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방자치단체 국제청소년교류의 추진현황

가. 전문 인력 현황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은 급격한 사회변 화에 따른 가치관과 행동양식의 변화,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등으로 여러 사회문제에 노출되어 있으며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 문 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인격체로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전문지식과 지도기 법을 갖춘 청소년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이 중요하다.

청소년관련 전문인력인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 및 청소년

상담사와 청소년시설・청소년단체・청소년관련기관 등에서 청소년육 성 및 지도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말하며(청소년기본법 제3, 21, 22 조), 이와 같이 청소년지도자의 양성을 위해 문화관광부는 청소년육 성 5개년계획에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청소년지도자 양성계획을 수 립하여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상담사를 각각 1993년과 2003년부터 국가공인 청소년지도자로 양성해 오고 있다.

2004년말 현재 양성된 청소년지도사는 11,286명이며 시설에 배 치된 인원은 8,000~9,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배치된 시설은 국립 시설(중앙 및 평창 청소년수련원),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청소년시설 (655개), 청소년단체(200여개), 청소년자원봉사센터(중앙센터 및 16 개 시・도 센터) 등 각 청소년 시설・기관에서 단체 및 시설 운영, 청 소년 관련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청소년 지도 그리고 청소 년 수련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관련 분야 직업분류가 청소년범죄학자 11,321 명, 청소년상담원 27,111명, 그리고 청소년학 교수 15,101명 등 3개 로 한정되어 있어 청소년활동의 실제 현장인 청소년단체, 청소년시 설, 청소년지원기구 등에서 청소년지도를 전담하고 있는 청소년지 도자(사)가 누락되어 서비스종사자 등으로 분류되어 있어 새로운 직 종에 대한 직업분류가 필요하고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지도자의 사 기진작과 정체성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육성 전담공무원에 관한 사항은 특별시・광 역시・도, 시・군・구 및 읍・면・동 청소년육성전담기구에 청소년육성 전담공무원을 둘 수 있으며(청소년기본법 제25조), 청소년육성전담 공무원은 청소년지도사 또는 청소년상담사의 자격을 가진 자로 규 정하고 있다.

청소년육성전담공무원은 그 관할구역안의 청소년 및 다른 청소년 지도자 등에 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지도를 하여야 하며, 관계행정기관, 청소년단체 및 청소년시설의 설치・운영자는 청소년 육성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협조하여야 한다.

또한 시장·군수·구청장은 청소년육성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청소년지도위원을 위촉하여야 하며, 청소년 육성에 관한 업무를 효 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시・도 및 시・군・구에 청소년육성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는 기구를 따로 설치할 수 있다(청소년기본법 제26, 27조).

나. 재정 현황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육성 분야 재정투자는 1999년 675억원에 서 04년 997억원으로 연평균 9.6% 증가하였다.

<표Ⅳ-1> 청소년분야 재정투자 현황

(단위:억원, %) 연도별

구 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연평균 증가율

계 675 658 761 729 806 997 9.6

예 산 297 259 325 241 258 237 △4.0

양여금 204 265 329 337 366 302 9.6

기 금 174 134 107 151 182 458 32.7

<그림Ⅳ-1> 청소년분야 재정투자 현황

0 100 200 300 400 50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연도 억원

예산 양여금 기금

청소년육성사업의 재정투자 방향은 건강한 청소년 성장여건 조 성, 생활권내 청소년 수련시설 확충, 청소년의 권리보장과 자율참 여기회 확대, 그리고 21세기 사회를 주도할 자질과 능력 함양에 두 고 있다.

청소년 수련시설의 안전강화와 청소년지도자 양성 확대 및 자질 을 함양하고 청소년 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리더십을 갖춘 민주시 민 육성에 크게 기여하였고, 청소년수련관, 문화의 집 등 다양한 청소년 문화공간을 확충하여 건전하고 창의적인 청소년육성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 부문별 ⋅사업별 투자계획

재정투자 방향 및 우선순위는 청소년 수련시설 확충 및 안전강 화, 청소년 인권신장 및 참여 증대, 청소년단체 및 문화활동 지원, 다양한 청소년 및 국제교류, 청소년복지 증진 등으로 두고 있다.

