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실증분석
6.2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이에 따르는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지식기반시대와 평생학습 시대를 맞이하여 많은 기관들에서 평생교 육을 실행하고 있지만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 등을 통한 프로세스의 연결 에 관심을 두는 연구는 많지 않다.평생교육과 사회적 적응과 연계하는 방법 에 대한 연구는 시작하였으나 평생교육 만족 요인이 무엇이고 현장에서의 그 것이 어떻게 구축되는 것에 대한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Penual&
Cohen, 2003).본 연구는 평생교육활동과 성공적인 사회적적응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둘째,평생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평생교육과 삶의 만족도 또는 성공적 노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히는 연구로만 이루어 졌으나 평생교육 만 족 요인을 통한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 다.본 연구를 통하여 평생교육 만족을 통한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 등을 통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셋째,평생교육 만족과 사회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 석함으로써 평생교육을 통한 사회적 적응력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규명 하였다.
즉,기존연구에서 평생교육과 교육전이라는 단편적인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 요인이 지니는 조절 효과를 밝혀냄으로써 인과적 관계의 구조상에서 창출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평생교육이 사회적응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을 일부 규명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 가 있음을 관찰하였다.지금까지의 평생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 새로운 통찰력과 연구 가능성을 얻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이론 적 공헌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즉 평생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교육생들 의 만족도와 그 성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평생교육 을 실시할 때 교육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회적적응력 더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는 평생교육 만족 요인과 성공적인 사회적 적응력 간 조절 역할로 서의 활용효과가 더 크다는 의미로 자기효능감의 필요성이 실증적으로 증명되 었다는 점이다.이는 지식기반시대와 평생학습 시대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평생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사회적 적응력과 교육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노력과 사회적응력의 통합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선행연구를 토대로 고안된 설문 문항이라 하 더라도 철저한 사전 인터뷰 및 사전 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조사 대상 기업의 현상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엄선된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한 연구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을 보다 정교화 하는 이론적 검 토 작업과 더불어 평생교육에 대한 성과와 교육생의 만족도와 그로 인한 삶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개발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이 러한 부분은 본 연구와 관련한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며 연구자의 관심과 노력 으로 연구의 질적 향상을 기대해 본다.
참 고 문 헌
권순영(2009),평생교육시설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비 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영화(2005)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 정립에 관한 연구,pp.89-109.
김길자(2004),평생교육 관점에서 교육 프로그램 연구 노인교실을 중심으로,성 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혜(2003),고령화 사회의 노년담론과 노인의 정체성에 관한연구,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영(2009),평생교육시설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비 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인자(2006),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와 교육 만족도 분석,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숙(2008),대학 평생교육원 성인 학습자의 학습 성과와 교육기관 관련 요인 과의 관계 분석,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남기민,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06.
박귀영(2007),여가 복지시설 이용 실태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한영신학 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박옥란(2002),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동기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pp.71-85.
성혜영(2005),Rowe& Kahn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이상기(2005),자기주도적 탐구학습을 위한 수준별 학습자료의 개발.
임숙경(2008),여성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 모형 분석,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나영(2006),평생교육 참여와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근영(2009),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만족도와 성과인식 상관관계,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2007),"사회과학연구 『경영학연구』.
통계청(2011),통계자료,2011.
Ardelt M(1995),"Wisdom in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SuccessfulAging",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Section A :Humanities& SocialScience,55:2160,
Aldag(1997), Leslee DuPertuis, “Is Use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Associated with SuccessfulAging?”,Dssertation of UniversityofCalifornia,Davis,
Baltes, P. & M. Baltes(1990). Successful aging : Perspective from thebehaviralsciences,Cambridge,England:CambridgeUniv.Press.
Estes,L.Carrol(2003), Social Theory,Social Police and Aging,Open UniversityPress.
Friedrich, D(2001). Successful Aging: Integrating Con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pringfield, IL : CharlesC Thomas.
Guse,L.w.& Masesar,M.A(1999)."Quality oflifeand SuccessfulAging in Long-Term Care :Perceptions ofResidents“ Issues in Mental HealthNursing,20(6):527-539.
