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Ⅴ. 실증분석

5.1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정에 앞서 가설검정에 필요한 각 구성개념들이 신 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측정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신뢰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반복하여 측정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과가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가 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내적 일관성 검정법은 같은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항목을 이용 하는 경우 측정도구 내의 항목별 평균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신뢰성을 확인하려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신뢰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찾아내 측정도구에 서 제외시킴으로써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C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한다.Cronbach'sAlpha에 의한 신뢰성 검정은 사용이 간 편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 방법으로 측정수단들의 신뢰성을 검증하 였다.

5. 1. 1외생변수 요인 및 신뢰성분석

타당성은 그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 게 측정하였는가를 의미하게 된다.타당성의 평가는 그 방법에 따라 개념 타 당성,기준관련 타당성,내용 타당성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일반적으로 내용 타당성은 특정한 측정도구의 대표성에 관한 개념이며,기준 관련타당성은 특정변수 간의 통계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개념 타당성은 변수들의 특성 측정과 관련한 것으로서 측정자체의

정확성에 관련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개념타당성을 검증하는 통계적인 방 법으로 흔히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고 있는데,본 연구에서는 변수들 간의 판별 타당성과 개념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요인의 추출에 있어서는 구해진 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요인의 수 를 적절히 줄이기 위한 주성분 요인분석(PrincipalComponentAnalysis)방 식을 사용하였고,요인의 회전으로는 직각회전방식(Varimax)을 선택하였다.

외생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결과는 <표 5-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3개 문 항 중 3개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10개 문항이 3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각 요인별로 적재치(FactorLoading)를 살펴 0.6이상인 변수들만 추출하였는데,그 결과 노인의 평생교육 만족요인으로 프로그램만족,교육환경만족,강사만족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평생교육 만족요인 중 프로그램만족을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22.91%,교 육환경만족을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21.97%,강사만족을 설명해주는 설명 분산은 21.48%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인 누적 분산 설명비율은 66.37%로 나타났다. 또한 도출된 차원들의 내적 신뢰성 검증을 위한 Cronbach'sAlpha분석결과 모든 차원들이 일반적으로 기준 값 0.6을 초과 함으로써 각 문항에 대한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반복 유사한 질문은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구해서 상관관계가 적은 값을 제거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ronbach'sAlpha 분석결과 프로그램만족은 α=0.841,교육환경만족은 α

=0.861,강사만족은α=0.809으로 나타났다.

<표 5-1> 외생변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개 념 변 수 요 인 1 요 인 2 요 인 3

프로그램만족

프로그램만족2 .781 .201 .218 프로그램만족3 .769 .215 .102 프로그램만족1 .751 .222 .215 프로그램만족4 .666 .159 .126

교육환경만족

교육환경만족1 .212 .858 .201 교육환경만족3 .231 .830 .231 교육환경만족2 .249 .825 .262

강사만족

강사만족1 .148 .230 .793 강사만족4 .163 .165 .746 강사만족2 .219 .250 .733 고유치 2.978 2.857 2.793 설명분산(%) 22.911 21.974 21.487 누적분산(%) 22.911 44.885 66.372 Cronbach'sAlpha .841 .861 .809

5. 1. 2내생변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내생변수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15개 문항 중 3개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12개 문항이 3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표 5-2> 내생변수의 요인 및 신뢰성분석

개 념 변 수 요 인 1 요 인 2

사회적응력

사회적 적응력1 .843 .146 사회적 적응력7 .823 .166 사회적 적응력2 .813 .126 사회적 적응력4 .767 .129 사회적 적응력3 .759 .203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2 .212 .858

자기효능감3 .231 .830

자기효능감1 .249 .825

자기효능감6 .171 .742

자기효능감7 .161 .682

고유치 5.698 3.987

설명분산(%) 36.492 28.933 누적분산(%) 36.492 64.425 Cronbach'sAlpha .893 .831

내생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결과는 <표 5-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3개의 요 인이 나타났다.각 요인별로 적재치(FactorLoading)를 살펴 0.6이상인 변수들 만 추출하였는데,그 결과 사회 적응력,자기효능감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사회적 적응력의 설명 분산은 36.49%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설명 분산은 28.93%로 나타났다.그리고 전체적인 누적 분산 설명비율은 64.42%로 나타났 다.또한 도출된 차원들의 내적 신뢰성 검증을 위한 Cronbach'sAlpha분석결 과 모든 차원들이 일반적으로 기준값 0.6을 초과함으로써 각 문항에 대한 신뢰성

이 높게 나타났는데 Cronbach'sAlpha분석결과 사회적응력은 α=0.893자기효능 감 요인은 α=0.83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