<표Ⅳ-2> 청소년육성 분야 투자계획

(단위:억원, %) 연도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연평균 증가율 계 1,052 2,008 2,770 3,230 3,599

(증가율) (90) (37) (16) (11) (60.5)

예 산 92 610 1,076 1,224 1,476

(증가율) (563) (76) (13) (20) (376.1)

균 특 376 600 800 1,000 1,000

(증가율) (59) (33) (25) (-) (41.5)

기 금 584 798 894 1,006 1,123

(증가율) (36) (12) (12) (11) (23.1)

<그림Ⅳ-2> 청소년육성 분야 투자계획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5 2006 2007 2008 2009 연도 억원

예산 균특 기금

라. 제도적 현황

우리나라의 국제청소년교류는 여러 분야에서 각기 다른 추진주체 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추진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류활동과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는 교류가 국제청소년교류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국제청소년교류는 그 주친주체와 내용에 따라 각기 다른 법률과 관련 정부부처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청소년관련법 중 청소년기본법과 청소년활동진흥법은 청소년육성과 국제청소년교류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즉 청소년육성이 청소년에 대하여 교육과 상호 보완함으로써 청소 년의 균형있는 성장을 돕는 것을 말한다면, 청소년교류는 이러한 청소년육성의 이념과 목적을 완성시키는 매우 중요한 실천적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아울러 국제 청소년교류의 유형에는 지역 간 청소년교류, 남북간 청소년교류, 그리고 국가 간(국제)청소년교류의 세 가지 형태가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활동진흥법은 청소년교류의 진흥과 지원의 책임이 국 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있음을 명기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청소년교류의 근거가 되고 있는 청소년관련법의 현황 은 다음과 같다.

<표Ⅳ-3> 분야별 국제청소년교류의 제도적 특성

구 분 법적 근거 정부관련부서 교류내용과 특징 관련기관

청소년 육 성 및 국제교류 활동지원 분 야

・청소년기본법 제1,3조

・청소년보호법 제1,2,5조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2,5,53-59조

문화관광부 청소년국 청소년지원과

・청소년의 건전한 인격체로의 성장지원

・청소년의 국제청소년 교류활동 지원

・청소년육성정책 수립

・한국청소년 단체협의회

・청소년교류 센터

청소년 교 육 분 야

・교육기본법 제29조

교육인적자원부 국제교육 정보화국 국제교육협력과

・국제인으로의 소양 함양을 위한 국제화 교육

・외국자치단체 및 국제 기구와의 교육협력 시책 강구

・시・도 교육청

・국제교육 진흥원

친 선 우 호 및 교 류 협 력 분 야

・한국국제교류 재단법 제1,6조

・재외동포재단법 제1,7조

・한국국제협력 단법 제1,7조

외교통상부 문 화외교국 홍보 과,문화협력과

・국제우호친선

・재외동포활동지원

・국제교류목적의 해외지원사업수행

・한국국제 교류재단

・재외동포 재단

・한국국제 협력단 자 치

행 정 분 야

・지방자치법 제35조, 시행령15조

행정자치부 지 방자치국 자치 행정과

・지방자치단체차원의

・국제교류협력활동 지원

・지방자치 단체

・한국지방 자치단체 국제화재단 자료:박진규(2004) 재구성.