Rigg,A.Men(1997),"FriendsandWidowhood:TowardsSuccessfulAging", AustralianJournalonaging,16(4):182-185.
Rowe,J.W.& Kahn.R.L(1997)."Successfulaging",Gerontologist,34 Mclnnis-Dittrich,K(2005).SocialWorkwithElder:A Biopsychosoci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2nd ed.). Pearson Education,Inc.
Miller,R(1990).A.Aging and theImmuneResponse.In E.L.Schneider&
J.W.Rowe(Eds.),Handbook oftheBiology ofAging (3rded.).CA:
AcademicPress
Scheidt,R.J(1999)."SuccessfulAging",Journal of Applies Gerontology, 18(3):277-282.
Vaillant,G.E.& Mukamal,K(2001)."SuccessfulAging",The American JournalofPsychiatry,158(6):839-847,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도 본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설문조사는「평생학습」에 관한 연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본 설문의 분석결과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쓰일 것입니다.
귀하가 응답해 주신 내용은 익명으로 통계처리 되며, 통계법에 의해 비밀이 보장됩니다.
끝까지 성의껏 응답해 주시면 저의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 합니다.
2012 년 11월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 윤 종 록 (H.P : 010-6611-6824) 연구자 : 조 순 장 (H.P : 010-5609-6811)
E-mail :[email protected]
항 목
전혀 그렇 지않 다
보통 이다
매우 그렇 다
1 2 3 4 5 1.교육기관은 학습자들의 요구를 잘 반영해서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2.현재 참여중인,혹은 참여한 프로그램의 수업내용에 대해서 만족한다.
3.현재 참여중인,혹은 참여한 프로그램이 수업진도에 잘 맞춰 진행 되었다.
4.강사의 옷차림과 용모는 단정하다.
5.강사의 수업방식에 대해서 만족하다
6.강사의 수업이 질적인 측면에서 만족하다.
7.기관의 행정직원들의 서비스가 친절하고 책임감이 있어 신뢰감을 준다.
8.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재나 자료, 교육정보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9.학습자들은 센터에 비치된 교재나 자료, 교육정보 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10.기관에 학습자들을 위한 편의시설(휴게실, 식당,주차시설)등 잘 갖추어져 있다.
11.교육기관은 주변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다.
12.강의실이 쾌적(온,습도)하고 다른 교육에 영향을 안 받는다.
Ⅰ.다음은 현재 참여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질문입니다.해당사항에 ✔ 표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Ⅱ.다음은 사회적응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 표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항 목
전혀 그렇 지않 다
보통 이다
매우 그렇 다
1 2 3 4 5
1.나는 사람들과 교제하기를 좋아한다.
2.좀 시시한 이야기도 상대방 기분을 생각해서 끝까지 들어준다.
3.남들이 나를 비교적 믿어주는 편이다.
4.여러 사람 앞에서 말하려면 마음이 떨린다.
5.갑작스런 일이 생기더라도 잘 대처하는 편이다.
6.친구를 사귈 때는 상대방보다 내가 먼저 나서는 편이다.
7.사람들과 친해질 수 있는 일이면 빠지지 않는 편이다.
8.어떤 경기나 단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편이다.
9.한 가지 일에 마음을 집중할 수 있다.
10.어려운 일을 당할수록 냉정하고 침착해진다.
Ⅲ.다음은 자기효능감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 표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항 목
전혀 그렇 지않 다
보통 이다
매우 그렇 다
1 2 3 4 5
1.새로운 일을 하는것에 어느 정도 자신이 있다.
2.무언가를 배우는 것에 어느 정도 자신이 있다.
3.앞으로 누군가를 새로이 만나도 친해질 자신이 있다.
4.계획을 세우면 그대로 수행하는데 어느 정도 자신이 있다.
5.나는 나의 노후를 훌륭히 지낼 자신이 있다.
6.나는 앞으로의 일을 놓고 볼 때 지금껏 어려운 일들을 잘 해왔다.
7.나의 기술과 능력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뒤지지는 않을 것이다.
8.나는 내 능력으로 내가 맡은 일을 처리할 수 있다.