념을 자주 언급한 것으로 드러난다. 외겔(Florence Haegel)은 이러한 개념 사용의 차이가 사르코지가 의도한 우파의 급진화(radicalisation) 전략을 반영
개념군 주요 개념 비고
1 집단 국가정체성
국가(국가nation, 공화국République, 정체성identité, 조국patrie, 땅terre, fierté, 이민immigration, 언어langue, 문화culture, 피sang, 사랑하다 aimer, accueillir, incarner); 과거와의 관계(뿌리origine, 유산héritage, 운명destinée, 역사histoire, 세기siècle, 기억souvenir); 공포(죽음mort, 전쟁guerre, 피sang, 불행malheur, misère, 증오haine, 유대인juif); 감정 (사랑amour, 증오haïr); 영적, 종교적(이상적idéal, 영혼의spirituel, 정신 esprit, 신뢰foi, 믿음croyance, 종교religion)
사르코지
>시라크
2 집단 경제・사회문 제
노동(실업chômage, 일자리emploi, 은퇴retraite, 연금allocations, 기업 entreprise, 고용하다embaucher); 교육(scolaire, 학습études, 학생 étudiant) ; 재정 및 세금(구매achat, 돈argent, 월급salaire, 인상시키다 augmenter, 대출하다emprunter, 재정지원하다financer, 투자하다investir, 세금impôt, 세무의fiscal, 공공요금taxe, 과세하다taxer)
사르코지
=시라크
3 집단 인격화
선거캠페인(캠페인campagne, 후보자candidat, 만나다rencontre, 만남 rendez-vous, 회합réunion); 후보자의 감정(감성émotion/감성적인émotif, 열정enthousiasme, 정열passion, 의심doute, renoncement, 의지volonté, 마음coeur); 대중호소(친구amis, 동포compatriotes, 듣다écouter, 표현하 다exprimer)
사르코지
>시라크
4 집단 프랑스의 위상
지정학(대륙continent, 유럽인européen, 지중해인méditerranéen, 미국 États-Unis, 아프리카Afrique, 남쪽sud, 동반자partenaire, 국가pays, 힘 puissance, 위치position, 외교diplomatie, 전략stratégie, 방어défense);
무역(상업적인commercial, 능력있는compétitif, 경쟁적인concurrent, 상업 commerce, 무역échange, 시장marché); 발전(협력coopération, 아프리카 Afrique, 남부Sud, 농업agriculture, 보급alimentation); 환경(기후의 climatique, 환경environnement, 생태écologique, 핵nucléaire)
시라크>
사르코지
5 집단 공공행정
공공제도(국가État, 법loi, 임무mission, 개혁réforme, 간부cadre, 통제 contrôle, 행동action, 행정administration, 헌법constitution, 정부 gouvernement, 결정décision, 배치disposition, 협의하다concerter); 지역 행정(국가의national, 농촌의rural, 영토의/영토territorial/territoire, 응집 cohésion, 지역의local, 근접성proximité, 도département)
시라크>
사르코지
6 집단 사회질서
학교(학교école, 교사maître, 교사instituteur, 교수professeur, 학생élève, 수업leçon, 배우다apprendre); 시민적 가치(시민의civique, 시민/시민성 citoyen/citoyenneté, 도덕moral, 평등의égalitaire, 보상récompense, 공 적mérite, 벌하다punir); 사회정의(미성년mineur, 범죄délinquant, 재범 récidiviste, 경찰police, 죄를 면함impunité, 사기 치다frauder, 비행청소 년voyou, 벌하다punir, 폭력violent); 직업(농부paysan, 노동자ouvrier, 사 장patron, 공장usine, 엔지니어ingénieur)
사르코지
>시라크 한 것이라 보고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한다. 첫째, 시라크는 외교문제와 지역 행정에 관련된 개념들을 주로 사용하였던 반면, 사르코지는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표현 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제도적 차원의 개념에 의존하는 시라크의 담화와 달 리, 사르코지는 유권자와 본인의 직접적인 관계를 강조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5. 대통령 담론의 주요 개념: 시라크와 사르코지의 비교
출처: Haegel 2011, 66-67을 재구성함
주 : ALCESTE(Analyse lexicale par contexte et segment de tex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라크의 42개 담화 및 사르코지의 49개 담화를 분석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