마. 지방자치단체의 자매결연 체결 현황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매결연 체결 현황을 살펴보면 2005 년 현재 우리나라의 171개 지방자치단체(광역 16개, 기초 155개)가 외국의 451개 지방자치단체(광역 134개, 기초 317개)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여 교류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 중에는 경기도가 가장 많은 27개 지방 자치단체가 외국의 79개 지방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여 국제 교류를 추진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서울의 26개 지방자치단체가 외국의 74개 지방자치단체(광역 19개, 기초 55개)와 교류를 하고 있으며, 전남과 경북이 각각 13개 지방자치단체가 국제교류를 추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Ⅳ-4> 지방자치단체별 자매결연 체결 현황

(2005년 현재) 구 분 우리나라의 자치단체 수 외국 자매도시 수

계 광 역 기 초 계 광 역 기 초

계 171 16 155 451 134 317

서울시 26 1 25 74 19 55

부산시 11 1 10 27 16 11

대구시 4 1 3 11 8 3

인천시 5 1 4 13 9 4

광주시 4 1 3 8 5 3

대전시 4 1 3 13 9 4

울산시 1 1 - 8 8 -

경기도 27 1 26 79 14 65

강원도 13 1 12 33 5 28

충 북 8 1 7 15 5 10

충 남 13 1 12 29 6 23

전 북 9 1 8 21 4 17

전 남 14 1 13 23 3 20

경 북 14 1 13 41 9 32

경 남 13 1 12 42 10 32

제 주 5 1 4 14 4 10

자료:한국지방자치단체국제화재단(2005).

바.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청소년국제교류 현황

<표Ⅳ-5> 2005년도 자치단체 국제청소년교류 현황

(단위:천 원) 자 치

단체명 세부사업명

소요예산 계 국고 사업내역

(원) 지방비 기타 계 1,536,990 4억 1,062,970 74,020

서울시 자치단체간 청소년 우호교류사업 200,000 - 200,000 - 청소년교류 부산시 한・일, 한・중, 한・러 청소년국제교류 24,400 - 24,400 - 해외교류사업비

아시안게임 개최도시연합 청소년 캠프 10,000 - 10,000 - 해외교류사업비

대구시

청소년 해외독립 유적지탐험지원 20,000 - 20,000 - 현장체험 제39회 세계 어린이올림픽 대회 참가 20,000 - 20,000 - 국제대회 참가 자매도시 청소년 국제교류사업 추진 30,250 - 30,250 - 홈스테이, 교류행사, 문화탐방・체험 걸스카우트 국제야영대회참가지원 20,000 - 20,000 - 개영식, 축하공연 등 인천시 청소년국제교류 활성화 20,000 - 20,000 - 중국(천진시), 일본(키타큐슈시) 대전시

서북미 교포 청소년 방문 2,500 - 2,500 - 방문(15명) 일본 교포 청소년 방문 2,500 - 2,500 - 방문(20명) 제25회 아시아・태평양 잼버리 9,000 - 9,000 - 보조금지원 충 북

청소년 국제교류 20,000 - 20,000 - -일본 야마나시현 -중국 흑룡강성 청소년 어학연수 10,000 - 10,000 - 중국 흑룡강성 소재지 대학 한국스카우트 국제야영대회 참가 20,000 - 20,000 - 전북 무주 잼버리장

충 남

청소년과 국제교류 34,000 - 34,000 - 일,중,남호주 120명 청소년 백제역사탐방 20,000 - 20,000 - 일본(40명) 대학생 해외체험연수 79,020 - 60,000 19,020 10팀, 20명 한중 청소년 문화체험 5,000 - 5,000 -

전 남

제6회여수국제청소년 축제 800,000 4억 400,000 - 경연, 체험행사 등 한・중 청소년 교류사업 34,000 - 34,000 - 홈스테이, 견학, 탐방 한・일 청소년 교류사업 14,000 - 14,000 - 문화유적지탐방, 프로그램 참여 경 북 청소년상담원 해외연수 20,000 - 20,000 - 선진외국 청소년상담기법도입

제9회 걸스카우트, 국제야영대회 65,000 - 10,000 55,000 스카우트 활동 경 남 청소년국제교류 50,000 - 50,000 - -일본/중국/러시아

제주 청소년 국제교류 7,320 - 7,320 - 한・일해협 연안 시도・현 청소년 교류 자료:문화관광부(2005). 지방자치단체시행계획 제 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