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장단/아니리 등장인물 장면 내용
1장
1. 충남 아산 진양 이순신
총명하고 용감한 청년기 2. 영특한 소년 중중모리 이순신, 부모
3. 아버지 말씀 아니리 아버지, 이순신
중모리 이순신
아니리 아버지
4. 과거의 길 자진모리 이순신
경조중모리 이순신
2장
5. 조산보의 첫발 아니리 이순신
녹둔도 전투의 승전과 백의종군, 정읍현감과
전라수군 절도사로 발탁
진양 이순신/병졸
아니리 이순신, 이일 장군 6. 녹둔도의 전투 자진모리 이순신, 오랑캐
아니리 이순신, 이일 장군 7. 이일장군 중모리 이순신, 이일 장군
아니리 이순신, 조카 진양 이순신, 노인들 8. 정읍 현감으로 아니리 이순신
중모리 이순신
3장
9. 전라좌수사 중모리 이순신, 군사, 목수들
거북선의 고안·제작과
진수식의 거행 10. 거북선 제조 중중모리 이순신, 목수들
진양 이순신, 백성들 11. 거북선 진수식 아니리 이순신, 백성들 자진모리 이순신, 백성들 12. 거북선 등선 중모리 이순신, 김귀영
4장
13. 거북선 기능
아니리 해설자
거북선의 위용과 서인의 반대
중모리 해설자
아니리 해설자
자진모리 해설자
14. 거북선의 내부
중중모리경조 이순신, 백성들 아니리 이순신, 백성들
중모리 이순신
진양 해설자
15. 동인의 반대
아니리 이순신, 심유성, 신립 중모리 신립,선조,유성룡,이순신
편지성음 이순신
아니리 해설자
5장 16. 왜병 내습
중모리 임금
삼도연합으로 왜병 함대를
격파
아니리 이순신
자진모리 풍신수길,정발장군,선조
아니리 이순신
17. 한산대첩 중모리 이순신, 이억기, 원균 아니리 이순신, 이억기, 원균
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작품은 임진왜란 전후로 구분되며 특히 주로 4대 해전이라 불리는 한산도대첩, 부산포 싸움, 명량대첩, 노량대첩 등이 극 의 절정을 이룬다.
표 7. <충무공 이순신>의 사설과 장단 정리
중모리 이순신, 부하들 자진모리 이순신, 부하들
6장
18. 부산포 싸움
아니리 이순신, 선조
거북선을 몰고 왜선을
격파하지만 정운장군의
전사 진양 이순신, 이억기, 원균
자진모리 이순신, 이억기, 원균외 자진모리 이순신, 정운장군 19. 정운장군 전사
자진모리 장종들
진양 이순신,어영담,정운장군
아니리 이순신
진양 이순신, 장졸, 백성들
7장
20. 평양에서 서울까지 아니리 왜병 삼도 통제사로 21. 선조대왕 환도와 임명
통제사 이순신 중모리 선조, 이순신 22. 원균의 모함 자진모리 이순신, 원균
원균의 모함으로
투옥 23. 죄 없는 죄인 아니리 이순신,원균,조정대신들
진양 이순신,군사․백성들 24. 투옥 아니리 이순신,윤근수,원균외 중모리 이순신, 윤근수(좌의정) 아니리 이순신, 윤근수
8장
25. 백의종군 자진중모리 이순신, 윤근수 방면 이후 모친의 부음 아니리 이순신, 윤근수, 선조외
아니리 모친, 이순신
26. 원균전사
중중모리 이순신, 오종수
원균의 패전과 전사 아니리 이순신, 김오랑
진양 이순신
아니리 이순신
중모리 이순신, 원균 자진모리 원균,이순신,이억기 외
진양 선조, 이순신 아니리 이항복, 선조, 이순신
9장
27. 진도 벽파진 올돌목 싸움
자진모리 별망꾼, 이순신
올돌목의 승첩 자진모리 이순신, 김응함, 마다시
중모리 이순신
진양 이순신, 선인 중모리 이순신, 군사
28. 명나라 장수 진린
아니리 박희무, 이순신
명나라 진린과의
우정 중모리 진린, 이순신
아니리 진린, 이순신 자진모리 왜놈, 진린, 이순신
아니리 안위, 진린, 등자룡 중모리 진린, 등자룡, 이순신 진양/중모리 진린, 이순신
중모리 진린, 이순신
10장
29. 노량해전 자진모리 진린, 이순신, 왜병들
명예로운 순국 30. 청군의 패배 자진모리 진린, 이순신, 이완 외
31. 최후의 승리 자진모리 진린, 이순신, 이완 32. 아! 순국 자진모리 진린, 이순신, 이완 33. 대왕의 눈물 자진모리 선조
중중모리 마무리 해설
1.1 전통의 틀 안에서 민족 영웅의 일대기 조명 계몽적 관점으로 영웅성 부각
<충무공 이순신>의 서사구조는 이순신의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과정 을 순차적으로 조망하되 이순신의 개인적 행적을 그리는 전반부(1장〜4 장)와 임진왜란 발발 이후 다양한 전란과 이순신의 전사 장면을 재현한 후반부(5장〜10장)로 구별된다. 서사구조 상으로는 45년의 시간을 압축 한 전반부보다 오히려 7년 간 임진왜란을 그린 후반부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품 속에서 이순신의 어떠한 면모를 형상화했는지 살피기 위해 전체 사설을 대상으로 각 장면별로 부각되는 이순신의 모습을 분석한 결과 용 맹한 장수, 총명한 전략가, 절개의 화신, 고매한 인격자 등 4개의 면모가 추출되었다. 이는 다시 용맹함과 리더십, 지략·총명함, 창의성, 시련과 극 복, 지조, 효·가족애, 충·애국, 의·전우애 등으로 구체화되어 정리되었다.
영웅의 다채로운 면모를 장면별 비중에 따라 도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 다.
그림 16. <충무공 이순신>의 장면 구성과 영웅적 면모 구현
판소리에서 이순신은 실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결함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완벽한 영웅’의 모습으로 숭앙되고 있다. 이순신의 전체 생애에서 장수와 지략가, 절개와 인격이 출중한 위인의 면모를 선별적으 로 드러냄으로써 충무공을 역사상 전무후무한 민족 영웅으로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244)
병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왜병들에 끝까지 맞서 싸우고 벼랑 끝 위기 속에서 부하들을 이끌고 나라를 구하는 등 ‘용감한 장수’로서의 활약상은 <충무공 이순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서사의 핵심 뼈대를 이룬다. 특히 한산도와 올돌목, 노량진, 녹둔도 등 주요 대 첩 장면은 부분의 극대화, 장면의 독자성이 두드러지는데 위기일발의 전 투 상황을 진두지휘하는 용맹한 장군의 모습을 상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9장. 울돌목 싸움] 충무공 거동보소 활에 살을 메겨 들고 왜장을 바라 보고 깍지 손을 딱 떼뜨리니 허공 중천 나는 살이 펄펄 수르르 날러가 왜놈 대장 마다시가 콱 쑤셔놓네 왜놈 대장 살을 맞고 왁 소리를 지르 더니 비틀비틀 하더니만 거중에 떨어져서 물에 가 펑 빠져 죽네
전투적 용맹성을 뛰어 넘어 이순신의 탁월한 전략이 발휘되는 모습도 빈번하게 출현한다. 명량해전에서 날씨와 조류를 절묘하게 이용해 최악 의 상황을 승리로 이끌거나 부산포 싸움에서 철저하게 계산된 학익진 전 술로 적선 수십 척을 수장시킨 대목들은 ‘총명한 지략’이 돋보이는 장면 이다. 또한 사설 전반부(3장과 4장)에서는 거북선의 제작 과정과 기능도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 역시 우리 수군이 육박전에 취약하고 포 격전에 강한 점을 염두하고 전투선을 만들어 낸 이순신의 창의성이 부각 하는 부분이다.
244) 본 절에서는 송소라가 제시한 이순신의 다양한 모습을 참조하되 전체 사설 내 용을 대상으로 마리메꼬 분석을 시도했고, 이에 기반해 세부적인 내용을 살피 고자 한다. 송소라는 자신의 논저에서 충무공 이순신이 전쟁영웅, 지략가, 전인 적 인격체로 묘사되었다고 설명한다(송소라,「박동진 창작판소리 <충무공 이순 신>의 정서 지향과 역사서사물로서의 의미」,『공연문화연구』28, 한국공연문 화학회, 2014, 15〜17면.).
[4장. 거북선의 기능] 거북선으로 말을 하면 속력이 빨라있고 배지붕에 다 철판을 많이 깔아놓고 송곳을 총총히 모두 다 박아 놓읐으니 적군 이 감히 배 위에 올라오지 못할 것이요 거북선 안에 숨어 앉어 내가 적을 쏠 수는 있지만 적은 나를 볼 수가 없네
한편 장수로서의 활약상과 더불어 ‘지조와 절개의 화신’으로 온갖 시 련을 이겨내는 장면들은 <충무공 이순신>의 서사에 있어 중요한 축이 다. 녹둔도 전투 이후 이일장군의 모함으로 고통스럽게 백의종군하는 모 습, 이순신의 공을 가로채고 모함을 일삼는 등 원균의 갖은 악행 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모습, 선조대왕에 꿋꿋하게 장계를 올리는 장면 등은 바 로 이순신의 불굴의 정신을 서사화하는 대목들이다.
[4장. 편지 성음] 신은 생각하오니 일본은 반드시 침입할 것은 명명 백 백 하옵니다 그러하오니 육지로 오는 적은 육지에서 막아야 하옵고 바 다에서 오는 적은 바다에서 막아야 하옵니다 (중략) 깊이 통촉 하옵소 서
마지막 완벽한 영웅으로서 이순신을 완성하는 것은 ‘고매한 인격자 혹 은 인간적인 덕장’으로서의 면모다. 군주인 선조에게 버림받았지만 끊임 없이 나라를 걱정하고 죽음의 순간까지 온몸을 바쳐 희생하는 장면에서 는 충신으로서의 모습을 드러낸다. 이윽고 명나라의 장수인 진린과 우정 을 쌓는 과정에서는 이순신이 자신을 철저히 낮추어 협력을 이끌어 내고 자신보다 먼저 상대방을 위기에서 구해냄으로써 신뢰와 배려심이 넘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백의종군 이후 정읍 현감으로 제수한 이순 신이 사람들의 핀잔에도 불구하고 부모 잃은 조카들을 부양해야만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대목에서는 이순신의 섬세하고 인간적인 모습이 형상화 되고 있다.
[2장. 부모 잃은 조카들] 풍편에 듣사오니 다솔 식구를 거느리고서 고 을 살이를 왔다하여 뒷말이 있지마는 애비를 잃은 조카들을 이 사람이 아니오면 누구라 거두어 주오리까 불쌍한 어린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